이 논문은 소진(burnout)과 관련된 논의들에 대한 이해를 보다 명확히 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소진은 업무스트레스를 더 이상 감당해 내지 못할 때 나타나는 정서적인 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72490
2003
Korean
학술저널
35-47(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소진(burnout)과 관련된 논의들에 대한 이해를 보다 명확히 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소진은 업무스트레스를 더 이상 감당해 내지 못할 때 나타나는 정서적인 고...
이 논문은 소진(burnout)과 관련된 논의들에 대한 이해를 보다 명확히 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소진은 업무스트레스를 더 이상 감당해 내지 못할 때 나타나는 정서적인 고갈상태를 말한다고 할 수 있고, 이를 야기하는 요인들은 개인적, 조직적 요인 및 클라이언트 관련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소진 관련 논의를 현실에 적용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은 우선 용어의 남용을 주의해야 하고, 관련 요인이 너무 않으므로 직원의 참여 및 참여적 리더쉽의 확대와 기관 자체의 비전을 꾸준히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개별 기관 차원의 대응 전략을 크게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각 기관별로 직원들의 소진의 정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하는 것, 둘째, 소진의 주요인을 규명하는 것, 셋째, 소진에 대한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것, 넷째, 대응전략을 평가하는 것이다.
양적 및 질적 접근방법을 통한 가출청소년의 삶과 복지욕구 분석
Asian regionalism and South Korea``s political economy
분식회계(粉飾會計) 유형(類型)에 관한 실태분석(實態分析)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성장과정 : 대전의 코스닥 상장기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