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인 계정들소리의 음악적 연구 = The musical study of JAIN GeJeong field so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846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o stud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eJeong field sori, which was called in Jain-myeon, located in Gyeongsan-si, Gyeongsangbuk-d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ransmission situation and actual condition of GeJeong field sori.
      The GeJeong field sori is currently designated as Gyeongsangbuk-do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31, and the transfer of GeJeong field sori is being carried out in the form of divid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year.
      GeJeong field sori has a total of 11 compositional pieces, and all of the songs except “jisinbalgi” and “Mangkae-sori” were menaritori. The beat structure is mainly in the form of four beats of three beats, and the singing style is sung in the style of original, pre-and exchange.
      Currently, the GeJeong field sori 11 yard is the only GeJeong field sori song that was actually sung while farming rice paddies, which was formed to participate in the Korean Folk Art Festival. Therefore, in order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GeJeong field sori, an in-depth on-site study of Jain-myeon in Gyeongsan-si is required.In addition, GeJeongfield sori is currently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ransfer education as the number of new members is low and the number of members decreases. Therefore, in order for GeJeong field sori to be activated, a system must be established to recruit new members.
      번역하기

      In this paper, to stud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eJeong field sori, which was called in Jain-myeon, located in Gyeongsan-si, Gyeongsangbuk-d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ransmission situation and actual condition of GeJeong field sori. The Ge...

      In this paper, to stud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eJeong field sori, which was called in Jain-myeon, located in Gyeongsan-si, Gyeongsangbuk-d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ransmission situation and actual condition of GeJeong field sori.
      The GeJeong field sori is currently designated as Gyeongsangbuk-do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31, and the transfer of GeJeong field sori is being carried out in the form of divid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year.
      GeJeong field sori has a total of 11 compositional pieces, and all of the songs except “jisinbalgi” and “Mangkae-sori” were menaritori. The beat structure is mainly in the form of four beats of three beats, and the singing style is sung in the style of original, pre-and exchange.
      Currently, the GeJeong field sori 11 yard is the only GeJeong field sori song that was actually sung while farming rice paddies, which was formed to participate in the Korean Folk Art Festival. Therefore, in order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GeJeong field sori, an in-depth on-site study of Jain-myeon in Gyeongsan-si is required.In addition, GeJeongfield sori is currently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ransfer education as the number of new members is low and the number of members decreases. Therefore, in order for GeJeong field sori to be activated, a system must be established to recruit new memb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경산시 자인면에 위치한 계정 숲을 중심으로 불려 지던 자인계정들소리의 전승현황과 음악적 특징을 분석한 글이다.
      자인계정들소리는 1996년 경산시 압독민요대전에 출전하여 수상한 계기로 한국민속예술제에 출전하여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 31호로 지정된 우리나라 문화유산이다. 자인계정들소리는 총 11곡의 구성악곡을 가지고 있으며 <들지신밟기>와 <망깨소리>를 제외한 악곡은 모두 메나리토리로 나타났다. 박자구조는 주로 3소박 4박자의 형태이며 가창방식은 독창, 선후창, 교환창 방식이다.
      현재 자인계정들소리 11마당은 한국민속예술제에 출전하기 위해 형성된 공연용 들소리로 실제로 논농사를 하며 불려 지던 자인계정들소리의 음원은 <논매기소리>만이 유일하다. 따라서 자인계정들소리가 지니고 있는 상세한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경산시 자인면의 심층적인 현장론적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자인계정들소리는 현재 신입회원 신청수가 저조하고 회원 수가 줄어듦에 따라 전승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자인계정들소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신입회원을 충원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경산시 자인면에 위치한 계정 숲을 중심으로 불려 지던 자인계정들소리의 전승현황과 음악적 특징을 분석한 글이다. 자인계정들소리는 1996년 경산시 압독민요대전에 출전하여 수상...

      이 글은 경산시 자인면에 위치한 계정 숲을 중심으로 불려 지던 자인계정들소리의 전승현황과 음악적 특징을 분석한 글이다.
      자인계정들소리는 1996년 경산시 압독민요대전에 출전하여 수상한 계기로 한국민속예술제에 출전하여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 31호로 지정된 우리나라 문화유산이다. 자인계정들소리는 총 11곡의 구성악곡을 가지고 있으며 <들지신밟기>와 <망깨소리>를 제외한 악곡은 모두 메나리토리로 나타났다. 박자구조는 주로 3소박 4박자의 형태이며 가창방식은 독창, 선후창, 교환창 방식이다.
      현재 자인계정들소리 11마당은 한국민속예술제에 출전하기 위해 형성된 공연용 들소리로 실제로 논농사를 하며 불려 지던 자인계정들소리의 음원은 <논매기소리>만이 유일하다. 따라서 자인계정들소리가 지니고 있는 상세한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경산시 자인면의 심층적인 현장론적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자인계정들소리는 현재 신입회원 신청수가 저조하고 회원 수가 줄어듦에 따라 전승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자인계정들소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신입회원을 충원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원희, "醴泉通明農謠" 醴泉通明農謠保存會 1992

      2 이소라, "파주민요론" 파주문화원 1997

      3 박남주, "공산농요의 음악적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4 유대안, "공산농요의 음악적 특성 연구" 세계음악학회 16 : 35-60, 2007

      5 방경남, "계정들소리의 현장론적연구" 경산문화연구소 5 : 2001

      6 박혜영, "경북 농요의 전승 기반과 무형문화재 보존 실태" 한국민요학회 46 (46): 75-112, 2016

      7 유대안, "경북 내륙지역 모심는소리의 리듬구조와 선율구조" 한국민요학회 33 : 193-229, 2011

      8 성기련, "결성농요 복원과 재구성의 사회문화적 맥락 및 의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13 (13): 101-126, 2019

      1 강원희, "醴泉通明農謠" 醴泉通明農謠保存會 1992

      2 이소라, "파주민요론" 파주문화원 1997

      3 박남주, "공산농요의 음악적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4 유대안, "공산농요의 음악적 특성 연구" 세계음악학회 16 : 35-60, 2007

      5 방경남, "계정들소리의 현장론적연구" 경산문화연구소 5 : 2001

      6 박혜영, "경북 농요의 전승 기반과 무형문화재 보존 실태" 한국민요학회 46 (46): 75-112, 2016

      7 유대안, "경북 내륙지역 모심는소리의 리듬구조와 선율구조" 한국민요학회 33 : 193-229, 2011

      8 성기련, "결성농요 복원과 재구성의 사회문화적 맥락 및 의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13 (13): 101-126,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8 0.86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