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찰 직무만족도 선행연구의 고찰과 새로운 결정요인을 포함한 연구모델의 제안 =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Police Job Satisfaction and Suggestion a Study Model including New Determinant F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12156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경찰학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경찰관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의 현재를 살펴보고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연구모델의 구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19편의 경찰 직무만족도 연구들을 정리하였고 이들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기존 경찰 직무만족도 연구의 한계점은 경찰인구 중에서 지구대 및 치안센터 등에 근무하고 있는 비간부 남성경찰관에 집중되어 조사가 이루어졌고 경찰 직무만족도를 결정짓는다고 알려진 변인들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모델의 구성이 부족하였으며 경찰문화나 경찰외부조직 관련 변인들을 새로운 경찰 직무만족도 결정변인으로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헌조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자는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일부 극복할 수 있는 수사경찰관들의 직무만족도 예측모델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경찰 직무만족도와 관련이 있다는 결정요인들을 하나의 모델에서 통제하고 분석한 결과 수사경찰관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보수 및 수사 활동비의 적절성, 과도한 업무량, 상관의 리더십, 동료들 간의 인간관계, 초과근무, 그리고 창조적인조직문화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었다. 특히 금전적 이익과 업무강도에 대한 수사경찰관들의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일관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의미를 살펴보고 연구의 한계점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경찰학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경찰관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의 현재를 살펴보고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연구모델의 구성을 제안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경찰학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경찰관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의 현재를 살펴보고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연구모델의 구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19편의 경찰 직무만족도 연구들을 정리하였고 이들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기존 경찰 직무만족도 연구의 한계점은 경찰인구 중에서 지구대 및 치안센터 등에 근무하고 있는 비간부 남성경찰관에 집중되어 조사가 이루어졌고 경찰 직무만족도를 결정짓는다고 알려진 변인들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모델의 구성이 부족하였으며 경찰문화나 경찰외부조직 관련 변인들을 새로운 경찰 직무만족도 결정변인으로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헌조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자는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일부 극복할 수 있는 수사경찰관들의 직무만족도 예측모델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경찰 직무만족도와 관련이 있다는 결정요인들을 하나의 모델에서 통제하고 분석한 결과 수사경찰관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보수 및 수사 활동비의 적절성, 과도한 업무량, 상관의 리더십, 동료들 간의 인간관계, 초과근무, 그리고 창조적인조직문화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었다. 특히 금전적 이익과 업무강도에 대한 수사경찰관들의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일관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의미를 살펴보고 연구의 한계점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경찰 직무만족도 연구의 현재와 한계점
      • III. 연구 설계 및 연구방법
      • IV. 분석결과
      • 국문초록
      • I. 서론
      • II. 경찰 직무만족도 연구의 현재와 한계점
      • III. 연구 설계 및 연구방법
      • IV. 분석결과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영현,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6 (16): 193-212, 2009

      2 정우열, "순찰지구대 경찰관의 직무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17 (17): 131-155, 2006

      3 박영주, "수사경찰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15) : 139-162, 2008

      4 황의갑, "대도시지역 순찰지구대 경찰관의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 개인특성, 경찰역할에 대한 인식, 근무환경 및 외부환경에 대한 인식의 영향" 한국경찰연구학회 7 (7): 147-180, 2008

      5 박선영, "남녀경찰관의 근무성과, 근무태도, 이직에 관한 영향요인 비교연구 : 구조방정식을 통한 남녀경찰관 비교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91-131, 2009

      6 정세종, "경찰조직내 갈등관리방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 7 (7): 197-223, 2005

      7 최학봉, "경찰의 사기관리에 관한 실증적 연구- 조직문화를 중심으" 한국공안행정학회 (20) : 505-531, 2005

      8 이종복, "경찰관의 입직동기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6 : 253-294, 1997

      9 이상원, "경찰관의 성격 및 창의적 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16) : 209-228, 2008

      10 석청호, "경찰관의 근무성적평정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 7 (7): 39-65, 2005

      1 유영현,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6 (16): 193-212, 2009

      2 정우열, "순찰지구대 경찰관의 직무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17 (17): 131-155, 2006

      3 박영주, "수사경찰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15) : 139-162, 2008

      4 황의갑, "대도시지역 순찰지구대 경찰관의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 개인특성, 경찰역할에 대한 인식, 근무환경 및 외부환경에 대한 인식의 영향" 한국경찰연구학회 7 (7): 147-180, 2008

      5 박선영, "남녀경찰관의 근무성과, 근무태도, 이직에 관한 영향요인 비교연구 : 구조방정식을 통한 남녀경찰관 비교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91-131, 2009

      6 정세종, "경찰조직내 갈등관리방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 7 (7): 197-223, 2005

      7 최학봉, "경찰의 사기관리에 관한 실증적 연구- 조직문화를 중심으" 한국공안행정학회 (20) : 505-531, 2005

      8 이종복, "경찰관의 입직동기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6 : 253-294, 1997

      9 이상원, "경찰관의 성격 및 창의적 인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16) : 209-228, 2008

      10 석청호, "경찰관의 근무성적평정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 7 (7): 39-65, 2005

      11 이상원, "경찰관의 개인적 특성 및 교육훈련과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초급간부 경사·경위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4) : 135-158, 2002

      12 이상원, "경찰관서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7) : 261-288, 2004

      13 이황우, "경찰공무원의 직무태도가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 16 (16): 221-254, 2007

      14 김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치안센터 민원담당관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6 (16): 59-87, 2005

      15 이환범,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 3 (3): 83-101, 2006

      16 이성규,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조사연구" 7 : 93-119, 2006

      17 김보환,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비간부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1) : 39-69, 2001

      18 기광도,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4 (4): 107-129, 2005

      19 이승길, "경찰공무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5 (5): 243-269, 2003

      20 박성수,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가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13) : 98-136, 2002

      21 문유석, "경찰 사회자본과 직무만족 : 경찰관의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99-136, 2009

      22 Bennett, R., "The effect of work environment on levels of police cynicism: a comparative study" 5 (5): 493-522, 2002

      23 Greene, J. R., "Police officer job satisfaction and community perceptions: implications for community-oriented policing" 26 (26): 168-183, 2004

      24 Wells, W., "Patrol officer responses to citizen feedback: an experimental analysis" 8 : 171-205, 2005

      25 Porter, L.W.,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80 : 151-176, 1973

      26 Locke. 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cNally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KCI등재후보
      2009-03-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0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