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프리카 교육 ODA를 위한 ADEA와의 협력방안 = Future Direction of Korean ODA Policy in African Education Sector with AD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16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정부는 아프리카 지역협의체와의 협력을 통해 아프리카의 교육 발전을 도모하고자 노력해왔다. 2012년부터 대한민국 교육부가 아프리카교육발전협의회(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

      한국 정부는 아프리카 지역협의체와의 협력을 통해 아프리카의 교육 발전을 도모하고자 노력해왔다. 2012년부터 대한민국 교육부가 아프리카교육발전협의회(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Africa, 이하 ADEA)의 공식 운영위원회로 활동해왔던 것이 그 대표 사례이다.
      ADEA와의 협력은 지역 국제기구를 활용하여 양자협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아프리카의 교육발전을 위한 협력의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해당 기구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협력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아프리카 교육발전을 위한 지역협의체인 ADEA의 특징과 주요 활동을 분석하고, 향후 한국 정부가 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육개발 협력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단기간에 원조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도약한 국가로서 한국이 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육개발협력 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Government has been constantly exerting it’s effort to promote education development in Africa through regional arrangement. The representative case of the strategy above is the performance of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s an official...

      Korean Government has been constantly exerting it’s effort to promote education development in Africa through regional arrangement. The representative case of the strategy above is the performance of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s an official steering committee of 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Africa(ADEA) since 2012.
      Cooperation with ADEA implie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conquest its limitation of bilateral cooperation with African countries along with procuring its bridgehead of cooperation for education development of Africa. However, due to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organization, its efficacy and specific cooperation method seems opaque at present.
      Based on such awareness, this paper analyzes main features and major activities of ADEA, drawing political implications needed for better performance of South Korean government’s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frican countries. Ultimately, this paper will assist South Korea to contribute on pursuing educ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with African countries, as a country which transformed itself from beneficiary to donor country in short ter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우리나라의 對아프리카 교육 ODA 현황
      • 2. ADEA의 특징
      • 3. ICQN의 등장과 중요성
      • 4. 결론
      • 1. 서론
      • 2. 우리나라의 對아프리카 교육 ODA 현황
      • 2. ADEA의 특징
      • 3. ICQN의 등장과 중요성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환보, "한-ADEA 교육협력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부 2015

      2 박환보, "중점협력국가별 교육협력전략 개발 및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3 이석희, "아프리카와의 교육협력을 위한 과제 : ADEA 2012 Triennale : Korea-Africa Day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2

      4 박태준, "아프리카 지역 교육지원사업 타당성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5 박영호, "아프리카 개발협력의 체계적 추진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

      6 이석희, "아프리카 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과학기술협력에 관한 연구(II): 중장기 국가별-권역별 협력방안(총괄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1

      7 이석희, "아프리카 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과학기술에 관한 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2012

      8 이석희, "아프리카 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과학기술에 관한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2010

      9 한국수출입은행, "숫자로 보는 ODA"

      10 김보선, "세계교육포럼 개최를 지원하는 ICT 교육 영역 의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5

      1 박환보, "한-ADEA 교육협력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부 2015

      2 박환보, "중점협력국가별 교육협력전략 개발 및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3 이석희, "아프리카와의 교육협력을 위한 과제 : ADEA 2012 Triennale : Korea-Africa Day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2

      4 박태준, "아프리카 지역 교육지원사업 타당성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5 박영호, "아프리카 개발협력의 체계적 추진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

      6 이석희, "아프리카 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과학기술협력에 관한 연구(II): 중장기 국가별-권역별 협력방안(총괄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1

      7 이석희, "아프리카 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과학기술에 관한 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2012

      8 이석희, "아프리카 개발도상국가와의 교육·과학기술에 관한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2010

      9 한국수출입은행, "숫자로 보는 ODA"

      10 김보선, "세계교육포럼 개최를 지원하는 ICT 교육 영역 의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5

      11 JICA, "Summary of Terminal Evaluation"

      12 Ishihara, S., "Scaling Up South-South and Triangular Cooperation" JICA Research Institute 2012

      13 ADEA, "Report on the 1st Joint Planning Meeting of the ICQN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Network Of African Learning Assessment(NALA)"

      14 ADEA, "Report on Planning Meeting for ADEA 2015 Program and Budget" ADEA. ICADETA 2014

      15 최정윤, "Post-EFA 세계교육회의 의제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3

      16 "NORRAG. 웹사이트"

      17 JICA, "JICA Hosts Regional Conference o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Nairobi (TICAD VI Pre-Ivent)"

      18 "Institute for Capacity Development of Teachers in Africa (ICADETA): Strategic Plan (2014-2019)" ICADETA

      1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enya, "Education sector policy on peace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 ADEA, "Draft 2016 Integrated Annual Report of Activities" ADEA 2016

      21 ADEA, "Concept Note for the ICQN / TVSD Kigali conference"

      22 ADEA, "ADEA and JICA renew their strategic partnership"

      23 ADEA, "ADEA Strategic Plan 2018-2022 : Our common voice, our common success" ADEA 2018

      24 MOEST, "A Concept Paper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king Group o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WGMSE) into the Inter-country Quality Node o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CQN-MSE)"

      25 ADEA, "43rd Session of the ADEA Steering Committee meeting materials"

      26 안해정, "2030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실천 방안 연구: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7

      27 임천순, "2015 세계교육회의 추진전략 및 국내외 EFA 네트워크 구축방안" 교육부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4 0.53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