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화전 유적지의 습지 퇴적물에 화분분석, 수침목재 동정, 그리고 기초적인 퇴적물 분석 등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 이 지역의 홀로신 중기 고식생 및 고기후를 유추해 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79194
2011
Korean
980
KCI등재
학술저널
413-424(12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광주광역시 화전 유적지의 습지 퇴적물에 화분분석, 수침목재 동정, 그리고 기초적인 퇴적물 분석 등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 이 지역의 홀로신 중기 고식생 및 고기후를 유추해 보...
광주광역시 화전 유적지의 습지 퇴적물에 화분분석, 수침목재 동정, 그리고 기초적인 퇴적물 분석 등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 이 지역의 홀로신 중기 고식생 및 고기후를 유추해 보았다. 약 8200 ~ 6800년 전에는 홀로신 기후최적기에 비해 기후가 다소 건조하여, 참나무 개체수는 상대적으로 적었고 다양한 수목들이 함께 서식했다. 약 6800 ~ 5900 년 전은 홀로신 기후최적기로 온난 습윤한 기후가 강화되면서 참나무속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저습지의 면적이 감소하였다. 6100 년 전 경에는 한반도 남동부에서 홀로신 기후최적기의 지속으로 극상림에 가까운 삼림이 형성되었다. 약 5900 ~ 4700 년 전에는 기후가 냉량건조해지면서 극상 림인 참나무숲의 면적뿐 아니라 전체 삼림 면적이 감소하였다. 이 시기 말미에는 기후의 일시적인 호전으로 오리나무숲이 팽창하였다. 마지막으로 약 4700 ~ 3300 년 전에는 오리나무의 세력이 감소하고 참나무가 우점했으며 상대적으로 건조한 기후가 지속되면서 삼림의 밀도는 낮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fer paleovegetation and paleoclimate in the Hwajeon archeological site of Gwangju city during mid-Holocene through the analysis of pollen, waterlogged woods, and sediments. Between 8200 ~ 6800 years ago, relatively dr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fer paleovegetation and paleoclimate in the Hwajeon archeological site of Gwangju city during mid-Holocene through the analysis of pollen, waterlogged woods, and sediments. Between 8200 ~ 6800 years ago, relatively dry climate resulted in a weakened dominance of oak and high diversity of tree genus. During the Holocene climatic optimum period (6800 ~ 5900 years ago), oak forests expanded while wetland areas diminished as warm/humid climate intensified. Between 5900 ~ 4700 years ago, the entire forest area as well as oak climax forests was reduced due to a relatively cool/dry climate. However at the end of this period, oak forests expanded since a favorable climate condition temporarily resumed. Lastly, between 4700 ~ 3300 years ago, oaks dominated but alders were weakened. The density of forest was low because of a relatively dry climate in this perio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병오,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후빙기 식생 변천사" 한국생태학회 29 (29): 573-580, 2006
2 최기룡, "영산강 유역 범람원 퇴적물의 화분분석 연구" 한국생태학회 28 (28): 37-43, 2005
3 윤순옥, "경포호 홀로세 퇴적층에 대한 화분분석과 환경변화" 대한지질학회 44 (44): 781-794, 2008
4 Fujiki, T, "Vegetation history during the Holocene from Lake Hyangho, northeastern Korea" 123 (123): 63-69, 2004
5 Ho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The site at Hwajeon, Gwangju" Ho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2011
6 Faegri, K, "Textbook of Pollen Analysi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1989
7 Stockmarr, J, "Tablets with spores used in absolute pollen analysis" 13 : 314-321, 1971
8 Choi, K.-R, "Review: the post - glacial vegetation history of the lowland in Korean peninsula" 21 : 169-174, 1998
9 Bond, G, "Persistent solar influence on North Atlantic climate during the Holocene" 294 : 2130-2136, 2001
10 Jo, W.-R, "Palynological studies on postglacial age in eastern coastal region, Korean peninsula" 31 : 23-35, 1979
1 장병오,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후빙기 식생 변천사" 한국생태학회 29 (29): 573-580, 2006
2 최기룡, "영산강 유역 범람원 퇴적물의 화분분석 연구" 한국생태학회 28 (28): 37-43, 2005
3 윤순옥, "경포호 홀로세 퇴적층에 대한 화분분석과 환경변화" 대한지질학회 44 (44): 781-794, 2008
4 Fujiki, T, "Vegetation history during the Holocene from Lake Hyangho, northeastern Korea" 123 (123): 63-69, 2004
5 Ho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The site at Hwajeon, Gwangju" Ho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2011
6 Faegri, K, "Textbook of Pollen Analysi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1989
7 Stockmarr, J, "Tablets with spores used in absolute pollen analysis" 13 : 314-321, 1971
8 Choi, K.-R, "Review: the post - glacial vegetation history of the lowland in Korean peninsula" 21 : 169-174, 1998
9 Bond, G, "Persistent solar influence on North Atlantic climate during the Holocene" 294 : 2130-2136, 2001
10 Jo, W.-R, "Palynological studies on postglacial age in eastern coastal region, Korean peninsula" 31 : 23-35, 1979
11 Chang, N.-K,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pollen of flowering plants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979
12 Chang, C.-H, "Late-Quaternary vegetation in the lake of Korea" 25 (25): 37-53, 1982
13 Lim, H. S, "Late-Holocene palaeoclimatic change at the Dongnimdong archaeological site, Gwangju, SW Korea" SAGE PUBLICATIONS LTD 17 (17): 665-672, 2007
14 Gasse, F, "Hydrological changes in the African tropics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19 : 189-211, 2000
15 Gasse, F, "Hydrological changes in Africa" 292 : 2259-2260, 2001
16 Yang, D.-Y, "Holocene wetland environmental change based on major element concentrations and organic contents from the Cheollipo coast, Korea" 176 : 143-155, 2008
17 Denton, G.H, "Holocene climatic variations: their pattern and possible cause" 3 : 155-205, 1973
18 Enzel, Y. L, "High-resolution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Thar Desert Northwestern India" 284 : 125-128, 1999
19 Stuiver, M, "Extended 14C database and revised CALIB radiocarbon calibration program" 35 : 215-230, 1993
20 Yasuda, Y, "Environmental changes and agricultural origin in Korea, in Overseas Research Report"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1-19, 1979
21 "Domestic Climate Dat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n.d. Web"
22 An, Z, "Asynchronous Holocene optimum of the East Asian monsoon" 19 : 743-762, 200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4 | 1.14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3 | 1.701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