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자극제시 방법이 노인의 담화이해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timulus Presentation Method on Discourse Comprehension in Healthy Elderly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73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노인의 담화이해 능력은 자극제시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담화의 자극제시 방법에 따른 담...

      배경 및 목적: 노인의 담화이해 능력은 자극제시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담화의 자극제시 방법에 따른 담화이해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담화 자극제시 방법의 효과가 사실적 정보나 추론과 같은 질문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일반 노인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담화 과제는 이야기를 듣고 질문에 답하는 회상과제를 사용하였으며, 1회 제시, 반복 제시, 그림 병행의 자극제시 방법을 사용하였다. 질문유형은 사실적 정보이해, 텍스트 연결추론 및 빠진 정보추론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담화의 반복 제시, 그림 병행 방법 모두 1회 제시에 비해 담화이해 점수가 높았으며, 반복 제시, 그림 병행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실적 정보이해의 경우 반복에서의 수행이 가장 높은 반면, 텍스트 연결추론의 경우 그림 병행의 수행이 가장 높았다. 셋째, 빠진 정보추론의 경우 자극제시 방법에 따른 담화이해 능력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담화의 표면적인 정보이해 향상을 위해서는 담화를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텍스트 사이의 연결 및 통합을 위한 논리적 추론의 향상을 위해서는 시각적인 자료를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Although the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in the elderly may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stimulus presentation, relevant research into this topic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bility of ...

      Objectives: Although the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in the elderly may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stimulus presentation, relevant research into this topic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in healthy elderly adults according to the discourse stimulus presentation method,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s of the discourse stimulus presentation method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question type; for example literal information or inference. Methods: Forty-eight healthy elderl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a recall task was used to listen to the story and answer the questions. As methods of presenting discourse stimulus, telling a story once, telling it twice, and presenting it with a picture were used. The question types consisted of the literal information (LI), text-connecting inference (TC) and gap-filling inference (GF) types. Results: First, the discourse comprehension scores were higher in telling a story twice and presenting it with a picture than in telling a story once. Second, performance of LI was the highest in telling a story twice, while performance of TC was the highest in presenting story with a picture. Third, in the case of GF, the difference in ability of discourse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stimulus presentation method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present the discourse repeatedly to improve the superficial comprehension of discourse for the healthy elderly, and visual stimulus to improve logical reasoning for connection and integration between tex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지, "회상과제를 통한 청년과 노인의 질문 유형별 이야기 이해 특성"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9 (19): 195-213, 2015

      2 손은남, "청년기와 노년기의 이야기 담화 능력 특성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5 (15): 71-85, 2006

      3 최현주, "질문 유형에 따른 고령자의 이야기 이해 능력과 집행기능과의 상관" 한국언어치료학회 24 (24): 1-13, 2015

      4 이수정, "정상 노년층과 경도인지장애의 언어 이해력 특성" 대한치매학회 13 (13): 51-62, 2014

      5 김미진, "외현적 시연과 청각적 입력 강화가 말소리장애 아동의 지연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4 (24): 101-116, 2019

      6 신지영, "언어 수행에서의 호흡과 기억 -호흡 단위와 휴지 단위의 양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학회 79 : 91-116, 2018

      7 최현주,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문장이해 능력에 구문적 복잡성과 문장 반복이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4 (24): 986-995, 2019

      8 이성호, "신문을 활용한 회상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인의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55-73, 2007

      9 정혜선, "대학생, 중년, 노인 집단의 이야기에 대한 기억과 해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7 (17): 509-527, 2005

      10 김정완, "노년층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문헌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4 (14): 495-513, 2009

      1 김은지, "회상과제를 통한 청년과 노인의 질문 유형별 이야기 이해 특성"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9 (19): 195-213, 2015

      2 손은남, "청년기와 노년기의 이야기 담화 능력 특성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15 (15): 71-85, 2006

      3 최현주, "질문 유형에 따른 고령자의 이야기 이해 능력과 집행기능과의 상관" 한국언어치료학회 24 (24): 1-13, 2015

      4 이수정, "정상 노년층과 경도인지장애의 언어 이해력 특성" 대한치매학회 13 (13): 51-62, 2014

      5 김미진, "외현적 시연과 청각적 입력 강화가 말소리장애 아동의 지연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4 (24): 101-116, 2019

      6 신지영, "언어 수행에서의 호흡과 기억 -호흡 단위와 휴지 단위의 양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학회 79 : 91-116, 2018

      7 최현주,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문장이해 능력에 구문적 복잡성과 문장 반복이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4 (24): 986-995, 2019

      8 이성호, "신문을 활용한 회상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인의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55-73, 2007

      9 정혜선, "대학생, 중년, 노인 집단의 이야기에 대한 기억과 해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7 (17): 509-527, 2005

      10 김정완, "노년층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문헌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4 (14): 495-513, 2009

      11 최현주,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이야기 이해 능력과 작업기억 및 언어기억의 상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1 (21): 324-332, 2016

      12 최수진, "과제 제시 유형 및 논항 수에 따른 노년층의 동사 이름대기 수행력 차이: 애니메이션과 그림 비교"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8 (18): 279-293, 2014

      13 Sung, S. H, "Writing disorders in Alzheimer’s disease: exploring the effect of word characteristics and type of stimulus" Ewha Woman’s University 2010

      14 Baddeley, A, "Working memory and language : an overview" 36 (36): 189-208, 2003

      15 Pichora-Fuller, M. K, "Use of supportive context by younger and older adult listeners: balancing bottom-up and top-down information processing" 47 (47): S72-S82, 2008

      16 Dubno, J. R, "Use of context by young and aged adults with normal hearing" 107 (107): 538-546, 2000

      17 Fine, A. B, "The role of verb repetition in cumulative structural priming in comprehension" 42 (42): 13-62, 2016

      18 Cervantes, R, "The effects of syntactic simplification and repetition on listening comprehension" 26 (26): 767-770, 1992

      19 Kim, E, "The effect of repeated reading of picture story book on language expression and story comprehension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2

      20 Carlson, J. K, "Teaching children with autism : strategies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socialization" 11 (11): 254-255, 1996

      21 Schneider, P, "Story presentation effects on children’s retell content" 14 (14): 52-60, 2005

      22 Small, J. A, "Sentence comprehension in Alzheimer’s disease : effects of grammatical complexity, speech rate, and repetition" 12 (12): 3-11, 1997

      23 Mares, M. L, "Repetition increases children’s comprehension of television content-up to a point" 73 (73): 216-241, 2006

      24 Cho, M. H, "Psychology of language" Hakjisa 2003

      25 Pezdek, K, "Planting false childhood memories in children : the role of event plausibility" 70 (70): 887-895, 1999

      26 Penney, C. G, "Modality effects and the structure of short-term verbal memory" 17 (17): 398-422, 1989

      27 Radvansky, G. A, "Memory retrieval and suppression : the inhibition of situation models" 128 (128): 563-579, 1999

      28 Light, L. L, "Memory and aging : four hypotheses in search of data" 42 (42): 333-376, 1991

      29 Little, D. M, "Listening to spoken text : adult age differences as revealed by self-paced listening" 31 (31): 313-330, 2005

      30 Kemper, S, "Lifespan cogn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31 Sparks, J. R, "Language, discourse comprehension and understanding" Springer 2012

      32 강연욱, "K-MMSE(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 25 (25): 1-12, 2006

      33 Gernsbacher, M. A, "Investigating differences in general comprehension skill" 16 (16): 430-445, 1990

      34 Gillam, R. B, "Information processing by school-ag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evidence from a modality effect paradigm" 41 (41): 913-926, 1998

      35 Norbury, C. F, "Inferential processing and story recall in children with communication problems : a comparison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and high-functioning autism" 37 (37): 227-251, 2002

      36 McKoon, G, "Inference during reading" 99 (99): 440-466, 1992

      37 Schaie, K. W,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Elsevier 2010

      38 Stubbs, M, "Discourse analysis : the sociolinguistic analysis of natural languag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39 Myslín, M, "Comprehension priming as rational expectation for repetition : evidence from syntactic processing" 147 : 29-56, 2016

      40 Wegner, M. L, "Comprehension of main ideas and details in coherent and noncoherent discourse by aphasic and nonaphasic listeners" 21 (21): 37-51, 1984

      41 Burda, A, "Communication and swallowing changes in healthy aging adults" Jones and Bartlett Learning 2010

      42 Van Dijk, T. A, "Cognitiveprocesses in comprehension" Psychology Press 1977

      43 Ferstl, E. C, "Assessment of story comprehension deficits after brain damage" 27 (27): 367-384, 2005

      44 Johnson, R. E, "Aging and the remembering of text" 23 (23): 261-346, 2003

      45 Jung, I. K,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36 (36): 103-112,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등재유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13-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2-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06-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8 1.62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