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색미 CNU 육성계통에 대한 안토시안, 유효성분 및 주요 식물학적 특성 = Anthocyanin Contents, Effective Components and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NU Colored Rice Lin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05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thocyanine contents, effective components and major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 developed colored rices. Characteristics of colored rice lines showed variation in culm length and spikelets per panicle in CNU39, panicle length in CNU43, 1,000 grain weight in CNU90, and yield per plant in CNU119 were highly compared to the Check, Heugjinjubyeo. Relative optical density(ROD) of Heugjinjubyeo was the highest at 530 nm, followed by CNU71, CNU73 and CNU119. The high peaks of ROD of Heugjinjubyeo and CNU71 appeared at 280 nm and 530 nm, and that of CNU43 appeared at 430 nm. The relative anthocyanin contents (RAC) per plant of the CU 71 among the new developed rice compared by yield per unit area was very high, fellowed by CNU73 and Heugjinjubyo.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thocyanine contents, effective components and major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 developed colored rices. Characteristics of colored rice lines showed variation in culm length and spikelets per panicl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thocyanine contents, effective components and major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w developed colored rices. Characteristics of colored rice lines showed variation in culm length and spikelets per panicle in CNU39, panicle length in CNU43, 1,000 grain weight in CNU90, and yield per plant in CNU119 were highly compared to the Check, Heugjinjubyeo. Relative optical density(ROD) of Heugjinjubyeo was the highest at 530 nm, followed by CNU71, CNU73 and CNU119. The high peaks of ROD of Heugjinjubyeo and CNU71 appeared at 280 nm and 530 nm, and that of CNU43 appeared at 430 nm. The relative anthocyanin contents (RAC) per plant of the CU 71 among the new developed rice compared by yield per unit area was very high, fellowed by CNU73 and Heugjinjuby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cdot}$외에서 수집된 유색미를 분양받아 이들 에 대해 감마선처리 및 수집종간 교배육종 결과 새로 육성한 13개의 공시종에 대해 안토시안 함량, 유효성분 및 주요 수량 관련 형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1. 주요 식물학적 특성으로 대조구인 흑진주벼의 간장은 78cm로 중간형이었고, 개화일수는 다른 공시종에 비해 $7\~20$일 빨랐던 반면에 간장과 수당영화수는 CNU33에서 가장 많았으며, 수장은 CNU 43에서, 천립중은 CNU 90에서 가장 높았으며, 주당 수량은 CNU 119가 가장 높았다. 2. 공시종에 대한 Anthocyanine 색소 함량을 상대흡광도 값 (흡광도$\times$희석배수)으로 비교한 결과, 530nm파장에서 대조구인 흑진주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CNU71, CNU73, CNU119의 순이었다. 흡광도 값이 가장 높았던 흑진주벼와 CNU71은 280nm와 530nm 부근에서 흡수극대가 나타나 anthocyanin계 색소임이 확인되었고, 흡광도 값이 낮았던 CNU43은 430nm부근에서 흡수극대가 나타나 tannin계 색소로 판명되었다. 3. 공시종에 대한 주당 relative anthocyanin content(RAC)을 비교하기 위해 상대흡광도 값에 주당 현미수량을 곱한 결과 CNU71이 20,11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CNU73이 16,046 그리고 대조구인 흑진주벼 15,985순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국내${\cdot}$외에서 수집된 유색미를 분양받아 이들 에 대해 감마선처리 및 수집종간 교배육종 결과 새로 육성한 13개의 공시종에 대해 안토시안 함량, 유효성분 및 주요 수량 관련 형질을 비...

      국내${\cdot}$외에서 수집된 유색미를 분양받아 이들 에 대해 감마선처리 및 수집종간 교배육종 결과 새로 육성한 13개의 공시종에 대해 안토시안 함량, 유효성분 및 주요 수량 관련 형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1. 주요 식물학적 특성으로 대조구인 흑진주벼의 간장은 78cm로 중간형이었고, 개화일수는 다른 공시종에 비해 $7\~20$일 빨랐던 반면에 간장과 수당영화수는 CNU33에서 가장 많았으며, 수장은 CNU 43에서, 천립중은 CNU 90에서 가장 높았으며, 주당 수량은 CNU 119가 가장 높았다. 2. 공시종에 대한 Anthocyanine 색소 함량을 상대흡광도 값 (흡광도$\times$희석배수)으로 비교한 결과, 530nm파장에서 대조구인 흑진주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CNU71, CNU73, CNU119의 순이었다. 흡광도 값이 가장 높았던 흑진주벼와 CNU71은 280nm와 530nm 부근에서 흡수극대가 나타나 anthocyanin계 색소임이 확인되었고, 흡광도 값이 낮았던 CNU43은 430nm부근에서 흡수극대가 나타나 tannin계 색소로 판명되었다. 3. 공시종에 대한 주당 relative anthocyanin content(RAC)을 비교하기 위해 상대흡광도 값에 주당 현미수량을 곱한 결과 CNU71이 20,11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CNU73이 16,046 그리고 대조구인 흑진주벼 15,985순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