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인 35세 이상 여성에서 소득계층과 건강행태: 제6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2013) = The Health Behavior and Statu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Level in Korean Women Aged 35 Years or Older: the 2013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865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Income is a major socioeconomic index, and low household income is known to negatively affect health.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low-incom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low-income women, using data representative of South Koreans.
      Methods: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ong the total of 8,018 respondents, 2,713 women aged 35 years or older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by income status based on standard household income quartiles.
      Results:The low-income group showed the lowest education levels and the highest unemployment rate (P<0.001). The percentage of smokers was the highest, while the frequency of exercise was the lowest in this group (P<0.001). The incidence of hyperlipidemia was highest (P=0.028), and they showed the highes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P<0.001),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P=0.018), and triglyceride level (P=0.03), as well as the lowest high density lipoprotein level (P=0.039), and the highes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P=0.002). Additionally, perceived health status was negative and quality of life was lowest among the groups (P<0.001). Although the enrollment rate for free health check-up services was highest (P=0.007), subscription to private health insurance, adult health check-ups, cancer screening rate were all lowest of the groups.
      Conclusions:This study confirmed a health gap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of low income, compared to higher income groups.
      번역하기

      Background:Income is a major socioeconomic index, and low household income is known to negatively affect health.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low-income. This st...

      Background:Income is a major socioeconomic index, and low household income is known to negatively affect health.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low-incom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low-income women, using data representative of South Koreans.
      Methods: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ong the total of 8,018 respondents, 2,713 women aged 35 years or older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by income status based on standard household income quartiles.
      Results:The low-income group showed the lowest education levels and the highest unemployment rate (P<0.001). The percentage of smokers was the highest, while the frequency of exercise was the lowest in this group (P<0.001). The incidence of hyperlipidemia was highest (P=0.028), and they showed the highes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P<0.001),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P=0.018), and triglyceride level (P=0.03), as well as the lowest high density lipoprotein level (P=0.039), and the highes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P=0.002). Additionally, perceived health status was negative and quality of life was lowest among the groups (P<0.001). Although the enrollment rate for free health check-up services was highest (P=0.007), subscription to private health insurance, adult health check-ups, cancer screening rate were all lowest of the groups.
      Conclusions:This study confirmed a health gap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of low income, compared to higher income grou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소득은 대표적인 사회경제적 지표로 가계소득이 낮은 경우 상위 소득계층과 건강수준의 차이를 보인다.
      현재까지 저소득층 여성의 건강행동 및 건강상태에 대한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해 저소득층 중노년 여성 건강상태에 관한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방법: 제6기 1차년도(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단면연구이다. 조사에 참여한 사람 총 8,018명 중 만35세 이상의 여성 2,7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구 소득사분위 기준금액에 따라 소득계층을 나누었다. 저소득층여성에 초점을 맞추어 인구 사회학적인 특성, 건강행동, 건강상태 및 의료이용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여성의 소득 하그룹에서 교육수준이 낮고 미취업자비율이 높았다(P<0.001). 흡연자 비율은 가장 높으나 운동실천율은 가장 낮았다(P<0.001). 고지혈증 이환율이 높으며(P=0.028) 검진조사에서 체질량지수(P=0.022), 허리둘레(P<0.001), 공복혈당(P=0.018), 중성지방(P=0.03) 수치가 높고 저밀도단백질이 낮았다(P=0.039). 또한 소득 하그룹의심혈관질환 위험도가 가장 높았다(P=0.002). 주관적 건강을부정적으로 인식하며 삶의 질이 낮고(P<0.001) 무료 건강검진 수진율은 높으나(P=0.007) 민간 의료보험 가입, 성인검진, 암검진 수진율 및 필요 의료서비스 수진 여부는 낮았다.
      결론: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노년 여성과 상위 소득계층에서 건강 격차를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소득은 대표적인 사회경제적 지표로 가계소득이 낮은 경우 상위 소득계층과 건강수준의 차이를 보인다. 현재까지 저소득층 여성의 건강행동 및 건강상태에 대한연구가 부족한 실...

      연구배경: 소득은 대표적인 사회경제적 지표로 가계소득이 낮은 경우 상위 소득계층과 건강수준의 차이를 보인다.
      현재까지 저소득층 여성의 건강행동 및 건강상태에 대한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해 저소득층 중노년 여성 건강상태에 관한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방법: 제6기 1차년도(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단면연구이다. 조사에 참여한 사람 총 8,018명 중 만35세 이상의 여성 2,7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구 소득사분위 기준금액에 따라 소득계층을 나누었다. 저소득층여성에 초점을 맞추어 인구 사회학적인 특성, 건강행동, 건강상태 및 의료이용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여성의 소득 하그룹에서 교육수준이 낮고 미취업자비율이 높았다(P<0.001). 흡연자 비율은 가장 높으나 운동실천율은 가장 낮았다(P<0.001). 고지혈증 이환율이 높으며(P=0.028) 검진조사에서 체질량지수(P=0.022), 허리둘레(P<0.001), 공복혈당(P=0.018), 중성지방(P=0.03) 수치가 높고 저밀도단백질이 낮았다(P=0.039). 또한 소득 하그룹의심혈관질환 위험도가 가장 높았다(P=0.002). 주관적 건강을부정적으로 인식하며 삶의 질이 낮고(P<0.001) 무료 건강검진 수진율은 높으나(P=0.007) 민간 의료보험 가입, 성인검진, 암검진 수진율 및 필요 의료서비스 수진 여부는 낮았다.
      결론: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노년 여성과 상위 소득계층에서 건강 격차를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경,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의 차이와 건강행태 기여요인 분석" 대한예방의학회 43 (43): 50-61, 2010

      2 강혜미, "중년 한국인에서 사회경제적 수준과 대사증후군의 성별에 따른 연관성" 대한내과학회 82 (82): 569-575, 2012

      3 이용재, "소득계층별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형평성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267-290, 2010

      4 손미아, "사회계급과 건강행위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의학회 35 (35): 7-64, 2002

      5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27-153, 2007

      6 함옥경,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지역사회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차이" 한국보건간호학회 22 (22): 27-38, 2008

      7 김영선, "노인의 건강 및 의료이용 형평성에 관한 연구: 연령집단별 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31) : 55-81, 2012

      8 김진희, "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행태, 주관적 건강수준의 관련성: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 (28): 57-67, 2011

      9 김유미, "건강위험요인에서의 불평등: 우리나라의 현황" 대한의사협회 56 (56): 175-183, 2013

      10 Kim HR.,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s with morbidity in seoul, Korea" 25 (25): 3-35, 2005

      1 김민경,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의 차이와 건강행태 기여요인 분석" 대한예방의학회 43 (43): 50-61, 2010

      2 강혜미, "중년 한국인에서 사회경제적 수준과 대사증후군의 성별에 따른 연관성" 대한내과학회 82 (82): 569-575, 2012

      3 이용재, "소득계층별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형평성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267-290, 2010

      4 손미아, "사회계급과 건강행위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의학회 35 (35): 7-64, 2002

      5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27-153, 2007

      6 함옥경,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지역사회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차이" 한국보건간호학회 22 (22): 27-38, 2008

      7 김영선, "노인의 건강 및 의료이용 형평성에 관한 연구: 연령집단별 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31) : 55-81, 2012

      8 김진희, "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행태, 주관적 건강수준의 관련성: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 (28): 57-67, 2011

      9 김유미, "건강위험요인에서의 불평등: 우리나라의 현황" 대한의사협회 56 (56): 175-183, 2013

      10 Kim HR.,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s with morbidity in seoul, Korea" 25 (25): 3-35, 2005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Guide Book. KNHANES III 200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2 Macintyre S., "The Black Report and beyond: what are the issues?" 44 (44): 723-745, 1997

      13 Liu J, "Ten-year risk of cardiovascular incidence related to diabetes, prediabet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153 (153): 552-558, 2007

      14 Loucks EB, "Socioeconomic position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early, middle, and late life: evidence from NHANES 1999-2002" 17 (17): 782-790, 2007

      15 Brown A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among persons with diabetes mellitus: a conceptual framework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6 : 63-77, 2004

      16 Adler NE,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No easy solution" 269 (269): 3140-3145, 1993

      17 Loucks EB,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metabolic syndrome differ by gender: evidence from NHANES III" 17 : 19-26, 2007

      18 Lee SK., "Social contextual effects on regional mortality and self-rated health status" The Graduate School, Yeonsei University 2002

      19 Kim Y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33-36, 2015

      20 Marquezine GF, "Metabolic syndrome determinants in an urban population from Brazil: social class and gender-specific interaction" 129 (129): 259-265, 2008

      21 Lee JM, "Influences on health behaviors execution and self rated health as socioeconomic class by the age bracket" 16 (16): 317-327, 2012

      22 Kim HR., "Implication of health behaviors in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and policy directions" 149 : 36-47, 2009

      23 Dallongeville J, "Household incom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a sex-specific manner" 28 (28): 409-415, 2013

      24 Lahelma E, "Health and social inequitiesin Finlandand elsewhere" 31 (31): 257-265, 1990

      25 Seo JM., "Gender differences in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incident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5

      26 Yoon TH,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among the social strata in Korea" 33 (33): 469-476, 2000

      27 Kim MH,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Q-5D in patients with rheumatic diseases" 14 (14): 1401-1406, 2005

      28 House JS,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aging and health over the life course:Evidence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Study from 1986 to 2001/2002(American's Changing Lives Study)" 60 (60): S15-S26, 2005

      29 Department of Social statistics,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life tabl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4 0.80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