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학교효과성의 영향 요인으로 학교풍토, 수업활동, 조직구조와 운영형식의 매개변인을 설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RMSEA .060, NFI .929, IFI 및 CFI .955로 나타나 현실을 반영하는 좋은 모형이라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표집수를 고려한 χ² 값 및 표준화된 χ² 값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의 적합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수업활동, 학교풍토, 조직구조와 운영형식의 매개변인을 통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각각 .059, .369, .143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전체적인 간접효과는 .572로 산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학교효과성의 영향 요인으로 학교풍토, 수업활동, ...

      본 연구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학교효과성의 영향 요인으로 학교풍토, 수업활동, 조직구조와 운영형식의 매개변인을 설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RMSEA .060, NFI .929, IFI 및 CFI .955로 나타나 현실을 반영하는 좋은 모형이라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표집수를 고려한 χ² 값 및 표준화된 χ² 값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의 적합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수업활동, 학교풍토, 조직구조와 운영형식의 매개변인을 통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각각 .059, .369, .143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전체적인 간접효과는 .572로 산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the school effectiveness. The effect factors of the school effectiveness such as school climate, teaching behavio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style were fixed as extraneous variables. The results on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br/>
      First, the goodness-of-fit indices of the effects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the school effectiveness are RMSEA .060, NFI .929, IFI and CFI .955, relatively. Also the χ² value considering the amount of the sample and normed-χ² value correspond to the goodness-of-fit indices.<br/>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school effectiveness through extraneous variables such as teaching behavior, school climat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style was .059, .369, .143, relatively. The overall indirect effect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school effectiveness was .572.<br/>
      As a result, the model of this study is reflecting our rea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the school effectiveness. The effect factors of the school effectiveness such as school climate, teaching behavio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the school effectiveness. The effect factors of the school effectiveness such as school climate, teaching behavio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style were fixed as extraneous variables. The results on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br/>
      First, the goodness-of-fit indices of the effects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the school effectiveness are RMSEA .060, NFI .929, IFI and CFI .955, relatively. Also the χ² value considering the amount of the sample and normed-χ² value correspond to the goodness-of-fit indices.<br/>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school effectiveness through extraneous variables such as teaching behavior, school climat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 style was .059, .369, .143, relatively. The overall indirect effect of principal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school effectiveness was .572.<br/>
      As a result, the model of this study is reflecting our re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효과적인 학교의 특성 및 학교개선에 관한 연구" 9 : 169-184, 1994

      2 "효과적인 학교를 위한 수업 지도성의 과제" 34 (34): 121-142, 1996

      3 "효과적인 학교를 결정하는 과정변인에 대한 연구" 4 : 79-144, 1999

      4 "효과적인 학교를 결정하는 과정 변인에 대한 연구" 1998

      5 "효과적인 학교’에 관한 연구동향" 7 : 107-124, 1991

      6 "학생, 교사,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연구" 17 (17): 251-272, 1999

      7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 논리 탐구" 20 (20): 257-280, 2002

      8 "학교효과성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15 (15): 376-410, 1997

      9 "학교종합평가 종합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3

      10 "학교조직풍토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28 (28): 67-80, 1990

      1 "효과적인 학교의 특성 및 학교개선에 관한 연구" 9 : 169-184, 1994

      2 "효과적인 학교를 위한 수업 지도성의 과제" 34 (34): 121-142, 1996

      3 "효과적인 학교를 결정하는 과정변인에 대한 연구" 4 : 79-144, 1999

      4 "효과적인 학교를 결정하는 과정 변인에 대한 연구" 1998

      5 "효과적인 학교’에 관한 연구동향" 7 : 107-124, 1991

      6 "학생, 교사,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연구" 17 (17): 251-272, 1999

      7 "학부모의 학교운영 참여 논리 탐구" 20 (20): 257-280, 2002

      8 "학교효과성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15 (15): 376-410, 1997

      9 "학교종합평가 종합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3

      10 "학교조직풍토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28 (28): 67-80, 1990

      11 "학교조직의 관료화ㆍ조직구조특성ㆍ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연구" 17 (17): 221-254, 1999

      12 "학교조직문화ㆍ교장의 수업지도성ㆍ교사의 전문적 수용권의 관계" 1997

      13 "학교장지도성과 학교효과와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10 (10): 89-113, 2000

      14 "학교장의 지도성행위ㆍ교사의 소진ㆍ학교효과성의 관계 연구" 1992

      15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행위가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1994

      16 "학교장 수업지도성, 학교 풍토, 수업조직화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공분산 구조 분석" 21 (21): 31-54, 2003

      17 "학교문화,수업지도성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분석에 따른 학교정책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17 (17): 167-193, 1999

      18 "학교단위책임경영제:이론과 실제" 원미사 2004

      19 "학교경영의 발전과 과제" 양서원 2002

      20 "학교 효과성 증진을 위한 학교장의 역할" 12 : 276-295, 1997

      21 "학교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33 (33): 281-308, 1995

      22 "학교 조직문화 형성 변인 탐색" 22 (22): 85-104, 2004

      23 "초등학교교육 효과성과 총체적 질 관리 통합 모형 개발 연구" 15 (15): 1-18, 2002

      24 "조직구조와 조직효과성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18 : 269-288, 1989

      25 "정의교육과 인성교육의 구현:인성교육을 위한 교육환경분석 및 개선방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1998

      26 "인간 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연구" 18 : 99-123, 1997

      27 "수업평가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02

      28 "수업과 학교장 지도성" 19 (19): 53-77, 2001

      29 "세기적 대전환과 대안적 교육" 18 (18): 179-214, 2000

      30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2004

      31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관한 최근 연구와 시사" l9 (l9): 31-55, 2002

      32 "교육의 지역화를 위한 교장의 역할" 21 (21): 73-93, 2003

      33 "교사가 지각한 교장 수업지도성과 학생 학업성취도와의 관계구조" 2001

      34 "The Organization Climate of School The University of Chicago" Midwest Administration Center 1963

      35 "School climate and School Culture" 29 (29): 72-82, 1991

      36 "School Effectiveness and Management of Effective Learning and Teaching" 4 (4): 290-310, 1994

      37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1988

      38 "Exemplary Schools and the Search for Effectiveness" 37 (37): 10-14, 1979

      39 "Effective School for the Urban Poor" 37 (37): 15-23, 1979

      40 "Educational Administr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6th Ed.)." McGraw-Hill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