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미술심리치료 현장실습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074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is an autoethnography that i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cultural self with regards to the experiences of a master’student in art psychotherapy when performing the fieldwork of art psychotherapy. I as a researcher and an autoethnographer represent the experiences of the fieldwork performed by a master’s student in the art psychotherapy program and go further to illustrate the layers of their meanings. Therefore, this essay is a tool of a master’s student for his or her self-reflection. Moreover, its methodological contributions are to show the utility of autoethnography as primary source.
      In this essay, immigration background adolescents refers to a group of Chinese adolescents who migrated to and live in South Korea after being born and growing up in China as their motherland. The existing related literature shows that the numbe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immigrate to South Korea due to their parents’ migration or invitation are increasing. Therefore, the need for their emotional support as well as their psychotherapeutic arbitration emerges. Thus, the researcher examines herself as the major research subject and take as its research topic the self-reflection as well as the experiences of growth that the researcher discovered through her art psychotherapy and field training with the youths of immigration background.

      The research questions involve; “what kind of experiences did I have as a master’s student in art psychotherapy through the fieldwork for immigration background adolescents?” “what sort of significance do these experiences have to myself as a master’s student in art psychotherapy?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suggested subject categories is as follows.
      First, "one step toward an unknown land” refers to the process through which to design the overall fieldwork for the youth with immigration background and to prepare for the meetings. In the process, the researcher experiences expectations, fear, anxiety, and frustration, and examines herself. Through the examination, the researcher discovers the issue of herself having experienced migration and its consequent upbringing, the difficulty of controlling transconference in relation to the clients, the doubts on her ability drawn from not having done fieldwork for the time being. The experience of such crises provides the researcher with an opportunity of self-reflection as to what it means to become an art therapist, why she wants to become an art therapist, and what it means to become a client.
      Second, "a rocking wave and dilemma” means the emotions and difficulty that the researcher encountered in the fieldwork. The researcher addresses the different kinds of problems all at once and therefore experiences lethargy, overload, and mental exhausition. However, the researcher obtains a moment of transition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art therapy and the youth with immigration background, by way of coordinating her own expectations and addressing the problems in fieldwork.
      Third, “a sunshine penetrating hazy clouds” shows the experience of transition where the researcher realizes the actual role of the art therapist and the value of art therapy. In the process, she expands her understanding of the clients and lessens her doubts on the clients and herself. Furthermore, she experiences the healing effect of art through the researcher's preliminary and reactive work and reflects upon what art means to herself and why she wants to become an art therapist. Thus, the researcher discovers the value of art and art therapy, thereby experiencing the transition from the "self as person" to the "self as profession.
      Fourth, "a flower bud discovered in vines" refers metaphorically to the meaning of the fieldwork to herself as a master's student in art psychotherapy. Through this journey, the researcher embraces herself and truly understands the clients. This process provides power and courage to the researcher to be able to live as her true self and as an art therapist. By way of the autoethnographic writing, the researcher heals herself, and through the unification of her personal and professional sides, discovers the development and self-affirmation of herself.
      The contributions that this study makes to the field of art psychotherapy and the clinical area of fieldwork are the following.
      This autoethnographic account narrates the training experience of a master's student in art psychotherap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cultural self. This study thus offers a concrete and approachable example of the fieldwork for trainees. Furthermore,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art psychotherapy for the youth with immigration background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This study also closely examines herself alienated and broken apart by culture, thereby healing and putting herself together. This autoethnographic investigation accomplished by self-understanding and reception serves as a bridge between the personal and the professional and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us, this study offers an account of the possibility of effectivity of autoethnograpy in the field of art psychotherapy.
      번역하기

      This essay is an autoethnography that i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cultural self with regards to the experiences of a master’student in art psychotherapy when performing the fieldwork of art psychotherapy. I as a researcher and an aut...

      This essay is an autoethnography that i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cultural self with regards to the experiences of a master’student in art psychotherapy when performing the fieldwork of art psychotherapy. I as a researcher and an autoethnographer represent the experiences of the fieldwork performed by a master’s student in the art psychotherapy program and go further to illustrate the layers of their meanings. Therefore, this essay is a tool of a master’s student for his or her self-reflection. Moreover, its methodological contributions are to show the utility of autoethnography as primary source.
      In this essay, immigration background adolescents refers to a group of Chinese adolescents who migrated to and live in South Korea after being born and growing up in China as their motherland. The existing related literature shows that the numbe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immigrate to South Korea due to their parents’ migration or invitation are increasing. Therefore, the need for their emotional support as well as their psychotherapeutic arbitration emerges. Thus, the researcher examines herself as the major research subject and take as its research topic the self-reflection as well as the experiences of growth that the researcher discovered through her art psychotherapy and field training with the youths of immigration background.

      The research questions involve; “what kind of experiences did I have as a master’s student in art psychotherapy through the fieldwork for immigration background adolescents?” “what sort of significance do these experiences have to myself as a master’s student in art psychotherapy?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suggested subject categories is as follows.
      First, "one step toward an unknown land” refers to the process through which to design the overall fieldwork for the youth with immigration background and to prepare for the meetings. In the process, the researcher experiences expectations, fear, anxiety, and frustration, and examines herself. Through the examination, the researcher discovers the issue of herself having experienced migration and its consequent upbringing, the difficulty of controlling transconference in relation to the clients, the doubts on her ability drawn from not having done fieldwork for the time being. The experience of such crises provides the researcher with an opportunity of self-reflection as to what it means to become an art therapist, why she wants to become an art therapist, and what it means to become a client.
      Second, "a rocking wave and dilemma” means the emotions and difficulty that the researcher encountered in the fieldwork. The researcher addresses the different kinds of problems all at once and therefore experiences lethargy, overload, and mental exhausition. However, the researcher obtains a moment of transition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art therapy and the youth with immigration background, by way of coordinating her own expectations and addressing the problems in fieldwork.
      Third, “a sunshine penetrating hazy clouds” shows the experience of transition where the researcher realizes the actual role of the art therapist and the value of art therapy. In the process, she expands her understanding of the clients and lessens her doubts on the clients and herself. Furthermore, she experiences the healing effect of art through the researcher's preliminary and reactive work and reflects upon what art means to herself and why she wants to become an art therapist. Thus, the researcher discovers the value of art and art therapy, thereby experiencing the transition from the "self as person" to the "self as profession.
      Fourth, "a flower bud discovered in vines" refers metaphorically to the meaning of the fieldwork to herself as a master's student in art psychotherapy. Through this journey, the researcher embraces herself and truly understands the clients. This process provides power and courage to the researcher to be able to live as her true self and as an art therapist. By way of the autoethnographic writing, the researcher heals herself, and through the unification of her personal and professional sides, discovers the development and self-affirmation of herself.
      The contributions that this study makes to the field of art psychotherapy and the clinical area of fieldwork are the following.
      This autoethnographic account narrates the training experience of a master's student in art psychotherap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cultural self. This study thus offers a concrete and approachable example of the fieldwork for trainees. Furthermore,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art psychotherapy for the youth with immigration background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This study also closely examines herself alienated and broken apart by culture, thereby healing and putting herself together. This autoethnographic investigation accomplished by self-understanding and reception serves as a bridge between the personal and the professional and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us, this study offers an account of the possibility of effectivity of autoethnograpy in the field of art psychotherap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미술심리치료 현장실습에서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경험을 연구자가 사회문화적인 자아의 관점에서 기술한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이다.
      연구자이자 자문화기술자(autoethnographer)인 저자는 자아 성찰과 반영적 글쓰기(reflective writing)를 통해 이주배경청소년을 대상으로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미술심리치료 현장실습의 경험을 재현하고 그 의미의 층위를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자기 인식 도구이자 연구방법론으로써 자문화기술지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학술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이주배경청소년이란 중국 출신 중도입국 청소년으로 중국에서 태어나 본국에서 성장하는 도중 부(모)의 재혼으로 한국으로 이주하여 생활하는 청소년이다. 본 연구는 연구자 자신이 주요 연구대상자가 되어 이주배경청소년과 함께한 미술심리치료 현장실습과 그 훈련 과정에서 발견한 자기인식과 성장의 경험을 연구주제로 삼는다.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인 나는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인 나에게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 경험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구성된 주제 범주를 토대로 내린 논의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지의 땅으로 내딛는 한 걸음>은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을 기획하고 만남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연구자는 기대감과 두려움, 불안과 좌절을 경험하며 자신을 탐구한다. 탐구과정에서 연구자는 이주와 성장 과정에서 인식한 개인의 문제, 내담자와의 대상 관계에서 역전이 관리의 어려움, 현장실습 공백으로 인한 능력에 대한 의구심을 발견한다. 이러한 위기의 경험은 연구자로 하여금 미술심리치료사가 된다는 것은 무엇인지, 미술심리치료사가 왜 되고 싶었는지, 내담자가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심하게 하는 자기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일렁이는 파도와 딜레마>는 연구자가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미술심리치료 현장에서 마주한 감정과 어려움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구자는 다양한 문제를 동시다발적으로 처리하면서 무력감, 답답함,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미술심리치료 현장에서 마주하는 문제들로부터 자신의 기대와 현실의 문제를 조정함으로써 미술심리치료 과정과 이주배경청소년에 관한 새로운 이해를 갖게 되는 전환적 관점을 얻게 되었다. 자아 성찰과 슈퍼비전은 연구자 자신에 대한 이해와 감각을 발달시키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나아가 실제적이고 상징적 본보기를 제시하는 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얻게 되었다.
      셋째, <안개구름을 가르는 햇살>은 연구자가 현장실습을 통해 미술심리치료사의 실제 역할을 경험하며 미술심리치료의 가치를 깨닫고 내담자에 대한 이해를 확장함으로써 내담자와 자신에 대한 의구심을 거두어드리는 전환적 경험을 의미한다. 또한 연구자가 예비작업과 반응작업을 통해 미술의 치유성을 경험하며 자신을 만나고 자신에게 미술이 어떤 의미였는지, 왜 미술심리치료사가 되고자 하는지 돌아보게 한다. 이에 연구자는 미술과 미술심리치료의 가치를 발견하고 ‘인간적인 나’에서 ‘직업적인 나’로 전환하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넷째, <덩굴에서 발견한 꽃봉오리>는 연구자이자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인 나에게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이 갖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연구자는 이주배경청소년과 함께한 여정에서 나를 자신을 만나고 수용하며 내담자를 진정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연구자에게 온전한 자신으로서 살아갈 힘과 용기를 주며 미술심리치료사의 길을 여는 자양분이 된다. 연구자는 자문화기술지적 글쓰기를 통해 자신을 치유하고 개인적, 전문적 통합을 통해 한층 성장한 자신의 모습과 자신을 긍정하는 길을 발견했다.
      자문화기술지를 적용한 본 연구는 미술심리치료 전공 석사과정생 경험한 현장실습의 훈련과정을 사회문화적 자아의 관점에서 서술한다. 이러한 연구는 미술심리치료 훈련생에게 현장실습에 관한 구체적이고 접근할 수 있는 경험적 사례를 제공한다. 또한 다문화적 맥락에서의 미술심리치료와 이주배경청소년에 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여 임상 현장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자문화기술지 글쓰기를 통해 문화와 역할로부터 소외되고 조각난 자신의 이야기를 깊이 탐구함으로써 자신을 치유하고 통합해나간다. 이와 같은 자문화기술적 탐구를 통한 자기 이해와 수용의 과정은 개인과 직업,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연결하는 다리(Bridge)로서 연구자의 개인적, 전문적 발달을 이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심리치료학 분야의 자문화기술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미술심리치료 현장실습에서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경험을 연구자가 사회문화적인 자아의 관점에서 기술한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이다. 연구...

      이 글은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미술심리치료 현장실습에서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경험을 연구자가 사회문화적인 자아의 관점에서 기술한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이다.
      연구자이자 자문화기술자(autoethnographer)인 저자는 자아 성찰과 반영적 글쓰기(reflective writing)를 통해 이주배경청소년을 대상으로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미술심리치료 현장실습의 경험을 재현하고 그 의미의 층위를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자기 인식 도구이자 연구방법론으로써 자문화기술지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학술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이주배경청소년이란 중국 출신 중도입국 청소년으로 중국에서 태어나 본국에서 성장하는 도중 부(모)의 재혼으로 한국으로 이주하여 생활하는 청소년이다. 본 연구는 연구자 자신이 주요 연구대상자가 되어 이주배경청소년과 함께한 미술심리치료 현장실습과 그 훈련 과정에서 발견한 자기인식과 성장의 경험을 연구주제로 삼는다.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인 나는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인 나에게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 경험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구성된 주제 범주를 토대로 내린 논의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지의 땅으로 내딛는 한 걸음>은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을 기획하고 만남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연구자는 기대감과 두려움, 불안과 좌절을 경험하며 자신을 탐구한다. 탐구과정에서 연구자는 이주와 성장 과정에서 인식한 개인의 문제, 내담자와의 대상 관계에서 역전이 관리의 어려움, 현장실습 공백으로 인한 능력에 대한 의구심을 발견한다. 이러한 위기의 경험은 연구자로 하여금 미술심리치료사가 된다는 것은 무엇인지, 미술심리치료사가 왜 되고 싶었는지, 내담자가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심하게 하는 자기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일렁이는 파도와 딜레마>는 연구자가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미술심리치료 현장에서 마주한 감정과 어려움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구자는 다양한 문제를 동시다발적으로 처리하면서 무력감, 답답함,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미술심리치료 현장에서 마주하는 문제들로부터 자신의 기대와 현실의 문제를 조정함으로써 미술심리치료 과정과 이주배경청소년에 관한 새로운 이해를 갖게 되는 전환적 관점을 얻게 되었다. 자아 성찰과 슈퍼비전은 연구자 자신에 대한 이해와 감각을 발달시키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나아가 실제적이고 상징적 본보기를 제시하는 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얻게 되었다.
      셋째, <안개구름을 가르는 햇살>은 연구자가 현장실습을 통해 미술심리치료사의 실제 역할을 경험하며 미술심리치료의 가치를 깨닫고 내담자에 대한 이해를 확장함으로써 내담자와 자신에 대한 의구심을 거두어드리는 전환적 경험을 의미한다. 또한 연구자가 예비작업과 반응작업을 통해 미술의 치유성을 경험하며 자신을 만나고 자신에게 미술이 어떤 의미였는지, 왜 미술심리치료사가 되고자 하는지 돌아보게 한다. 이에 연구자는 미술과 미술심리치료의 가치를 발견하고 ‘인간적인 나’에서 ‘직업적인 나’로 전환하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넷째, <덩굴에서 발견한 꽃봉오리>는 연구자이자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인 나에게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현장실습이 갖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연구자는 이주배경청소년과 함께한 여정에서 나를 자신을 만나고 수용하며 내담자를 진정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연구자에게 온전한 자신으로서 살아갈 힘과 용기를 주며 미술심리치료사의 길을 여는 자양분이 된다. 연구자는 자문화기술지적 글쓰기를 통해 자신을 치유하고 개인적, 전문적 통합을 통해 한층 성장한 자신의 모습과 자신을 긍정하는 길을 발견했다.
      자문화기술지를 적용한 본 연구는 미술심리치료 전공 석사과정생 경험한 현장실습의 훈련과정을 사회문화적 자아의 관점에서 서술한다. 이러한 연구는 미술심리치료 훈련생에게 현장실습에 관한 구체적이고 접근할 수 있는 경험적 사례를 제공한다. 또한 다문화적 맥락에서의 미술심리치료와 이주배경청소년에 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여 임상 현장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자문화기술지 글쓰기를 통해 문화와 역할로부터 소외되고 조각난 자신의 이야기를 깊이 탐구함으로써 자신을 치유하고 통합해나간다. 이와 같은 자문화기술적 탐구를 통한 자기 이해와 수용의 과정은 개인과 직업,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연결하는 다리(Bridge)로서 연구자의 개인적, 전문적 발달을 이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심리치료학 분야의 자문화기술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현장실습 7
      • Ⅰ. 들어가며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미술심리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현장실습 7
      • 1) 미술심리치료란 무엇인가 7
      • 2) 미술심리치료 훈련으로서 현장실습 9
      • 2.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미술심리치료 10
      • 1) 이주배경청소년의 유형별 현황과 특징 10
      • 2) 이주배경청소년의 심리발달과 사회적 구성요인 15
      • 3)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미술심리치료 21
      • Ⅲ. 연구의 방법과 절차 24
      • 1. 자문화기술지와 자문화기술자 24
      • 2. 연구 현장 30
      • 3. 자료의 구성과 해석 32
      • 4. 연구의 진실성 37
      • 5. 연구의 윤리적 고려 39
      • Ⅳ . 연구의 결과 41
      • 1. 미지의 땅으로 내딛는 한걸음 41
      • 1) 탐구의 시작 42
      • 2) 떨림과 울림을 안고서 44
      • 3) 이주배경청소년과의 첫만남 51
      • 2. 일렁이는 파도와 딜레마 64
      • 1) 틈에서 느끼는 감정의 층 65
      • 2) 선택의 갈림길에서 68
      • 3. 안개구름을 가르는 햇살 72
      • 1) 손을 내밀며 73
      • 2) 바라보며 74
      • 3) 함께하며 76
      • 4. 덩굴에서 발견한 꽃봉오리 78
      • 1) 이주배경청소년과 미술심리치료 79
      • 2) 미술심리치료사의 길 85
      • Ⅴ. 나가며 87
      • 참고문헌 95
      • 부록 104
      • 1. 연구 참여동의서(국문) 104
      • 2. 연구 참여동의서(중문) 107
      • 3. 사전질문지 109
      • ABSTRACT 1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