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증상으로 행동 및 학업성과에서 어려움을 불러일으키는 흔한 장애로 알려져 있다. ADHD 증상을 보이는 학생들 중에서도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67670
2012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3-96(24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증상으로 행동 및 학업성과에서 어려움을 불러일으키는 흔한 장애로 알려져 있다. ADHD 증상을 보이는 학생들 중에서도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증상으로 행동 및 학업성과에서 어려움을 불러일으키는 흔한 장애로 알려져 있다. ADHD 증상을 보이는 학생들 중에서도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생들은 직장생활로의 전환과 직무관련 추가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의도의 핵심 선행요인이라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설정하고,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ADHD 증상학생에 대한 긍정적 지도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2명의 현직 실업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10% 유의수준에서 통합 교육의도에 다소 약한 영향을 미치며 태도는 다시 자기효능감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진조건과 ADHD에 대한 지식수준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지만, 통합교육에 대한 부담은 10% 정도의 유의수준에서 자기효능감에 상대적으로 약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HD is a common disorder known to be associated with behavioral and academic difficulties. Students with ADHD, specially enrolled in vocational high schools, need programs to help them make transitions to the working world and to re-engage with furth...
ADHD is a common disorder known to be associated with behavioral and academic difficulties. Students with ADHD, specially enrolled in vocational high schools, need programs to help them make transitions to the working world and to re-engage with further learning. Teachers are frequently expected to implement and support treatments for students with ADHD, and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ADHD may influence their support of these treatments as well as academic and behavioral outcomes of students with ADH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based upon theory of reasoned action(TRA)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provide inclusive teaching services to students with ADHD in vocational high schools. Based on 202 survey responses from high school teachers, we show that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marginally (p - value ≤ 10%) motivate teachers to provide inclusive classroom services, and attitude is directly influenced by self-efficacy. It was also confirmed that facilitating condition and knowledge level about ADHD are the antecedents of self-efficacy. But contrary to our expectation, burden for inclusive services has significant impact on self-efficacy, only at 10% significance level.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영,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171-186, 2005
2 황순영,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ADHD학생 교육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77-100, 2009
3 박미화,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ADHD 학생에 대한 인식 및 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37-156, 2008
4 정종성, "초등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수준, ADHD아동 통합에 대한 태도 및 생활지도방법 활용에 대한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71-393, 2010
5 교육과학기술부, "인성 및 공공의식 함양을 위한 학교문화 선진화 방안" 2011
6 황순영, "유치원 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과 중재에 대한 수용도"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65-179, 2007
7 임언, "생애진로개발지원의 현황 및 정책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8 유일영, "보육교사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대한 지식수준 및 태도" 아동간호학회 15 (15): 383-391, 2009
9 곽다연, "목포지역 중등교사의 ADHD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10 (10): 141-159, 2008
10 "뉴시스"
1 김호영,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171-186, 2005
2 황순영,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ADHD학생 교육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77-100, 2009
3 박미화,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ADHD 학생에 대한 인식 및 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37-156, 2008
4 정종성, "초등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수준, ADHD아동 통합에 대한 태도 및 생활지도방법 활용에 대한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71-393, 2010
5 교육과학기술부, "인성 및 공공의식 함양을 위한 학교문화 선진화 방안" 2011
6 황순영, "유치원 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과 중재에 대한 수용도"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65-179, 2007
7 임언, "생애진로개발지원의 현황 및 정책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8 유일영, "보육교사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대한 지식수준 및 태도" 아동간호학회 15 (15): 383-391, 2009
9 곽다연, "목포지역 중등교사의 ADHD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10 (10): 141-159, 2008
10 "뉴시스"
11 김민배, "농업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관련 변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5 (35): 33-46, 2003
12 Ajzen, I., "Understanding the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Prentice-Hall Inc 1975
13 Sherman, J., "Thinking positively: How some characteristics of ADHD can be adaptive and accepted in the classroom" 82 : 196-200, 2006
14 O‘Brien, K. M., "The Career counseling self-efficacy scale: instrument development and training applications" 44 : 20-31, 1997
15 Daniel, L., "Teachers’ attitudes towar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Effects on student self-concept" 2002
16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17 (17): 783-805, 2001
17 Nadeem, E., "Teacher consultation research in attention deficit hiperactivity disorder: a cause for congratulation or consolation" 38 (38): 38-44, 2009
18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19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20 Vereb, R. L., "Research brief: Teachers’ knowledge of ADHD, treatments for ADHD, and treatment acceptability: An initial investigation" 33 : 421-428, 2004
21 Pescosolido, B. A., "Public Knowledge and Assessment of Child Mental Health Problems: Findings From the National Stigma Study-Children" 47 (47): 339-349, 2008
22 Oh, H-K,,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tributes related to teaching a student labeled ADHD" 26 : 885-890, 2010
23 Obrusnikova, I., "Physical educators beliefs about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106 : 637-644, 2008
24 Miller-Johnson, S., "Peer rejection and aggression and early starter models of conduct disorder" 30 : 217-230, 2002
25 Ajzen, I., "Nature and operation of attitudes" 52 : 27-59, 2001
26 Bekle, B.,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 Comparison Between Practicing Teachers and Undergraduate Education Students" 7 : 151-161, 2004
27 Chin, W. W.,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2 (22): 7-16, 1998
28 Arvan, L., "Instructor attitudes within the SCALE efficiency projects" 4 (4): 196-215, 2000
29 Geving, Allison M., "Identifying the types of student and teacher behaviors associated with teacher stress" 23 : 624-640, 2007
30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47, 1981
31 Caprara, G. V., "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95 : 821-832, 2003
32 Ross, J. A., "Effects of teacher efficacy on computer skills and computer cognitions of K-3 students" 102 : 141-156, 2001
33 Reid, R., "Educating Every Teacher, Every Year: The Public Schools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ADHD" 17 : 73-90, 1996
34 Ohan, J.L., "Does knowledge abou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mpact teachers' reported behaviors and perceptions" 23 (23): 436-449, 2008
35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Distance education instruction by postsecondary faculty and staff: Fall 1998"
3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4
37 Venkatesh, V., "Determinan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tegration Control,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11 (11): 342-365, 2000
38 Howell, J. M., "Champio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35 : 317-341, 1990
39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40 Weyandt, L. L., "Assessment of teacher and school psychologist knowledge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46 (46): 951-961, 2009
41 Reid, R.,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27 : 195-202, 1994
42 황순영, "ADHD유아에 대한 조기 판별 가능성 탐색 : 유아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17, 2008
43 이정은,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부모와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233-254, 2010
44 Jacobelli, F., "ADD/ADHD Drug Free: Natural Alternatives and Practical Exercises to Help Your Child Focus" AMACOM 2008
45 Jerome, L., "A comparison of American and Canadian teacher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39 : 563-567, 1994
46 Venkatesh, V.,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46 (46): 186-204, 2000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국어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국어의 연계성 연구
초등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과학수업 교수적합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
예비유아특수교사의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교육실습 경험분석-근거이론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7-06-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9 | 1.19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7 | 1.395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