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박물관 공간 구성—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마음보듬소’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어린이박물관 체험활동은 아동의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여 호기심과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신체 운동능력 및 창의성 발달을 촉진한다. 그러나 장애 또는 성격적 특성으로 이러한 활동을 과도한 감각자극으로 받아들이는 아동도 있다. 특히 발달장애아동의 다수는 불빛, 소리, 질감 등 외부에서 오는 감각 입력을 통합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BR/> 2023년 기준, 국내에 등록된 0 세부터 12 세까지의 발달장애아동은 38,752명으로, 동일 연령대 장애등록 아동의 70.61%, 주민등록 아동의 0.82%에 해당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에서 운영한 장애아동 단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장애유형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도 발달장애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발달장애아동의 박물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마음보듬소’를 조성하였다. ‘마음 보듬소’는 빛과 소리를 조절해 마음의 안정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스트레스나 과도한 감각자극으로 전시를 관람하기 어려울 때 이용할 수 있다.<BR/> ‘마음보듬소’ 이용 실태 분석 결과, 이용자 대부분이 공간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전시 관람에 도움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가 ‘마음보듬소’에서 심리적 안정을 되찾고 전시 관람 또는 다음 일정을 이어갔다는 참가자의 경험 공유는 공간을 기획한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확인하게 해주었다. 효율적 사용을 위한 설명서 제공, 심리적 접근성 확대를 위한 입구 디자인 보완, 감각자극을 위한 교구재 추가 비치, 홍보 확대 등 이용자의 수요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마음보듬소’ 발전 방안으로 그림상징 및 사용설명서 개발, 다양한 촉각 교구 제공, 적극적인 홍보 전략 실행을 제시하였다.<BR/> 국립박물관에서 장애·비장애아동을 모두 포용하는 심리안정 공간을 만든 첫 사례로서 ‘마음보듬소’가 가지는 의의가 크다. 그러나 ‘마음보듬소’ 조성은 접근성을 높이는 조건을 갖춘 것에 불과하다. 이용자의 의견에 더 귀 기울이고, 일관적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학문적인 체계 속에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어린이박물관 체험활동은 아동의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여 호기심과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신체 운동능력 및 창의성 발달을 촉진한다. 그러나 장애 또는 성격적 특성으...

      어린이박물관 체험활동은 아동의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여 호기심과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신체 운동능력 및 창의성 발달을 촉진한다. 그러나 장애 또는 성격적 특성으로 이러한 활동을 과도한 감각자극으로 받아들이는 아동도 있다. 특히 발달장애아동의 다수는 불빛, 소리, 질감 등 외부에서 오는 감각 입력을 통합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BR/> 2023년 기준, 국내에 등록된 0 세부터 12 세까지의 발달장애아동은 38,752명으로, 동일 연령대 장애등록 아동의 70.61%, 주민등록 아동의 0.82%에 해당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에서 운영한 장애아동 단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장애유형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도 발달장애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발달장애아동의 박물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마음보듬소’를 조성하였다. ‘마음 보듬소’는 빛과 소리를 조절해 마음의 안정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스트레스나 과도한 감각자극으로 전시를 관람하기 어려울 때 이용할 수 있다.<BR/> ‘마음보듬소’ 이용 실태 분석 결과, 이용자 대부분이 공간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전시 관람에 도움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린이가 ‘마음보듬소’에서 심리적 안정을 되찾고 전시 관람 또는 다음 일정을 이어갔다는 참가자의 경험 공유는 공간을 기획한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확인하게 해주었다. 효율적 사용을 위한 설명서 제공, 심리적 접근성 확대를 위한 입구 디자인 보완, 감각자극을 위한 교구재 추가 비치, 홍보 확대 등 이용자의 수요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마음보듬소’ 발전 방안으로 그림상징 및 사용설명서 개발, 다양한 촉각 교구 제공, 적극적인 홍보 전략 실행을 제시하였다.<BR/> 국립박물관에서 장애·비장애아동을 모두 포용하는 심리안정 공간을 만든 첫 사례로서 ‘마음보듬소’가 가지는 의의가 크다. 그러나 ‘마음보듬소’ 조성은 접근성을 높이는 조건을 갖춘 것에 불과하다. 이용자의 의견에 더 귀 기울이고, 일관적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학문적인 체계 속에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ildren’s Museum provides stimuli for children’s various senses including sight, hearing, and touch in order to induce curiosity and learning motivation,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physical motor skills and creativity. Some children, however, may perceive these activities as sensory overstimulation due to disabilities or personality traits. In particular, man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y integrating external sensory inputs such as light, sound, and texture.<BR/> As of 2023, there are 38,752 children aged 0 to 12 with registere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accounting for 70.61% of all register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same age group and 0.82% of all registered children in the country.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programs run by the Children’s Museum Divis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BR/> As such,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reated the ‘Quiet Room’ to increase accessibilit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pace allows children to find peace of mind by controlling light and sound, and is available for use in cases of stress or sensory overstimulation that hinders their exhibition viewing experience.<BR/> The analysis of the usage of the Quiet Room revealed that most of the users agreed with the need for the space and found it helpful in viewing the exhibition. Participants’ feedback, that children regained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Quiet Room and continued with the exhibition or their subsequent activities confirmed the fulfillment of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pace. The analysis also identified specific user demands including the provision of user manuals, improvement of the entrance design to enhance psychological accessibility, provision of additional teaching materials, and expansion of publicity. Based on its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venue,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pictorial symbols and user manuals, provision of various tactile teaching aids, and implementation of active publicity strategies.<BR/> The Quiet Room is significant as the first instance in which a national museum created a mental health space to embrace both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However, the creation of the Quiet Room represents the first step toward enhancing accessibility. Efforts to further develop the space in an academic framework must be sustained by listening more closely to users feedback and establishing consistent evaluation criteria.
      번역하기

      The Children’s Museum provides stimuli for children’s various senses including sight, hearing, and touch in order to induce curiosity and learning motivation,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physical motor skills and creativity. Some children, howe...

      The Children’s Museum provides stimuli for children’s various senses including sight, hearing, and touch in order to induce curiosity and learning motivation,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physical motor skills and creativity. Some children, however, may perceive these activities as sensory overstimulation due to disabilities or personality traits. In particular, man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y integrating external sensory inputs such as light, sound, and texture.<BR/> As of 2023, there are 38,752 children aged 0 to 12 with registere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accounting for 70.61% of all register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same age group and 0.82% of all registered children in the country.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programs run by the Children’s Museum Divis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BR/> As such,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reated the ‘Quiet Room’ to increase accessibilit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pace allows children to find peace of mind by controlling light and sound, and is available for use in cases of stress or sensory overstimulation that hinders their exhibition viewing experience.<BR/> The analysis of the usage of the Quiet Room revealed that most of the users agreed with the need for the space and found it helpful in viewing the exhibition. Participants’ feedback, that children regained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Quiet Room and continued with the exhibition or their subsequent activities confirmed the fulfillment of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pace. The analysis also identified specific user demands including the provision of user manuals, improvement of the entrance design to enhance psychological accessibility, provision of additional teaching materials, and expansion of publicity. Based on its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venue,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pictorial symbols and user manuals, provision of various tactile teaching aids, and implementation of active publicity strategies.<BR/> The Quiet Room is significant as the first instance in which a national museum created a mental health space to embrace both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However, the creation of the Quiet Room represents the first step toward enhancing accessibility. Efforts to further develop the space in an academic framework must be sustained by listening more closely to users feedback and establishing consistent evaluation criteri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