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원화 현상이 나타나는 포스트모던 패션의 장르해체의 현상 규명을 위한 것으로 ‘다르게 말하다’라는 의미의 알레고리론을 적용하여 패션의 미학적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6073
-
2012년
Korean
알레고리 ; 장르해체 ; genre deconstruction ; postmodernism ; allegory ; 포스트모더니즘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원화 현상이 나타나는 포스트모던 패션의 장르해체의 현상 규명을 위한 것으로 ‘다르게 말하다’라는 의미의 알레고리론을 적용하여 패션의 미학적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다원화 현상이 나타나는 포스트모던 패션의 장르해체의 현상 규명을 위한 것으로 ‘다르게 말하다’라는 의미의 알레고리론을 적용하여 패션의 미학적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고찰로 이루어지며 그 고찰 과정은 연구체계 구축, 알레고리적 연관 개념 도출, 패션 장르해체의 알레고리적 규명의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된다.
연구체계 구축을 위하여 알레고리의 개념과 기원을 살펴보고 패션에서 알레고리적 분석을 추론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하여 20세기 포스트모던 양식의 알레고리 이론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 한다. 선행 연구들이 패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지닌다는 현상적 측면만을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중 알레고리 관점에서 현대 패션의 장르해체를 해석하는 타당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패션 장르해체와 알레고리론의 연관 개념을 도출하여 현대 패션의 장르해체 현상을 알레고리적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패션 장르해체의 분석도구로 발터 벤야민, 크렉 오웬스, 폴 드 만의 알레고리론을 바탕으로 알레고리의 이론적 고찰과 패션 장르해체의 일반적 고찰을 병행한다. 알레고리 이론와 장르해체의 연관 개념 도출을 위하여 현대적 의미로 알레고리를 재평가한 발터 벤야민의 논의를 살펴보고, 그의 알레고리 이론을 해체적 알레고리 개념으로 이끌어낸 폴 드 만의 논의를 고찰하며, 알레고리의 의미가 현대 미술의 해석 개념으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제시한 크렉 오웬스의 이론을 검토한다. 이는 현대 패션의 장르해체를 알레고리로 해석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의 타진이 될 것이다.
실증적 고찰은 장르해체의 특성을 보이는 분석대상을 선정하여 내적 의미와 외적 표현 특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선정된 실증 자료들을 분석해서 알레고리에 대한 기존의 해석들과 연관시키는 것을 지향하는 연구이다. 패션 장르해체를 설명하는 알레고리의 연관적 개념을 설정하고 외적·내적 특성을 보이는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이러한 알레고리적 분석 지표를 통하여 외적으로는 조형적 특성을 내적으로는 미적 의미의 특성을 규명한다. 내적으로는 의미, 기능, 형태의 해체 의미를 도출하고, 외적으로는 패션의 기능, 소재, 형태, 착장, 영역에서 나타나는 장르해체의 표현 특성을 도출하여 패션 장르해체의 알레고리적 해석이 타당한지 규명한다.
중요한 것은 알레고리 이론이 패션의 장르해체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의 타당성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포스트모던 패션의 장르해체를 알레고리 이론의 해석과 가능성을 밝히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cademic understanding had been achieved by exploring the theoretical concept “allegory” and a new theoretical approach methodology had been sought. Second, an analysis-index of fashion design ca...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cademic understanding had been achieved by exploring the theoretical concept “allegory” and a new theoretical approach methodology had been sought. Second, an analysis-index of fashion design cases had been suggested based on the allegory theory. Third, in order to draw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s viewed from the allegorical viewpoint and find out its feasibility, the case studies had been referred and the internal significance, external significance together with characteristics had been extracted. Regarding the study method, literature study and case study had been done in parallel. This study was done in following sequence, which is; the study system establishment, drawing the allegory-associated concepts and then finding out the aesthetic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e conclusions of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s viewed from the allegorical. First, the borrowing of image,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allegory, contains the meaning of uncertainty in the fashion design as it expresses the image-synthesis and forms a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as the fixed meaning is dissolved and it is utilized as a photo-montage technique. Second, the inference of pictogram is the mixture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