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유하는 삶에 대한 철학사적 평가―고대 그리스 철학과 하이데거의 철학을 중심으로― = Philosophical Assessments on the Thinking Life ― Focusing on Ancient Greek and Heidegger’s Philosoph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34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철학사에서 사유하는 삶이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철학사 중에서도 특히 고대 그리스 철학과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교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고대 그리스 사상에서는 사유하는 순간의 삶을 가리켜 “관조적 삶(theōrētikos bios)”이라고 불렀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관조하는 삶을 최상의 삶으로 여겼고, 신적인 삶이라 여겼다. 하지만 필멸자인 인간은 관조하는 삶만을 살 수는 없었으며, 세속적인 삶이 최대한 관조하는 삶과 닮기를 원했다. 하이데거는 고대 그리스적 “관조하는 삶”을 실존의 근본태도서의 학문으로 이해했다. 하이데거는 “관조하는 삶”과 같이 현실을 살아가는 인간의 삶의 유형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우리는 그의 철학적 기획을 재구성하여 그가 분명히 숙고하는 삶을 최상의 삶으로 여겼음을 추론해 낼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철학과 하이데거 철학에서 사유하는 삶은 최상의 것이다. 이 논문은 두 철학을 비교하며 결론적으로 최상의 삶과 모든 인간의 원칙적 사유가능성이 일종의 균열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철학사에서 사유하는 삶이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철학사 중에서도 특히 고대 그리스 철학과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교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고대 그리스 사상에...

      이 글은 철학사에서 사유하는 삶이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철학사 중에서도 특히 고대 그리스 철학과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교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고대 그리스 사상에서는 사유하는 순간의 삶을 가리켜 “관조적 삶(theōrētikos bios)”이라고 불렀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관조하는 삶을 최상의 삶으로 여겼고, 신적인 삶이라 여겼다. 하지만 필멸자인 인간은 관조하는 삶만을 살 수는 없었으며, 세속적인 삶이 최대한 관조하는 삶과 닮기를 원했다. 하이데거는 고대 그리스적 “관조하는 삶”을 실존의 근본태도서의 학문으로 이해했다. 하이데거는 “관조하는 삶”과 같이 현실을 살아가는 인간의 삶의 유형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우리는 그의 철학적 기획을 재구성하여 그가 분명히 숙고하는 삶을 최상의 삶으로 여겼음을 추론해 낼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철학과 하이데거 철학에서 사유하는 삶은 최상의 것이다. 이 논문은 두 철학을 비교하며 결론적으로 최상의 삶과 모든 인간의 원칙적 사유가능성이 일종의 균열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ains the understanding of a thinking lif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t especially focuses on ancient Greek philosophy and Heidegger’s philosophy. In ancient Greek philosophy, they said “theōrētikos bios”, referring a moment of thinking in life. The ancient Greeks regarded “theōrētikos bios” as the best life or godlike life. Mortals, however, are unable to live a pure “theōrētikos bios”, so the ancient Greeks longed for their secular life to be as close to a “theōrētikos bios” as possible. Heidegger regarded “theōrētikos bios” as a fundamental manner of existence, that is, the science. Heidegger does not present types of life just like ancient greek “theōrētikos bios”, but we can restructure his philosophical project, to deduce that he considered that the best life was a thoughtful life. Thinking life was the best life in both philosophies. After comparing the two philosophies,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re is a fracture between the best life and a principal possibility of thinking of all men.
      번역하기

      This paper explains the understanding of a thinking lif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t especially focuses on ancient Greek philosophy and Heidegger’s philosophy. In ancient Greek philosophy, they said “theōrētikos bios”, referring a moment ...

      This paper explains the understanding of a thinking lif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t especially focuses on ancient Greek philosophy and Heidegger’s philosophy. In ancient Greek philosophy, they said “theōrētikos bios”, referring a moment of thinking in life. The ancient Greeks regarded “theōrētikos bios” as the best life or godlike life. Mortals, however, are unable to live a pure “theōrētikos bios”, so the ancient Greeks longed for their secular life to be as close to a “theōrētikos bios” as possible. Heidegger regarded “theōrētikos bios” as a fundamental manner of existence, that is, the science. Heidegger does not present types of life just like ancient greek “theōrētikos bios”, but we can restructure his philosophical project, to deduce that he considered that the best life was a thoughtful life. Thinking life was the best life in both philosophies. After comparing the two philosophies,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re is a fracture between the best life and a principal possibility of thinking of all m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eidegger, M.,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 세계-유한성-고독" 까치 2001

      2 Fichte, J. G., "학문론 또는 이른바 털학의 개념에 관하여" 철학과현실사 2005

      3 Bordes, J., "폴리테이아 – 고대 그리스 시민권론과 정치제제론" 아르케 2000

      4 정준영, "테아이테토스" 이제이북스 2013

      5 Heidegger, M., "철학 입문" 까치 2006

      6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7 김재홍, "정치학" 길 2017

      8 Arendt, H., "정신의 삶" 푸른 숲 2019

      9 Hērodotos, "역사" 숲 2009

      10 Bourdieu, P., "언어와 상징권력" 나남 2014

      1 Heidegger, M.,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 세계-유한성-고독" 까치 2001

      2 Fichte, J. G., "학문론 또는 이른바 털학의 개념에 관하여" 철학과현실사 2005

      3 Bordes, J., "폴리테이아 – 고대 그리스 시민권론과 정치제제론" 아르케 2000

      4 정준영, "테아이테토스" 이제이북스 2013

      5 Heidegger, M., "철학 입문" 까치 2006

      6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7 김재홍, "정치학" 길 2017

      8 Arendt, H., "정신의 삶" 푸른 숲 2019

      9 Hērodotos, "역사" 숲 2009

      10 Bourdieu, P., "언어와 상징권력" 나남 2014

      11 장영란, "아리스토텔레스와 아렌트의 활동적 삶과 관조적 삶" 철학연구회 (115) : 271-299, 2016

      12 송유레, "아리스토텔레스: 에우데모스 윤리학" 한길사 2012

      13 Lincoln, B., "신화 이론화하기 – 서사, 이데올로기, 학문" 이학사 2009

      14 Diogenēs Laertios, "그리스철학자열전" 동서문화사 2016

      15 박찬국, "강연과 논문" 이학사 [서울] 2008

      16 박종현, "[단행본] 플라톤의 국가 · 정체(政體)" 서광사 2005

      17 아리스토텔레스, "[단행본]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6

      18 Heidegger, M., "Vorträge und Aufsätze, GA. 7" Vittorio Klostermann 2000

      19 전광식, "Vita Activa와 Vita contemplativa: 삶의 유형에 대한 개념사적 논의" 대동철학회 (56) : 27-55, 2011

      20 Cicero, M. T., "The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1 Aristotle, "The Politics" Penguin Books 1992

      22 Bacon, F., "The New Organ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3 Heidegger, M., "Sein und Zeit" Max Niemeyer Verlag 1967

      24 Heidegger, M., "Einleitung in die Philosophie, GA. 27" Vittorio Klostermann 1996

      25 Heidegger, M., "Die Grundbegriffe der Metaphysik. Welt - Endlichkeit - Einsamkeit, GA. 29/30" Vittorio Klostermann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 Studi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간연구 창간호 -> 인간연구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0.85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