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선된 Floor Field 기반 보행 시뮬레이션 모델 = An Enhanced Floor Field based Pedestrian Simulation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530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실내 공간과 같이 마이크로한 스케일에서의 분석을 위해 다양한 보행시뮬레이션 모델들이 연구 되어 왔으며, 이 중에는 social force 모델과 floor field 모델이 주목을 받는다. 이 중 연산이 복잡...

      실내 공간과 같이 마이크로한 스케일에서의 분석을 위해 다양한 보행시뮬레이션 모델들이 연구 되어 왔으며, 이 중에는 social force 모델과 floor field 모델이 주목을 받는다. 이 중 연산이 복잡한 social force 모델보다는 CA 기반의 floor field 모델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더 적합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Kirchner 등이 제안한 floor field 모델에서는 dynamic field의 연산 시 자신의 dynamic 값에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dynamic field의 데이터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자신의 dynamic 값은 배제한 다른 에이젼트의 영향만을 받도록 하였으며, dynamic 값의 초기값을 할당하는 문제도 현실적으로 변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알고리즘을 테스트하는 데에는 공간 DBMS에 저장된 실제 3차원 건물모델을 사용하여 추후 실내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대피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되도록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pedestrian simulation models for micro-scale spaces as building indoor areas have been proposed for the last decade and two models - social force model and floor field model - are getting attention. Among these, CA-based floor field model is view...

      Many pedestrian simulation models for micro-scale spaces as building indoor areas have been proposed for the last decade and two models - social force model and floor field model - are getting attention. Among these, CA-based floor field model is viewed more favourable for computer simulations than computationally complex social force model. However, Kirchner's floor field model has limitations in capturing the differences in dynamic values of different agents and this study proposes an enhanced algorithm. This study improved the floor field model in order for an agent to be able to exclude the influences of its own dynamic values by changing the data structure, and, also modified the initial dynamic value problem in order to fit more realistic environment. In the simulations, real 3D building data stored in a spatial DBMS were used considering future integration with indoor localization sensors and real time applic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대, "도로 네트워크에서 이동 객체의 과거 궤적 분석을 통한 미래 경로 예측"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8 (8): 109-120, 2006

      2 황정래,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 객체 궤적의 간략화"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9 (9): 51-65, 2007

      3 김영진, "공간 네트워크 상의 이동객체를 위한 시그니처 기반의 궤적 색인구조"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0 (10): 1-18, 2008

      4 김용기,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제약을 고려한 경로 내 최근접 질의처리 알고리즘"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0 (10): 19-30, 2008

      5 Blue, V. J, "Using cellular automata microsimulation to model pedestrian movements" 235-254, 1999

      6 Bonabeau, E, "Swarm intelligence: From natural to artificial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7 Nishinari, K, "Simulations of evacuation by an extended floor field CA model" Traffic and Granular Flow 405-410, 2005

      8 Apel, M, "Simulation of pedestrian flows based on the social force model using the Verlet Link Cell Algorithm" Master Thesis, Poznan University of Technology 2004

      9 Burstedde, C, "Simulation of pedestrian dynamics using a two-dimensional cellular automaton" 295 : 507-525, 2001

      10 Helbing, D, "Simulation of pedestrian crowds in normal and evacuation situations" Pedestrian and Evacuation Dynamics, Springer-Verlag 21-58, 2001

      1 김종대, "도로 네트워크에서 이동 객체의 과거 궤적 분석을 통한 미래 경로 예측"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8 (8): 109-120, 2006

      2 황정래,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 객체 궤적의 간략화"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9 (9): 51-65, 2007

      3 김영진, "공간 네트워크 상의 이동객체를 위한 시그니처 기반의 궤적 색인구조"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0 (10): 1-18, 2008

      4 김용기,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제약을 고려한 경로 내 최근접 질의처리 알고리즘"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0 (10): 19-30, 2008

      5 Blue, V. J, "Using cellular automata microsimulation to model pedestrian movements" 235-254, 1999

      6 Bonabeau, E, "Swarm intelligence: From natural to artificial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7 Nishinari, K, "Simulations of evacuation by an extended floor field CA model" Traffic and Granular Flow 405-410, 2005

      8 Apel, M, "Simulation of pedestrian flows based on the social force model using the Verlet Link Cell Algorithm" Master Thesis, Poznan University of Technology 2004

      9 Burstedde, C, "Simulation of pedestrian dynamics using a two-dimensional cellular automaton" 295 : 507-525, 2001

      10 Helbing, D, "Simulation of pedestrian crowds in normal and evacuation situations" Pedestrian and Evacuation Dynamics, Springer-Verlag 21-58, 2001

      11 Kirchner, A, "Simulation of evacuation processes using a bionics-inspired cellular automaton model for pedestrian dynamics" 312 : 260-276, 2002

      12 Helbing, D, "Self-organizationphenomena in pedestrian crowds" Self-Organisation of ComplexStructures: From Individual to 1997

      13 Schreckenberg, M, "Pedestrian and Evacuation Dynamics" Springer-Verlag 2001

      14 Klupfel, H, "Microscopic simulation of evacuation processes on passenger ships" 2002

      15 Hamacher, H. W, "Mathematical modelling of evacuation problems:a state of art" Pedestrian and Evacuation Dynamics, Springer-Verlag 227-266, 2001

      16 Henein, C. M, "Macroscopic effects of microscopic forces between agents in crowd models" 373 : 694-712, 2007

      17 Ben-Jacob. E, "From snowflake formation to growth of bacterial colonies. II: Cooperative formation of complex colonial patterns" 38 (38): 205-241, 1997

      18 Panait, L, "Cooperative multi-agent learning: the state of the art" 11 (11): 387-434, 2005

      19 Schadschneider, A, "Cellular automaton approach to pedestrian dynamics – Theory" Pedestrian and Evacuation Dynamics, Springer-Verlag 75-86, 2002

      20 Wooldridge,M, "An Introduction to Multi Agent Systems" John Wiley & Sons 2002

      21 Henein, C. M, "Agent-Based modelling of force in crowds" 3415 : 173-184,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0-05-01 평가 학술지 폐간(기타)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7-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br>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br>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