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시장평균환율제도에 이어 1997년 12월부터 완전변동환율제도가 채택되어 외환시장에서 확되되고 있는 환율변동의 산업별 수출ㆍ입에 미치는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시장평균환율제도에 이어 1997년 12월부터 완전변동환율제도가 채택되어 외환시장에서 확되되고 있는 환율변동의 산업별 수출ㆍ입에 미치는 영...
본 연구의 목적은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시장평균환율제도에 이어 1997년 12월부터 완전변동환율제도가 채택되어 외환시장에서 확되되고 있는 환율변동의 산업별 수출ㆍ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1990년대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대미 실질환율과 대일 실질환율로 구성된 실질실효환율과 GARCH(1,1)을 이용하여 추정한 실질실효환율변동성, 미ㆍ일 실효생산성 또는 한국의 생산성지수를 추정 변수들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월별 자료이기 때문에 일부 산업의 수출방정식에서 공적분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 실질실효환율수준이 유의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단기에는 차분된 실질실효완율보다는 환율변동성이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것은 1990년대 환율변동이 발생할 때, 우리경제는 수출수량보다는 수출단가를 또는 수출보다는 수입수량이나 수입단가를 조정하는 소규모 개방경제의 특징을 보여 준 것으로 해석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남북간 교역에 있어 경제적 요인과 질적ㆍ제도적 요인의 함의와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