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선형 뉴런출력을 갖는 RBF 신경망 학습 알고리즘 = Learning Algorithm of RBF Neural Networks with Nonlinear Respon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073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RBF 신경망에 관해 가우스형의 기저함수 사용은 백프로게이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구배 감소와 같은 학습 알고리즘의 수행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더 나아가서 뉴런 출력에 관해 선형의 전달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sensitivity 분석은 구배감소와 같은 학습 알고리즘이 잘못된 결과를 유도하게 된다. 광선형의 기저함수들은 반드시 가우스형의 지수함수에 의해서만 유도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선형함수의 생성자를 통해 유도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함수의 생성자를 사용한 RBF 네트워크의 구축과 뉴런 출력이 선형이 아닌 로그-시그모이드형의 일반적인 비선형인 경우에 있어서 학습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가우스 함수를 적용하는 모형을 포함한 모든 다양한 RBF 모형을 admissible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모의실험 결과는 제안된 학습 알고리즘이 안정적이고, 보다 좋은 성질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번역하기

      RBF 신경망에 관해 가우스형의 기저함수 사용은 백프로게이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구배 감소와 같은 학습 알고리즘의 수행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더 나아가서 뉴런 출력에 관...

      RBF 신경망에 관해 가우스형의 기저함수 사용은 백프로게이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구배 감소와 같은 학습 알고리즘의 수행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더 나아가서 뉴런 출력에 관해 선형의 전달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sensitivity 분석은 구배감소와 같은 학습 알고리즘이 잘못된 결과를 유도하게 된다. 광선형의 기저함수들은 반드시 가우스형의 지수함수에 의해서만 유도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선형함수의 생성자를 통해 유도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함수의 생성자를 사용한 RBF 네트워크의 구축과 뉴런 출력이 선형이 아닌 로그-시그모이드형의 일반적인 비선형인 경우에 있어서 학습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가우스 함수를 적용하는 모형을 포함한 모든 다양한 RBF 모형을 admissible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모의실험 결과는 제안된 학습 알고리즘이 안정적이고, 보다 좋은 성질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se of Gaussian basis functions prevents the development of a simple and easily implementable learning algorithm based on gradient descent such as the error backpropagation algorithm. Further, a sensitivity analysis explains the failure of gradient descent learning on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s, which are used by alinear transfer function for neuron outron outputs. Admissible radial basis function models can be solved by replacing the exponential by a linear generator function. This paper presents a simple approach for building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s and also proposes a learning algorithm based on sigmoidal transfer functions. This approach results in a broad variety of admissible radial basis function models, including those employing Gaussian radial basis functions. Experiments of the proposed learning algorithm indicate very satisfactory generalization ability.
      번역하기

      The use of Gaussian basis functions prevents the development of a simple and easily implementable learning algorithm based on gradient descent such as the error backpropagation algorithm. Further, a sensitivity analysis explains the failure of grad...


      The use of Gaussian basis functions prevents the development of a simple and easily implementable learning algorithm based on gradient descent such as the error backpropagation algorithm. Further, a sensitivity analysis explains the failure of gradient descent learning on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s, which are used by alinear transfer function for neuron outron outputs. Admissible radial basis function models can be solved by replacing the exponential by a linear generator function. This paper presents a simple approach for building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s and also proposes a learning algorithm based on sigmoidal transfer functions. This approach results in a broad variety of admissible radial basis function models, including those employing Gaussian radial basis functions. Experiments of the proposed learning algorithm indicate very satisfactory generalization abil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