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와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Nursing Tasks,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8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ask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and level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with no family or family paid auxiliary caregiv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488 items: gener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of nursing task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WIN 21.0. Results: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tasks were patient nurs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Nursing tasks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ere medication and transfusion and nursing tasks with the highest knowledge were also medication and transfusion. Nursing task (subcategory) most frequently performed was oral medication. Nursing task (subcategory)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as mental status observation and nursing task (subcategory) with the highest knowledge was vital sign check. Nurs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The mean scores for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low.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perform daily living assistance services more often than previously, and nurses need to be prepared to do these tasks.
      번역하기

      Purpos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ask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and level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with no family or family paid auxiliary caregiv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n...

      Purpos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ask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and level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with no family or family paid auxiliary caregiv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488 items: gener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importance, knowledge of nursing task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PSS WIN 21.0. Results: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tasks were patient nurs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management. Nursing tasks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ere medication and transfusion and nursing tasks with the highest knowledge were also medication and transfusion. Nursing task (subcategory) most frequently performed was oral medication. Nursing task (subcategory) perceived as most important was mental status observation and nursing task (subcategory) with the highest knowledge was vital sign check. Nurs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The mean scores for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low.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working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perform daily living assistance services more often than previously, and nurses need to be prepared to do these tas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목적: 입원환자의 간병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포괄간호서비스를 통해 간병서비스의 제도화를 추진하여 추후 전국으로 확대 할 예정이다. 그러나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가 명확히 분류, 명시되지 않아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를 확인하여 간호업무의 실태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자는 포괄간호서비스병원 1차 시범사업에 참여중인 5개 의료기관의 보호자 없는 병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19명이었다. 일반적 특성, 간호업무별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으로 구성된 총 486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와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간호업무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12개 간호업무영역(대분류) 수행도는 ‘환자간호관리 및 정보관리’, 중요도는 ‘투약 및 수혈’, 지식정도는 ‘투약 및 수혈’이 가장 높았고 간호업무영역별 149개 간호업무(소분류) 수행도는 ‘경구약 투약’, 중요도는 ‘의식상태 관찰’, 지식정도는 ‘활력징후 측정’이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49.42±8.67점, 직무만족은 문항 평균 점수 2.78±0.793점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서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r=-.60, p<.001). 대상자가 수행하는 간호업무 중 직무만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0,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관 기능 관찰’(r=.25, p=.006),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8, p=.002), ‘침상 홑이불 부분 교환’(r=-.22, p=.017) 이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간호업무는 ‘가습기 적용’(r=.29, p=.001),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9, p=.002),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자살예방을 위한 관찰’(r=-.39, p<.001),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2,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기능 관찰’(r=-.30, p=.001), ‘각종 감시기를 통한 관찰’(r=-.28, p=.002) 이었다.
      결론: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 중 일상생활 보조업무의 수행이 증가하였으며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낮고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또 일상생활보조업무 수행은 직무스트레스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만족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번역하기

      연구 목적: 입원환자의 간병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포괄간호서비스를 통해 간병서비스의 제도화를 추진하여 추후 전국으로 확대 할 예정이다. 그러나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

      연구 목적: 입원환자의 간병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포괄간호서비스를 통해 간병서비스의 제도화를 추진하여 추후 전국으로 확대 할 예정이다. 그러나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가 명확히 분류, 명시되지 않아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포괄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를 확인하여 간호업무의 실태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자는 포괄간호서비스병원 1차 시범사업에 참여중인 5개 의료기관의 보호자 없는 병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19명이었다. 일반적 특성, 간호업무별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으로 구성된 총 486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호업무 수행도, 중요도, 지식정도와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간호업무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12개 간호업무영역(대분류) 수행도는 ‘환자간호관리 및 정보관리’, 중요도는 ‘투약 및 수혈’, 지식정도는 ‘투약 및 수혈’이 가장 높았고 간호업무영역별 149개 간호업무(소분류) 수행도는 ‘경구약 투약’, 중요도는 ‘의식상태 관찰’, 지식정도는 ‘활력징후 측정’이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49.42±8.67점, 직무만족은 문항 평균 점수 2.78±0.793점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서로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r=-.60, p<.001). 대상자가 수행하는 간호업무 중 직무만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0,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관 기능 관찰’(r=.25, p=.006),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8, p=.002), ‘침상 홑이불 부분 교환’(r=-.22, p=.017) 이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간호업무는 ‘가습기 적용’(r=.29, p=.001), ‘보행기 사용 시 보조’(r=.29, p=.002),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업무는 ‘자살예방을 위한 관찰’(r=-.39, p<.001), ‘마약 및 독극물 구분 점검’(r=-.32, p<.001), ‘배액양상 및 배액기능 관찰’(r=-.30, p=.001), ‘각종 감시기를 통한 관찰’(r=-.28, p=.002) 이었다.
      결론: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 중 일상생활 보조업무의 수행이 증가하였으며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은 낮고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또 일상생활보조업무 수행은 직무스트레스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직무만족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2 윤금숙,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6 (16): 507-516, 2010

      3 김명애, "중소병원 간호활성화를 위한 현황조사 연구" 병원간호사회 15 (15): 149-165, 2009

      4 김영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6 (16): 13-25, 2009

      5 김종경, "종합병원 간호사의 갈등과 직무만족.조직몰입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3 (13): 421-430, 2007

      6 김종희, "일부 대학부속병원 외래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비교"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2 (22): 83-92, 2013

      7 최정실, "보호자 없는 병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에 대한 인식, 지식과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03-411, 2013

      8 김미란, "병원간호사의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2 (22): 93-101, 2013

      9 김순자, "노인시설 간호사의 간호역량에 미치는 변인" 노인간호학회 12 (12): 29-39, 2010

      10 신경아, "노인 돌봄의 탈가족화와 노인의 경험: 재가노인과 시설거주 노인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학회 45 (45): 64-96, 2011

      1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2 윤금숙,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6 (16): 507-516, 2010

      3 김명애, "중소병원 간호활성화를 위한 현황조사 연구" 병원간호사회 15 (15): 149-165, 2009

      4 김영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6 (16): 13-25, 2009

      5 김종경, "종합병원 간호사의 갈등과 직무만족.조직몰입과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3 (13): 421-430, 2007

      6 김종희, "일부 대학부속병원 외래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비교"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2 (22): 83-92, 2013

      7 최정실, "보호자 없는 병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에 대한 인식, 지식과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03-411, 2013

      8 김미란, "병원간호사의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2 (22): 93-101, 2013

      9 김순자, "노인시설 간호사의 간호역량에 미치는 변인" 노인간호학회 12 (12): 29-39, 2010

      10 신경아, "노인 돌봄의 탈가족화와 노인의 경험: 재가노인과 시설거주 노인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학회 45 (45): 64-96, 2011

      11 한상숙, "간호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73-79, 2008

      12 Cho DR, "Worker’ job stress status and related factors: 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Short Form" 15 (15): 58-71, 2006

      13 Choi HS., "Stress and coping among industrial male workers" Eulji University 2007

      14 Hwang NM, "Status and improvement of caregivers’utilization in general hospital. Policy Repor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8

      15 Rafferty AM, "Outcomes of variation in hospital nurse staffing in English hospitals : Cross-sectional analysis of survey data and discharge records" 44 (44): 175-182, 2007

      16 Slavitt DB,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atisfaction" 27 (27): 114-120, 1978

      17 Kim YJ, "Nurses perform all patients’ care, patients and guardians are touched by hospitals with no guardian" Hankyoreh Newspaper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Jin Young, “I will make the hospitals with no guardi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 Suzuki K, "Mental health status, shift work and occupational accidents among hospital nurses in Japan" 46 (46): 448-454, 2004

      20 Gil HH, "Job analysis of the nursing care service in hospital without a guardian" Hanyang University 2011

      21 Choi CH., "Gyeonggi-do medical centers (hospital with no guardian)have run into problems due to shortage of nurse" Maeil Business Newspaper

      22 Lee E, "Comparison of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medical-surgical nurs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17 (17): 108-117, 2006

      2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Briefing materials of hospital with no guardian demonstration project"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4 Hwang NM, "An analysis of the debates on introduction of public caregivers' services in acute medical centers" 170 : 60-71, 2010

      25 Kim MH,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view of nursing as professionalism" Kyung Hee University 2008

      26 Lee HJ, "A study of the degree of duty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nurses's characteristics" 6 (6): 5-18, 2000

      27 Holden RJ, "A human factors framework and study of the effect of nursing workload on patient safety and employee quality of working life" 20 (20): 15-24, 2011

      2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work plan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98 2.98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6 2.96 4.5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