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  :  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 = Relationship of Smartphone Addiction to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Eth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83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상태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자료수집은 2014년 5월 20일부터 6월 23일까지 서울의 일개 대학교 간호대생 214명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로 신체증상과 정신건강, 스마트폰 중독 및 인터넷 윤리가 측정되었다. 자료분석은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잠재적 위험 고위험의 비율은 각각 14.5%, 16.8%를 차지하였다. 신체증상의 빈도가 높고 인터넷 윤리의식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윤리 중 자율통제는 신체증상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인터넷 윤리의 자율통제를 통해 낮아질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생의 효과적인 스마트폰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윤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상태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자료수집은 2014년 5...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상태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자료수집은 2014년 5월 20일부터 6월 23일까지 서울의 일개 대학교 간호대생 214명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로 신체증상과 정신건강, 스마트폰 중독 및 인터넷 윤리가 측정되었다. 자료분석은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잠재적 위험 고위험의 비율은 각각 14.5%, 16.8%를 차지하였다. 신체증상의 빈도가 높고 인터넷 윤리의식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윤리 중 자율통제는 신체증상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인터넷 윤리의 자율통제를 통해 낮아질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생의 효과적인 스마트폰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윤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statu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et eth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20 and June 23, 2014. Participan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214 nursing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Seoul.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physical symptom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net ethics.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Of the nursing students, 14.5% had high level of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16.8% had potential risk. Higher frequency of physical symptoms and lower level of Internet ethics were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Voluntary-control in Internet ethic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physical symptom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may lowered in nursing students by intensifying Internet ethics especially voluntary-control.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net ethics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the effective use of smartphones.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statu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et eth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statu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et eth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20 and June 23, 2014. Participan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214 nursing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Seoul.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physical symptom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net ethics.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Of the nursing students, 14.5% had high level of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16.8% had potential risk. Higher frequency of physical symptoms and lower level of Internet ethics were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Voluntary-control in Internet ethic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physical symptom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may lowered in nursing students by intensifying Internet ethics especially voluntary-control.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net ethics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the effective use of smartphon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