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IO$_4$-산화 전분당을 Bacillus licheniformis의 $\alpha$-아밀라아제의 반응시켜서 시프염기 형성으로 당단백질로 변형시켜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10$0^{\circ}C$에서의 열안정성은 10분 뒤에, pH 9.7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NaIO$_4$-산화 전분당을 Bacillus licheniformis의 $\alpha$-아밀라아제의 반응시켜서 시프염기 형성으로 당단백질로 변형시켜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10$0^{\circ}C$에서의 열안정성은 10분 뒤에, pH 9.7에...
NaIO$_4$-산화 전분당을 Bacillus licheniformis의 $\alpha$-아밀라아제의 반응시켜서 시프염기 형성으로 당단백질로 변형시켜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10$0^{\circ}C$에서의 열안정성은 10분 뒤에, pH 9.7에서 변형한 효소<pH 8.0에서 변형한 효소> 비변형 효소의 순으로 높았다. 그러나 변형 및 안정성에 $\alpha$-cyclodextrin($\alpha$-CD)을 사용한 결과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pH 8.0에서 $\alpha$-CD 존재하에 변형한 효소는 pH 8~11dml 알칼리쪽에서 가장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으나, pH 5~7사이에는 다른 효소보다 낮았다. pH 9.7에서 변형하지 않은 효소는 pH 5부터 pH 13까지 서서히 증가하였고 pH 9.7에서 $\alpha$-CD존재 하의 효소는 pH 5부터 7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 pH13까지 서서히 감소하였다. $\alpha$-CD존재하의 비변형 효소는 pH 7과 10에서 피크를나타낸 다음 pH12이후에는 급격히 낮아졌다. 변형한 효소는 HPLC 의 유출시간이 빨라wu서 변형하지 않은 효소보다 분자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자량 크기는 비변형 효소<pH 8.0에서 변형한 효소<pH 9.7에서 변형한 효소의 순으로 컸다.
국내산 맥류의 식이섬유 조성 및 이들 추출물의 점성 비교
다시마를 첨가한 고추장의 숙성 중 유리아미노산 조정 및 관능적 특성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