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금자리주택의 지불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ousing Accessibility and Affordability for Bogeumjari Hou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056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의 주택지불능력에 관련한 연구는 소득분위를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주택가격 급등 등 국내ㆍ외 환경변화에 따라 소득과 자산분포의 불평등이나 불일치가 심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2010년 가계금융조사에서 살펴보면, 소득분위와 자산분위가 동일한 경우는 최소 25.6%(소득 3분위ㆍ자산 3분위)에서 최대 50.0%(소득 3분위ㆍ자산 3분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이외에 경우에는 소득분위와 자산분위가 불일치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보금자리주택에 지불능력을 측정하는 요소로 소득분위만을 설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득 10분 위와 자산 10분위를 매트릭스 구조화를 통해 정책대상계층을 재분류하고, 주택구입능력과 주거비부담능력을 통합한 개념인 주택지불능력과 자산형성분을 새로이 추가하여 이를 하남감일지구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공급되고 있는 보금자리주택은 무주택 서민을 위해 공급하기 보다는 적정한 수준의 소득과 자산을 확보한 계층이 지불가능계층으로 나타나서 향후에는 소득과 자산기준을 고려한 규모별 ㆍ 가격별 주택공급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기존의 주택지불능력에 관련한 연구는 소득분위를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주택가격 급등 등 국내ㆍ외 환경변화에 따라 소득과 자산분포의 불평등이나 불일치가 심화...

      기존의 주택지불능력에 관련한 연구는 소득분위를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주택가격 급등 등 국내ㆍ외 환경변화에 따라 소득과 자산분포의 불평등이나 불일치가 심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2010년 가계금융조사에서 살펴보면, 소득분위와 자산분위가 동일한 경우는 최소 25.6%(소득 3분위ㆍ자산 3분위)에서 최대 50.0%(소득 3분위ㆍ자산 3분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이외에 경우에는 소득분위와 자산분위가 불일치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보금자리주택에 지불능력을 측정하는 요소로 소득분위만을 설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득 10분 위와 자산 10분위를 매트릭스 구조화를 통해 정책대상계층을 재분류하고, 주택구입능력과 주거비부담능력을 통합한 개념인 주택지불능력과 자산형성분을 새로이 추가하여 이를 하남감일지구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공급되고 있는 보금자리주택은 무주택 서민을 위해 공급하기 보다는 적정한 수준의 소득과 자산을 확보한 계층이 지불가능계층으로 나타나서 향후에는 소득과 자산기준을 고려한 규모별 ㆍ 가격별 주택공급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pectrum of accessible and affordable demanders for public housing by both income and asset criteria in the capital region in Korea. In particular, we reclassify the data of 1,474 rental households who do not own their houses in the capital region into 10×10 matrix structure and conduct the simulation of public housing accessibility and affordability. From our analyses, it is found that most of the households accessible and affordable for the dwelling unit of 74㎡ in current Bogeumjari housing belong to the income and asset classes higher than average lev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pectrum of accessible and affordable demanders for public housing by both income and asset criteria in the capital region in Korea. In particular, we reclassify the data of 1,474 rental households who do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pectrum of accessible and affordable demanders for public housing by both income and asset criteria in the capital region in Korea. In particular, we reclassify the data of 1,474 rental households who do not own their houses in the capital region into 10×10 matrix structure and conduct the simulation of public housing accessibility and affordability. From our analyses, it is found that most of the households accessible and affordable for the dwelling unit of 74㎡ in current Bogeumjari housing belong to the income and asset classes higher than average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Abstract >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 Ⅲ. 공공주택의 지불능력측정을 위한 기본 가정
      • Ⅳ. 공공주택의 지불가능 계층 분석
      • < Abstract >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 Ⅲ. 공공주택의 지불능력측정을 위한 기본 가정
      • Ⅳ. 공공주택의 지불가능 계층 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규현, "주택취득비용지불능력지수 개발연구" 주택도시연구원 (89) : 37-53, 2006

      2 권치흥, "주택정책 대상계층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 주택지불능력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3 장경석, "주택규모 규제의 시장효과에 관한 연구: 수도권지역 아파트시장의 소형주택 의무비율제도와 가격효과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65 : 3-17, 2010

      4 이중희, "주택구입능력의 측정과 분석" 주택금융공사 (48) : 6-38, 2008

      5 최상희, "주택구매력지수를 활용한 계층별‧지역별 주택공급효과 평가" 대한건축학회 25 (25): 223-230, 2009

      6 이중희, "주택경제론" 박영사 2004

      7 남상호, "저소득층의 자산실태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8 권치흥, "자산과 소득제약을 동시에 고려한 주택구입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18 (18): 31-58, 2010

      9 임미화, "임차가구의 주택구입계획이 자산축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주택학회 18 (18): 5-27, 2010

      10 최막중,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특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자산을 중심으로" 대한국토ᆞ도시계획학회 29-37, 2008

      1 지규현, "주택취득비용지불능력지수 개발연구" 주택도시연구원 (89) : 37-53, 2006

      2 권치흥, "주택정책 대상계층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 주택지불능력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3 장경석, "주택규모 규제의 시장효과에 관한 연구: 수도권지역 아파트시장의 소형주택 의무비율제도와 가격효과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65 : 3-17, 2010

      4 이중희, "주택구입능력의 측정과 분석" 주택금융공사 (48) : 6-38, 2008

      5 최상희, "주택구매력지수를 활용한 계층별‧지역별 주택공급효과 평가" 대한건축학회 25 (25): 223-230, 2009

      6 이중희, "주택경제론" 박영사 2004

      7 남상호, "저소득층의 자산실태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8 권치흥, "자산과 소득제약을 동시에 고려한 주택구입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18 (18): 31-58, 2010

      9 임미화, "임차가구의 주택구입계획이 자산축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주택학회 18 (18): 5-27, 2010

      10 최막중,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특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자산을 중심으로" 대한국토ᆞ도시계획학회 29-37, 2008

      11 노영훈, "소득과 주택자산 소유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05

      12 김준형, "소득계층별 자가소유의 자산증대 효과" 한국주택학회 18 (18): 5-26, 2010

      13 신상영, "서울시 주택부담능력의 측정과 모니터링"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7

      14 장경석, "대학생 주거비부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서울대재학생을 중심으로" 18-39, 2003

      15 국토해양부, "국민주거안정을 위한 보금자리주택공급확대 및 공급체계 개편방안"

      16 변창흠, "공공자가주택의 이념적 근거와 정책효과 분석" 주택도시연구원 2007

      17 장경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비지불능력" 한국도시연구소 5-20, 2003

      18 권일, "계획지원시스템을 이용한 수도권 시가지 성장 예측 시뮬레이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69-84, 2004

      19 여윤경, "가계의 순자산과 자산 배분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2109-2129, 2009

      20 Eggers, J. Frederick, "Trends in Housing Costs: 1985-2005 and the30-percent-of-Income standard, The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HUD)"

      21 Chaplin, R., "Towards and Accurate De of Affordability" 36 (36): 1949-1957, 1999

      22 Stone, M., "Shelter Poverty: New Ideas on Housing Affordability" Temple Univ. Press 1993

      23 Rosen, H.S, "Public Finance" McGraw-Hill 2007

      24 Caner, Asena, "Asset Poverty in the United States, 1984-99: Evidence from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50 (50): 493-518, 2004

      25 "3차 보금자리주택 입주자 모집 공고"

      26 통계청, "2010년 가계금융조사"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4-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For Housing Policy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5 2.12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