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지금까지 정책보험으로 그 역할을 담담히 수행해 온 우리나라 무역보험의 경제적 공헌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2년까지 21년간의 무역보험료 및 수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금까지 정책보험으로 그 역할을 담담히 수행해 온 우리나라 무역보험의 경제적 공헌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2년까지 21년간의 무역보험료 및 수출...
이 연구는 지금까지 정책보험으로 그 역할을 담담히 수행해 온 우리나라 무역보험의 경제적 공헌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2년까지 21년간의 무역보험료 및 수출보험 활용률이 국내총생산(GDP), 금리, 실업률, 환율 등 거시경제지표와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고, 상호 간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무역보험과 경제지표 변수 간의 장기적 균형관계를 VECM(Vector Error Correction Model)과 충격반응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및 예측오차 분산분해(forecast error variance decomposition) 등을 통해 살피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무역보험은 국민총생산과 장기적으로 정(+)의 관계를 맺고 있고, 실업률과는 부(-)의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충격반응 분석결과, 무역보험에 1단위 충격이 발생했을 때 실업률이 관찰기간 중 하락하는 반응을 보여, 무역보험이 국내 실업률 안정에 일정 이바지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환율이나 금리 상승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 시 무역보험 공급 확대로 무역업자의 경제적, 심리적 안정을 담보해 주는 한편 장기적으로 환율과 금리를 안정시키는 기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
한국과 일본의 단기수출보험 약관 비교를 통한 개선점 연구
무역보험공사의 보증금 상환청구에 대한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