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칠장(假漆匠)의 성격과 역할 = The character and role of Gachiljang(假漆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5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achiljang(假漆匠), along with Jinchiljang(眞漆匠), is an important craftsman who cannot be left out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of wooden furniture and wooden build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urrent definition of Gachiljang does not properly explain the nature and role of Gachiljang. In many related terminology dictionaries, Gachiljang is defined as “artisan who dose the base paintwork of Dancheong." But an analysis of the Joseon Dynasty's Uigwe(儀軌) shows that Gachiljang appears frequently in works that are not related to Dancheong at all. Therefore the current definition seems to be inaccurate and need to be revised. Gachiljang is a name that contrasts with Jinchiljang, and he makes and paints Myongyu(明油). Just as Jinchiljang uses not only lacquer but also various pigments to paint colorful lacquer, Gachiljang also uses various pigments to decorate buildings or furniture in a fancy way and then finishs with a transparent paint. Even in the Dancheong(丹靑) work of the building, all the base painting and finish coating work will be in charge of Gachiljang, except for the paintings performed by the Whawon(畫員) or the Whasa(畫師).
      번역하기

      Gachiljang(假漆匠), along with Jinchiljang(眞漆匠), is an important craftsman who cannot be left out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of wooden furniture and wooden build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urrent definition of Gachiljang does not p...

      Gachiljang(假漆匠), along with Jinchiljang(眞漆匠), is an important craftsman who cannot be left out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of wooden furniture and wooden build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urrent definition of Gachiljang does not properly explain the nature and role of Gachiljang. In many related terminology dictionaries, Gachiljang is defined as “artisan who dose the base paintwork of Dancheong." But an analysis of the Joseon Dynasty's Uigwe(儀軌) shows that Gachiljang appears frequently in works that are not related to Dancheong at all. Therefore the current definition seems to be inaccurate and need to be revised. Gachiljang is a name that contrasts with Jinchiljang, and he makes and paints Myongyu(明油). Just as Jinchiljang uses not only lacquer but also various pigments to paint colorful lacquer, Gachiljang also uses various pigments to decorate buildings or furniture in a fancy way and then finishs with a transparent paint. Even in the Dancheong(丹靑) work of the building, all the base painting and finish coating work will be in charge of Gachiljang, except for the paintings performed by the Whawon(畫員) or the Whasa(畫師).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가칠장(假漆匠)은 진칠장(眞漆匠)과 함께 조선시대 목조가구와 목조건축물의 마감과정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장인이었다. 그러나 현재 가칠장의 정의는 가칠장의 성격과 역할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비롯한 의궤용어사전, 건축용어사전 등에서는 가칠장을 '단청의 밑칠을 하는 장인'으로 정의내리고 있다. 그러나 조선왕조의궤를 분석하면 가칠장은 단청의 밑칠이 아닌 다른 분야의 작업에서 더욱 빈번히 나타나고 있어 현재 가칠장의 정의는 문제가 있으며 수정될 필요가 있다. 가칠장이란 이름은 진칠장과 대비되는 것으로 진칠장은 옻칠을 다루고 가칠장은 가칠(假漆) 즉 명유(明油)를 다룬다. 왕실의 가구에 옻칠가구도 있지만 가칠장이 명유를 바른 가칠가구가 더욱 빈번하게 의궤에 등장한다. 진칠장이 단순히 옻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안료를 옻칠에 섞어 흑칠이나 주칠과 같은 색칠을 만들고 기물에 칠하듯 가칠장은 명유만을 만들고 칠할 뿐 아니라 다양한 안료를 가구나 건물에 바르고 그 위에 투명한 명유를 발라 마감을 한다. 건축물 단청공정에서 가칠장은 바탕칠을 하고 화원이나 화사는 단청그림을 그리는 채화작업을 맡는다. 채화작업이 끝나면 다시 가칠장이 마감 코팅작업을 하게 된다.
      번역하기

      가칠장(假漆匠)은 진칠장(眞漆匠)과 함께 조선시대 목조가구와 목조건축물의 마감과정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장인이었다. 그러나 현재 가칠장의 정의는 가칠장의 성격과 역할을 정확하...

      가칠장(假漆匠)은 진칠장(眞漆匠)과 함께 조선시대 목조가구와 목조건축물의 마감과정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장인이었다. 그러나 현재 가칠장의 정의는 가칠장의 성격과 역할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비롯한 의궤용어사전, 건축용어사전 등에서는 가칠장을 '단청의 밑칠을 하는 장인'으로 정의내리고 있다. 그러나 조선왕조의궤를 분석하면 가칠장은 단청의 밑칠이 아닌 다른 분야의 작업에서 더욱 빈번히 나타나고 있어 현재 가칠장의 정의는 문제가 있으며 수정될 필요가 있다. 가칠장이란 이름은 진칠장과 대비되는 것으로 진칠장은 옻칠을 다루고 가칠장은 가칠(假漆) 즉 명유(明油)를 다룬다. 왕실의 가구에 옻칠가구도 있지만 가칠장이 명유를 바른 가칠가구가 더욱 빈번하게 의궤에 등장한다. 진칠장이 단순히 옻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안료를 옻칠에 섞어 흑칠이나 주칠과 같은 색칠을 만들고 기물에 칠하듯 가칠장은 명유만을 만들고 칠할 뿐 아니라 다양한 안료를 가구나 건물에 바르고 그 위에 투명한 명유를 발라 마감을 한다. 건축물 단청공정에서 가칠장은 바탕칠을 하고 화원이나 화사는 단청그림을 그리는 채화작업을 맡는다. 채화작업이 끝나면 다시 가칠장이 마감 코팅작업을 하게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2007

      2 박지혜, "한국 유칠의 전통기법과 재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3 "탁지준절"

      4 국립문화재연구소, "칠장 중요무형문화재 제113호" 민속원 2006

      5 "조선왕조의궤"

      6 "조선왕조실록"

      7 김현중, "조선시대 옻칠 정책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

      8 "임원경제지"

      9 "일성록"

      10 여찬영, "의궤용어사전1" 경인문화사 2012

      1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2007

      2 박지혜, "한국 유칠의 전통기법과 재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3 "탁지준절"

      4 국립문화재연구소, "칠장 중요무형문화재 제113호" 민속원 2006

      5 "조선왕조의궤"

      6 "조선왕조실록"

      7 김현중, "조선시대 옻칠 정책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7

      8 "임원경제지"

      9 "일성록"

      10 여찬영, "의궤용어사전1" 경인문화사 2012

      11 정종미, "우리 그림의 색과 칠" 학고재 2001

      12 "신증동국여지승람"

      13 김삼대자, "소목장 중요무형문화재 제55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14 김삼대자, "빛깔있는 책들 전통목가구" 대원사 1994

      15 문화재청,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16 문화재관리국,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81호" 1970

      17 "대한제국 관보"

      18 "경복궁영건일기"

      19 "경국대전"

      20 阿部芳郞, "生活工藝双書漆1" 農文協 2018

      21 北野信彦, "建造物塗裝彩色史の硏究" 雄山閣 2022

      22 北野信焉, "初期の日光社寺建造物に使用された赤色塗裝材料に關する調査" 東京文化材硏究所 49 : 2010

      23 路化, "中國古建築油作技術"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11

      24 北京市建設委員會, "中國古建築修健施工工藝"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7

      25 이민우 ; 최고야 ; 이영종, "XRD와 XRF를 이용한 無名異의 구성 성분 연구" 대한본초학회 33 (33): 87-92, 2018

      26 L.L. Carrick, "Vegetable oil paints" 11 : 1950

      27 Leslie Carlyle, "Paint driers discusssed in 19th-century british oil painting manuals" 38 : 1999

      28 C. A. Lathrap, "Iodine Number and Refractive Index of Perilla Oil,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American Chemical Socie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7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