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윤경, "현장 전문가 소집단 면담을 통한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주요 요소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115-145, 2017
2 백유순, "특수학교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리자들이 인식하는 장애영아 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97-131, 2014
3 김성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4 한연주, "지역사회 중심의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통합모형 구축-수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18 (18): 29-59, 2018
5 표윤희,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와 치료사 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93-320, 2014
6 김태영, "장애위험 및 장애영아 대상 국내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75-98, 2014
7 정혜윤, "장애 조기발견 및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7) : 73-98, 2015
8 김미영, "장애 위험 및 장애 영아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249-279, 2020
9 김진호, "장애 영유아 부모관련 국내 실험연구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45-66, 2017
10 김진호, "장애 영유아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연구방법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16 (16): 187-211, 2017
1 조윤경, "현장 전문가 소집단 면담을 통한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주요 요소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115-145, 2017
2 백유순, "특수학교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리자들이 인식하는 장애영아 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97-131, 2014
3 김성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4 한연주, "지역사회 중심의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통합모형 구축-수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18 (18): 29-59, 2018
5 표윤희,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와 치료사 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93-320, 2014
6 김태영, "장애위험 및 장애영아 대상 국내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75-98, 2014
7 정혜윤, "장애 조기발견 및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7) : 73-98, 2015
8 김미영, "장애 위험 및 장애 영아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249-279, 2020
9 김진호, "장애 영유아 부모관련 국내 실험연구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45-66, 2017
10 김진호, "장애 영유아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연구방법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16 (16): 187-211, 2017
11 강성리, "장애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7년까지 국내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8 (18): 217-237, 2018
12 김지영, "장애 영아 조기중재 요소 고찰: 국내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8 (18): 125-142, 2018
13 김지영, "장애 영아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및 발전 과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153-171, 2018
14 조현근, "장애 영․유아 가족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2007~2018년까지 발간된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71-101, 2019
15 조윤경, "장애 관련 영아 대상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06년∼2015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23-53, 2016
16 박지윤, "자폐성장애 영유아 관련 실험연구 동향분석: 2007-2017년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34 (34): 1-33, 2018
17 장지은, "자폐 범주성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의 공동관심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동향 및 과제" 특수교육연구소 15 (15): 5-30, 2016
18 김태영, "일반 영유아 대상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문제행동 연구동향의 비교분석: 2010년-2017년 5월"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125-155, 2017
19 엄진명, "융복합 연구를 위한 장애 영유아 조기 발견 및 중재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4~2013" 한국자폐학회 15 (15): 25-49, 2015
20 박소영, "유아기 의무교육 권리 강화를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 보호자의 지원 요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3 (13): 249-267, 2020
21 김태영, "영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해외 연구동향: 2011-2018년 10월"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33-65, 2019
22 제민희, "영․유아 조기중재 관련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 이전과 이후 비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153-191, 2020
23 김정미, "어머니의 반응성 상호작용이 아동의 중심축 행동과 지능 및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8 (28): 81-99, 2015
24 남보람, "어머니가 실행하는 공동관심 중심의 놀이 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선행기술과 공동관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4 (14): 21-45, 2014
25 송미정, "발달지체유아를 위한 문제행동 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35-64, 2019
26 조윤경, "발달지체 영아의 조기개입 서비스 시행 현황 및 지원 요구: 서비스 제공자 관점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6 (6): 39-66, 2012
27 송영희, "발달지체 영아의 선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23-52, 2016
28 조윤경,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시행 치료사의 주요 요소별 실행 현황과 지원 요구" 특수교육연구소 17 (17): 35-62, 2018
29 백은령, "발달지연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경험과 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3 (23): 21-49, 2019
30 김삼섭, "발달장애인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155-164, 2019
31 조윤경, "만 3세 미만 장애 영아 부모를 통해 본 장애 발견과 진단 및 조기개입 연계과정과 지원요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99-325, 2013
32 Seong, T. J., "Research Methodology" Hakjisa 2014
33 Dunst, C. J., "Family-capacity-building in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Do context and setting matter?" 24 (24): 37-48, 2014
34 Bruder, M. B.,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 A promise to children and families for their future" 76 (76): 339-355,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