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6-2020년까지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 대상 연구동향 분석 : 선행연구와의 비교분석 = A Research Synthesis from 2016-2020 Targeting for Infants & Toddlers at Risk and with Special Needs : Comparing Our Findings to those of Previous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68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studies targeting for infants and toddlers at risk and with disabilities from 2016 to 2020 and compare the findings with those of previous research synthesis(Cho, et al., 2016; Kim, 2014). [Method] Using search engine and websites of related journals, a total of 114 studies was found as appropriately met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inclusion criteria. [Results] First, the outcome of this study presented that the analyzed studies were published at similar rates of each year from 2016 to 2020. As the result of researcher trend, 48.2% of the studies was found to be two authors involved and 21.9% of them was to be single author involved. Second, 48.2% of the studies have adults’ participation and 28.9% of them have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most popular research topics were ‘Development and behaviors(22.8%)’ and ‘Early intervention and related services(21.9%).’ And the analyzed studies used survey research(24.6%) and research synthesis(21.1%) in the highest rate. Thir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of Experimental studies(12) and single subject studies(8)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most popular IV was parents education program and DV was interaction and parenting efficacy for experimental studies. For SSD studies, each of IV was different and the most popular DV was social interaction. For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mpared with them of previous research synthesis(Cho, et al., 2016; Kim, 2014). The previous research synthesis have mostly infants and toddlers as the participants, which was different findings of this study. These two studies have ‘Development and behaviors’ as the most popular research topics, which was the same finding of this study. These two studies also have similar trends in that they used survey research following diagnostic research as research methods. [Conclusion] This study and two previous research synthesis have different inclusion criteria and framework of analysis and thus it would be meaningful if future research synthesis compare with previous ones with the same inclusion criteria and framework of analysis.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studies targeting for infants and toddlers at risk and with disabilities from 2016 to 2020 and compare the findings with those of previous research synthesis(Cho, et al., 2016; Kim, 2014). [M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studies targeting for infants and toddlers at risk and with disabilities from 2016 to 2020 and compare the findings with those of previous research synthesis(Cho, et al., 2016; Kim, 2014). [Method] Using search engine and websites of related journals, a total of 114 studies was found as appropriately met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inclusion criteria. [Results] First, the outcome of this study presented that the analyzed studies were published at similar rates of each year from 2016 to 2020. As the result of researcher trend, 48.2% of the studies was found to be two authors involved and 21.9% of them was to be single author involved. Second, 48.2% of the studies have adults’ participation and 28.9% of them have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most popular research topics were ‘Development and behaviors(22.8%)’ and ‘Early intervention and related services(21.9%).’ And the analyzed studies used survey research(24.6%) and research synthesis(21.1%) in the highest rate. Thir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of Experimental studies(12) and single subject studies(8)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most popular IV was parents education program and DV was interaction and parenting efficacy for experimental studies. For SSD studies, each of IV was different and the most popular DV was social interaction. For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mpared with them of previous research synthesis(Cho, et al., 2016; Kim, 2014). The previous research synthesis have mostly infants and toddlers as the participants, which was different findings of this study. These two studies have ‘Development and behaviors’ as the most popular research topics, which was the same finding of this study. These two studies also have similar trends in that they used survey research following diagnostic research as research methods. [Conclusion] This study and two previous research synthesis have different inclusion criteria and framework of analysis and thus it would be meaningful if future research synthesis compare with previous ones with the same inclusion criteria and framework of analy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윤경, "현장 전문가 소집단 면담을 통한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주요 요소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115-145, 2017

      2 백유순, "특수학교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리자들이 인식하는 장애영아 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97-131, 2014

      3 김성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4 한연주, "지역사회 중심의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통합모형 구축-수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18 (18): 29-59, 2018

      5 표윤희,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와 치료사 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93-320, 2014

      6 김태영, "장애위험 및 장애영아 대상 국내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75-98, 2014

      7 정혜윤, "장애 조기발견 및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7) : 73-98, 2015

      8 김미영, "장애 위험 및 장애 영아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249-279, 2020

      9 김진호, "장애 영유아 부모관련 국내 실험연구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45-66, 2017

      10 김진호, "장애 영유아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연구방법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16 (16): 187-211, 2017

      1 조윤경, "현장 전문가 소집단 면담을 통한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주요 요소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115-145, 2017

      2 백유순, "특수학교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리자들이 인식하는 장애영아 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97-131, 2014

      3 김성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4 한연주, "지역사회 중심의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통합모형 구축-수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18 (18): 29-59, 2018

      5 표윤희,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와 치료사 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93-320, 2014

      6 김태영, "장애위험 및 장애영아 대상 국내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75-98, 2014

      7 정혜윤, "장애 조기발견 및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7) : 73-98, 2015

      8 김미영, "장애 위험 및 장애 영아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249-279, 2020

      9 김진호, "장애 영유아 부모관련 국내 실험연구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45-66, 2017

      10 김진호, "장애 영유아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연구방법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16 (16): 187-211, 2017

      11 강성리, "장애 영유아 놀이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7년까지 국내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8 (18): 217-237, 2018

      12 김지영, "장애 영아 조기중재 요소 고찰: 국내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8 (18): 125-142, 2018

      13 김지영, "장애 영아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및 발전 과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153-171, 2018

      14 조현근, "장애 영․유아 가족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2007~2018년까지 발간된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71-101, 2019

      15 조윤경, "장애 관련 영아 대상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06년∼2015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6 (16): 23-53, 2016

      16 박지윤, "자폐성장애 영유아 관련 실험연구 동향분석: 2007-2017년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34 (34): 1-33, 2018

      17 장지은, "자폐 범주성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의 공동관심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동향 및 과제" 특수교육연구소 15 (15): 5-30, 2016

      18 김태영, "일반 영유아 대상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문제행동 연구동향의 비교분석: 2010년-2017년 5월"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125-155, 2017

      19 엄진명, "융복합 연구를 위한 장애 영유아 조기 발견 및 중재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4~2013" 한국자폐학회 15 (15): 25-49, 2015

      20 박소영, "유아기 의무교육 권리 강화를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 보호자의 지원 요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3 (13): 249-267, 2020

      21 김태영, "영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해외 연구동향: 2011-2018년 10월"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33-65, 2019

      22 제민희, "영․유아 조기중재 관련 단일대상연구 동향 분석: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 이전과 이후 비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153-191, 2020

      23 김정미, "어머니의 반응성 상호작용이 아동의 중심축 행동과 지능 및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8 (28): 81-99, 2015

      24 남보람, "어머니가 실행하는 공동관심 중심의 놀이 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선행기술과 공동관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폐학회 14 (14): 21-45, 2014

      25 송미정, "발달지체유아를 위한 문제행동 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35-64, 2019

      26 조윤경, "발달지체 영아의 조기개입 서비스 시행 현황 및 지원 요구: 서비스 제공자 관점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6 (6): 39-66, 2012

      27 송영희, "발달지체 영아의 선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23-52, 2016

      28 조윤경,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시행 치료사의 주요 요소별 실행 현황과 지원 요구" 특수교육연구소 17 (17): 35-62, 2018

      29 백은령, "발달지연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경험과 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3 (23): 21-49, 2019

      30 김삼섭, "발달장애인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155-164, 2019

      31 조윤경, "만 3세 미만 장애 영아 부모를 통해 본 장애 발견과 진단 및 조기개입 연계과정과 지원요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99-325, 2013

      32 Seong, T. J., "Research Methodology" Hakjisa 2014

      33 Dunst, C. J., "Family-capacity-building in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Do context and setting matter?" 24 (24): 37-48, 2014

      34 Bruder, M. B.,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 A promise to children and families for their future" 76 (76): 339-355,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