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양사상에 나타나는 관광의 의미와 현대적 시사점 = The Meaning and Modern Implications of Tourism in Oriental Thou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41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Corona Pandemics swept the world society, the world has faced unprecedented barriers. The experience of travel,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ing suppressed may be the first scene we face sinc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ourism brought about by the process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Nowadays, when capitalistic development locks and constrains human social relationships and life within the boundaries of capital, we think about another meaning of tourism and travel through Corona.
      Tourism is bound to be formed based on the history or culture of the society. Also, society and culture have their own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e form or trend of tourism is a phenomenon and a distinct social fact. This i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unique phenomena of society and culture in the study of tourism.
      Therefore, since all forms of tourism are shaped by the socio-cultural situation, conditions, and historical conditions, it has its own meaning to look at the principles and attitudes of daily life and life of Koreans to understand the tourism phenomenon.
      The issue of leisure, culture, and tourism is one of the key topics of interest in traditional leisure and cultural sociology, but the discussion of the oriental traditions, traditional culture, and principles of daily life is only a literary level. Here we attempt a poetic approach to the meaning of leisure society and tourism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oriental perspectives and sociological theories
      번역하기

      Since Corona Pandemics swept the world society, the world has faced unprecedented barriers. The experience of travel,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ing suppressed may be the first scene we face sinc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ourism brought about...

      Since Corona Pandemics swept the world society, the world has faced unprecedented barriers. The experience of travel,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ing suppressed may be the first scene we face sinc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ourism brought about by the process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Nowadays, when capitalistic development locks and constrains human social relationships and life within the boundaries of capital, we think about another meaning of tourism and travel through Corona.
      Tourism is bound to be formed based on the history or culture of the society. Also, society and culture have their own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e form or trend of tourism is a phenomenon and a distinct social fact. This i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unique phenomena of society and culture in the study of tourism.
      Therefore, since all forms of tourism are shaped by the socio-cultural situation, conditions, and historical conditions, it has its own meaning to look at the principles and attitudes of daily life and life of Koreans to understand the tourism phenomenon.
      The issue of leisure, culture, and tourism is one of the key topics of interest in traditional leisure and cultural sociology, but the discussion of the oriental traditions, traditional culture, and principles of daily life is only a literary level. Here we attempt a poetic approach to the meaning of leisure society and tourism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oriental perspectives and sociological theor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환, "현대 한국사회의 일상적 삶의 구성원리" 20 (20): 1-24, 2001

      2 박재환, "현대 한국사회의 일상문화코드" 한울 2004

      3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현음사 1999

      4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생각의 나무 2012

      5 학민문화사, "주역(周易)" 학민문화사 1990

      6 유장림, "장자의 행복과 여가" 동양사회사상학회 (20) : 223-250, 2009

      7 장 자, "장자" 현암사 2010

      8 박재환,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 1994

      9 왕 필, "왕필의 노자" 예문서원 1997

      10 김문겸, "여가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1993

      1 박재환, "현대 한국사회의 일상적 삶의 구성원리" 20 (20): 1-24, 2001

      2 박재환, "현대 한국사회의 일상문화코드" 한울 2004

      3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현음사 1999

      4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생각의 나무 2012

      5 학민문화사, "주역(周易)" 학민문화사 1990

      6 유장림, "장자의 행복과 여가" 동양사회사상학회 (20) : 223-250, 2009

      7 장 자, "장자" 현암사 2010

      8 박재환,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 1994

      9 왕 필, "왕필의 노자" 예문서원 1997

      10 김문겸, "여가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1993

      11 김옥진, "여가와 노동의 선순환" 동양사회사상학회 (16) : 237-262, 2007

      12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부산의 당제" 부산광역시 2005

      13 홍승표, "동양사상과 여가시간의 창조적인 사용의 의미" 동양사회사상학회 (20) : 51-74, 2009

      14 박수호, "단기출가 프로그램의 여가적 기능과 의미" 동양사회사상학회 (18) : 57-90, 2008

      15 학민문화사, "논어(論語)" 학민문화사 1990

      16 김석주, "관광객의 정보탐색 동기가 탐색 만족과 지속적 정보 저장 및 탐색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0 (30): 25-42, 2018

      17 오상훈, "관광객의 도덕성에 따른 관광지 지속가능성 인식 차이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주사려니숲길 방문객을 대상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5-23, 2017

      18 Riesman, D., "고독한 군중" 동서문화사 2011

      19 윤정헌, "가족관광이 사회관계 및 가족관계, 생활만족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83-103, 2016

      20 Cohen, E., "Traditions in the qualitative sociology of tourism" 15 (15): 29-46, 1988

      21 Turner, V., "The Ritual Process" Penguin 1974

      22 Newcomb, T. M., "Social Psychology" Inc 1961

      23 Cohen, E., "Benefits of Leisure" Venture Publ., Inc 438-444, 1991

      24 서기재, "<지도> 소유의 관점에서 본 한국 근대 ‘관광’의 의의"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79-298,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관광·레저연구 -> 관광레저연구 KCI등재
      2013-05-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관광.레저학회 -> (사)한국관광레저학회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1 1.5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7 1.72 1.845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