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담화양상과 의미형성전략에 관한 초임 교사의 중등 과학수업 사례 탐색 = An Exploratory Analysis of Discourse Types and Meaning-making Strategies Used by a Beginning Teacher in Secondary Science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199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discourse types and meaning making strategies used in a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class. A voluntary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her instruction was observed and videotaped. The analysis consisted of two parts. First, we categorized the types of discourses occurred in class. Second,we examined her instructional strategies used through meaning making practices at the micro-level.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ive episodes emerged representing different discourse types and meaning making strategies in the beginning teacher’s lesson about ‘the pathway and property of light’. Conclusion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presented in the paper.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discourse types and meaning making strategies used in a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class. A voluntary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her instruction was observed and videotaped. The analy...

      This study analyzed discourse types and meaning making strategies used in a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class. A voluntary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her instruction was observed and videotaped. The analysis consisted of two parts. First, we categorized the types of discourses occurred in class. Second,we examined her instructional strategies used through meaning making practices at the micro-level.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five episodes emerged representing different discourse types and meaning making strategies in the beginning teacher’s lesson about ‘the pathway and property of light’. Conclusion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presented in the pap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담화양상과 의미형성 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 교사는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있었으며,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연구진은 참여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비디오 녹화하였고 전사하였다. 자료는 두 단계로 분석되었다. 첫 단계에서는 담화 양상을 범주화하였다. 두 번째단계에서는 미시적 수준에서 의미형성 전략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초임교사의 ‘빛의 경로와 성질’ 단원의 과학수업담화에서 나타난 담화양상과 의미형성 전략에 관하여 5개의 에피소드가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후속연구와 교사전문성 발달에 관한 시사점이 탐색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담화양상과 의미형성 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 교사는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있었으며,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담화양상과 의미형성 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 교사는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있었으며,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연구진은 참여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비디오 녹화하였고 전사하였다. 자료는 두 단계로 분석되었다. 첫 단계에서는 담화 양상을 범주화하였다. 두 번째단계에서는 미시적 수준에서 의미형성 전략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초임교사의 ‘빛의 경로와 성질’ 단원의 과학수업담화에서 나타난 담화양상과 의미형성 전략에 관하여 5개의 에피소드가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후속연구와 교사전문성 발달에 관한 시사점이 탐색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창규, "수업대화 분석틀의 비교 연구-Mehan, Sinclair와 Coulthard, Lemke의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113-144, 2006

      2 Scott, P.H., "The tension between authoritative and dialogic discourse: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meaning making interactions in high school science lessons" 90 : 605-631, 2006

      3 Ritchie, S.M., "Teaching referents and the warrants used to test the viability of students' mental models: Is there a link?" 34 : 223-236, 1997

      4 Lemke, J.L.,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263-, 1990

      5 Carlsen, W.S., "Subject-matter knowledge and science teaching: A pragmatic approach. in : Advances in research on teaching , Vol. 2" JAI Press 115-143, 1991

      6 Wells, G., "Putting a tool to different uses: A reevaluation of the IRF sequence. in : Dialogic inquiry: Towards a sociocultural practice and theory of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7-208, 1999

      7 Mortimer, E.F., "Meaning making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 Open University Press 141-, 2003

      8 Hanrahan, M.U., "Highlighting hybridity: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eacher talk in science classrooms" 90 : 8-43, 2005

      9 Alexander, R., "Culture and pedagogy: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primary education" Blackwell 642-, 2001

      10 Kelly, G.J., "Communicative Demands of learning science through technological design: Third grade students’ construction of solar energy devices" 13 : 483-532, 2003

      1 고창규, "수업대화 분석틀의 비교 연구-Mehan, Sinclair와 Coulthard, Lemke의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113-144, 2006

      2 Scott, P.H., "The tension between authoritative and dialogic discourse: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meaning making interactions in high school science lessons" 90 : 605-631, 2006

      3 Ritchie, S.M., "Teaching referents and the warrants used to test the viability of students' mental models: Is there a link?" 34 : 223-236, 1997

      4 Lemke, J.L.,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263-, 1990

      5 Carlsen, W.S., "Subject-matter knowledge and science teaching: A pragmatic approach. in : Advances in research on teaching , Vol. 2" JAI Press 115-143, 1991

      6 Wells, G., "Putting a tool to different uses: A reevaluation of the IRF sequence. in : Dialogic inquiry: Towards a sociocultural practice and theory of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7-208, 1999

      7 Mortimer, E.F., "Meaning making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 Open University Press 141-, 2003

      8 Hanrahan, M.U., "Highlighting hybridity: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eacher talk in science classrooms" 90 : 8-43, 2005

      9 Alexander, R., "Culture and pedagogy: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primary education" Blackwell 642-, 2001

      10 Kelly, G.J., "Communicative Demands of learning science through technological design: Third grade students’ construction of solar energy devices" 13 : 483-532, 2003

      11 Carlsen, W.S., "Closing down the conversation: Discouraging student talk on unfamiliar science content" 27 : 15-21, 1992

      12 Ritchie, S.M., "Actions and discourse for transformative understanding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 23 : 283-299,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90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