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민자의 주거 집중이 자영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s of Immigrants’ Residential Concentration on their Self-employ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0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entrepreneurship‘s importance as means by which immigrants improve economic status, there is wide variation in the self-employment rate across nationaliti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at determines the immigrants‘ entrepreneurship. Particularly, it focuses the role of ethnic enclave that is believed to increase self-employment rate by providing ethnic market and reliable labor. The case study of Asian Indians, Chinese, and Korean immigrants in U.S. cities utilizing 2000 Public Use Microdata Samples 5% revealed age, sex, cohort, and English fluency influence the probability of self-employment. But, the impact of ethnic enclave is not clear, suggesting that the future study needs to consider inter-urban differences in immigration history.
      번역하기

      Despite entrepreneurship‘s importance as means by which immigrants improve economic status, there is wide variation in the self-employment rate across nationaliti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at determines the immigrants‘ entrepreneurship. Part...

      Despite entrepreneurship‘s importance as means by which immigrants improve economic status, there is wide variation in the self-employment rate across nationaliti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at determines the immigrants‘ entrepreneurship. Particularly, it focuses the role of ethnic enclave that is believed to increase self-employment rate by providing ethnic market and reliable labor. The case study of Asian Indians, Chinese, and Korean immigrants in U.S. cities utilizing 2000 Public Use Microdata Samples 5% revealed age, sex, cohort, and English fluency influence the probability of self-employment. But, the impact of ethnic enclave is not clear, suggesting that the future study needs to consider inter-urban differences in immigration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민자의 사업가로서 활동은 이민국에서 생존과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이민자 사업 활동의 척도인 자영업 비율은 출신국가 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 그 원인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본 연구는 이민자 사업 활동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특히 도시불평등을 낳는 문제로 여겨지는 이민자의 주거 집중 즉 거주지 분화가 자영업을 활성화하는데 보탬이 된다는 소수민족 집단거주지 경제론 (enclave economy framework)에 주목하여 그 현실 부합성을 가늠하고자 했다. 2000년 Public Use Microdata Set 5%를 활용하여 미국 도시에 거주하는 인도, 중국, 그리고 한국 출신 이민자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 성, 동료집단, 그리고 언어능력이 이민자의 사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 졌으나 주거 집중의 영향은 단정지울 수 없었다. 이는 도시 별로 각기 다른 이주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이를 향후 연구 과제로 남긴다.
      번역하기

      이민자의 사업가로서 활동은 이민국에서 생존과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이민자 사업 활동의 척도인 자영업 비율은 출신국가 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 그 원...

      이민자의 사업가로서 활동은 이민국에서 생존과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이민자 사업 활동의 척도인 자영업 비율은 출신국가 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 그 원인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본 연구는 이민자 사업 활동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특히 도시불평등을 낳는 문제로 여겨지는 이민자의 주거 집중 즉 거주지 분화가 자영업을 활성화하는데 보탬이 된다는 소수민족 집단거주지 경제론 (enclave economy framework)에 주목하여 그 현실 부합성을 가늠하고자 했다. 2000년 Public Use Microdata Set 5%를 활용하여 미국 도시에 거주하는 인도, 중국, 그리고 한국 출신 이민자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 성, 동료집단, 그리고 언어능력이 이민자의 사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 졌으나 주거 집중의 영향은 단정지울 수 없었다. 이는 도시 별로 각기 다른 이주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이를 향후 연구 과제로 남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수열, "인종·민족별 거주지 분화 이론에 대한 고찰과 평가 -미국 시카고 아시아인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43 (43): 511-525, 2008

      2 임석회, "미국 시카고 대도시권의 한국인 자영업 특성과 성격 변화" 국토지리학회 43 (43): 221-239, 2009

      3 Light, I., "“Asian Enterprise in America”, in Self Help in America: Patterns of Minority Economic Development, ed" Kennikat Press 33-57, 1980

      4 Blalock,H.M., "Toward a Theory of Minority Group Relations" John Wiley 1967

      5 Portes, A., "The Immigrant Enclave: Theory and Empirical Examples’ Competitive Ethnic Relations, Orlando" Academic Press 1986

      6 Model,S., "The Ethnic Economy: Cubans and Chinese Reconsidered" 33 (33): 63-82, 1992

      7 Brown, L. A., "Spatial Segregation, Segregation Indices, and the Geographic Perspective, Population, Space, and Place" 12 : 125-143, 2006

      8 Portes, A., "Self-Employment and the Earnings of Immigrants" 61 : 219-230, 1996

      9 Spener, D., "Self-Employment Concentration and Earnings among Mexican Immigrants in the U.S." 77 (77): 1021-1047, 1999

      10 Fischer, M. J., "Residential Segregation and Ethnic Entreprise in U.S. Metropolitan Areas" 47 (47): 408-424, 2000

      1 정수열, "인종·민족별 거주지 분화 이론에 대한 고찰과 평가 -미국 시카고 아시아인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43 (43): 511-525, 2008

      2 임석회, "미국 시카고 대도시권의 한국인 자영업 특성과 성격 변화" 국토지리학회 43 (43): 221-239, 2009

      3 Light, I., "“Asian Enterprise in America”, in Self Help in America: Patterns of Minority Economic Development, ed" Kennikat Press 33-57, 1980

      4 Blalock,H.M., "Toward a Theory of Minority Group Relations" John Wiley 1967

      5 Portes, A., "The Immigrant Enclave: Theory and Empirical Examples’ Competitive Ethnic Relations, Orlando" Academic Press 1986

      6 Model,S., "The Ethnic Economy: Cubans and Chinese Reconsidered" 33 (33): 63-82, 1992

      7 Brown, L. A., "Spatial Segregation, Segregation Indices, and the Geographic Perspective, Population, Space, and Place" 12 : 125-143, 2006

      8 Portes, A., "Self-Employment and the Earnings of Immigrants" 61 : 219-230, 1996

      9 Spener, D., "Self-Employment Concentration and Earnings among Mexican Immigrants in the U.S." 77 (77): 1021-1047, 1999

      10 Fischer, M. J., "Residential Segregation and Ethnic Entreprise in U.S. Metropolitan Areas" 47 (47): 408-424, 2000

      11 Bailey, T., "Primary, Secondary, and Enclave Labor Markets: A Training System Approach" 56 (56): 432-445, 1991

      12 정수열, "Neighborhood and Segregation in the Urban Theories" 한국도시지리학회 12 (12): 103-118, 2009

      13 정수열,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of Racial/Ethnic Segregation in U.S. Cities" 국토지리학회 43 (43): 497-514, 2009

      14 Sanders, J., "Limits of Ethnic Solidarity in the Enclave Economy" 52 (52): 745-773, 1987

      15 Portes, A., "Latin Journe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16 Light, I., "Immigrant Entrepreneurs: Koreans in Los Angeles, 1965- 198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17 Wilson, K., "Immigrant Enclaves: An Analysis of the Labor Market Experiences of Cubans in Miami" 86 (86): 295-319, 1980

      18 Portes, A., "Immigrant Earnings: Cuban and Mexic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14 (14): 315-340, 1980

      19 Fairlie, R. W., "Ethnic and Racial Self-Emplyment Differences and Possible Explanations" 31 (31): 757-793, 1996

      20 Light,I., "Ethnic Enterprise in America: Business and Welfare among Chinese, Japanese, and Black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

      21 Portes, A., "Entrepreneurship and Economic Progress in the Ninet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Immigrants and African Americans" Russell Sage Foundation 143-171, 1999

      22 Zhou,M., "Chinatown: the Socioeconomic Potential of an Urban Enclave" Temple University Press 1992

      23 Glazer, N., "Beyond the Melting Pot" MIT Press 1963

      24 Bonacich,E., "A Theory of Middleman Minorities" 38 (38): 583-594, 1973

      25 Bradley,D.E., "A Second Look at Self-employment and the Earnings of Immigrants" 38 (38): 547-583,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