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구 도시공원의 변천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 해석 = An Interpretation of a Social Implication on the Transition of the Urban Park in Daeg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6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방도시의 하나인 대구를 대상으로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대별로 도시공원의 계획 개원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시대적 상황과 연관 지어 고찰함으로써 도시공원의 변천에 나타...

      본 연구는 지방도시의 하나인 대구를 대상으로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대별로 도시공원의 계획 개원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시대적 상황과 연관 지어 고찰함으로써 도시공원의 변천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1960년대에 도시계획법과 공원법이 제정되면서 법제도 내에서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때에는 도시공원이 단지 도시계획시설의 하나로만 인식되어 조성보다는 지정에만 급급하였다. 1970년대는 급격한 도시화와 폭발적인 인구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도시공원의 양적 확보에 주력하였으나, 예산부족으로 계획기간 내에 공원 조성이 완료되지 못하였다. 1980년대는 연이는 대규모 국제대회 개최로 인하여 도시미화를 위한 각종 녹화계획이 수립되면서 도시공원의 미적 기능이 재인식되었으며, 도시민의 이용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정적공간뿐만 아니라 동적시설을 갖춘 복합적인 성격의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함께 공원에 대한 시민의 적극적인 관심표명 및 참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도시공원의 환경적 기능과 효과의 부각에 따라 도시공원의 양적 확대뿐 아니라, 질적 개선도 함께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에 있어 근대적 의미의 도시공원 도입은 구한말부터이고, 본격적으로 도시공원이 조성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도시공원의 변화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를 종합해 볼 때 대구에서 시민을 위한 '공용(共用)의 휴식처'라는 본연의 의미와 목적에 부합되는 도시공원의 개념이 완성된 것은 1990년대에 와서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for analyzing processes on the planning and opening of chronological urban parks in Daegu City since the 1960s, and for interpreting the social meaning on changes of the urban parks with regards to historical circumstances during t...

      This study was done for analyzing processes on the planning and opening of chronological urban parks in Daegu City since the 1960s, and for interpreting the social meaning on changes of the urban parks with regards to historical circumstances during that period. In the 1960s, urban parks, which were recognized as one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were only designated for creating rather than created, although nationally several laws including urban planning act and park act were newly legislated. Rapid urbanization and increasing population in the 1970s led to create many urban parks. However, the policy for increasing parks had been not successful because of the lack of enough funds. In the 1980s, multi-purpose urban parks including stable area as well as active facilities were created for getting several attractions to urban residents. During this period, urban parks were recognized on an aesthetic perspective through vegetating plans on the city-beautiful movement for hosting consecutive international games. The citizen participation in urban parks and the increasing concern about urban environment were started in the 1990s, and the people living in an urban area were interested in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fied renovation of the urban parks as well. Finally, modernistic urban parks were first introduced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however their substantial introduction was done in the 1960s.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an urban park as a public resting place for citizen in Daegu was thought to be mostly established in the 1990s as we have investigated on the social meaning derived from the periodical changes of urban par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덕삼, "한국도시공원의 변천에 관한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0

      2 강신용,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도시출판 조경 1-6, 1995

      3 대구광역시, "중앙공원조성기본계획" 43-, 1996

      4 대구시, "앞산공원조성계획"

      5 閔珠賢, "서울시 공원녹지 형성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市立大學校 大學院 1995

      6 대구시, "봉무불로공원 조성계획"

      7 대구시, "범어공원기본계획"

      8 대구직할시, "대구의 향기" 330-335, 1982

      9 향토사교육연구회, "대구역사기행" 도서출판 나랏말 104-105, 1996

      10 대구시사편찬위원회, "대구시사 제3권 산업ㆍ경제" 1120-1124, 1995

      1 김덕삼, "한국도시공원의 변천에 관한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0

      2 강신용, "한국근대 도시공원사" 도시출판 조경 1-6, 1995

      3 대구광역시, "중앙공원조성기본계획" 43-, 1996

      4 대구시, "앞산공원조성계획"

      5 閔珠賢, "서울시 공원녹지 형성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市立大學校 大學院 1995

      6 대구시, "봉무불로공원 조성계획"

      7 대구시, "범어공원기본계획"

      8 대구직할시, "대구의 향기" 330-335, 1982

      9 향토사교육연구회, "대구역사기행" 도서출판 나랏말 104-105, 1996

      10 대구시사편찬위원회, "대구시사 제3권 산업ㆍ경제" 1120-1124, 1995

      11 "대구매일신문. 1958~2013년 주요일자"

      12 대구광역시, "공원ㆍ유원지 현황"

      13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사백년사"

      14 강신용, "韓國における近代都市公園の受容と展開" 일본경도대학교대학원 1995

      15 金香子, "都市公園計劃의 變化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環境大學院 1987

      16 Cranz, Galen, "The Politics of Park Design" The MIT Press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