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공본풀이>와의 비교를 통해 본 제주 지역 <손 없는 색시>의 자료적 성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70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초공본풀이>와의 비교를 통해 제주 지역 <손 없는 색시>의 자료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러 <손 없는 색시> 각편 중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각편은 기본적인 유...

      본고에서는 <초공본풀이>와의 비교를 통해 제주 지역 <손 없는 색시>의 자료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러 <손 없는 색시> 각편 중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각편은 기본적인 유형의 성격을 공유하면서도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다양한 화소의 유입으로 변별적인 특성을 여러 지점에서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관련성만 언급되었을 뿐 아직까지 구체적인 비교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제주 지역 <손 없는 색시>와 많은 유사성을 보이는 <초공본풀이>와의 비교를 통해 자료의 성격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손 업는 색시> 각편을 살펴 제주 지역 각편의 특성을 밝혔고, 이 특성을 중심으로 <초공본풀이>와 비교 작업을 수행하였다. 먼저 두 작품에서 깊은 유사성을 보이는 주요 서사 전개 양상의 비교를 통해 양자 간의 관련성을 도출하였다. 이어 두 작품의 주요 인물 설정의 비교를 통해 두 작품이 갖는 유사성과 함께 차별성을 살폈다.
      제주 지역 <손 없는 색시>와 <초공본풀이>는 많은 유사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결국 제주도라는 특수한 전승환경이 만들어 낸 것으로 본풀이와의 친연성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제주도는 오랫동안 본풀이가 중요시되면서 다른 서사의 전승에 많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서로 다른 장르의 두 작품에서 유사성이 도출될 수 있는 것이다. 본고는 육지와 동일한 유형의 서사가 제주 지역에서 전승되면서 해당 지역의 전승 환경에 영향을 받아 변이됨을 살핌으로써 제주 지역 설화의 전승 환경에 대해 살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The Bride without Hands with Chogong-Bonpuri in order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materials. The Bride without Hands in Jeju is different from the versions of other regions. However, in-depth discussions have not been made so...

      This study compares The Bride without Hands with Chogong-Bonpuri in order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materials. The Bride without Hands in Jeju is different from the versions of other regions. However, in-depth discussions have not been made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exts throug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Bride without Hands in Jeju and Chogong-Bonpuri have a lot in common. The similarities were created by the unique traditional environment of Jeju Island, that is to say, the affinity of Bonfuri. Bonfuri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for a long time and affected the oral tradition of the narration in Jeju-Island. Furthermore, The Bride without Hands in Jeju had been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Bonfuri. For that reason, The Bride without Hands in Jeju and Chogong-Bonpuri have a lot in comm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imilarities of the two texts show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in Jeju.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손 없는 색시>의 자료 전승 양상과 제주 지역 각편의 특성
      • Ⅲ. 제주 지역 <손 없는 색시>와 <초공본풀이>의 비교
      • Ⅳ. 제주 지역 <손 없는 색시>의 전승 환경과 의미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손 없는 색시>의 자료 전승 양상과 제주 지역 각편의 특성
      • Ⅲ. 제주 지역 <손 없는 색시>와 <초공본풀이>의 비교
      • Ⅳ. 제주 지역 <손 없는 색시>의 전승 환경과 의미
      • Ⅴ. 논의 확장의 가능성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종연, "한독민담비교연구" 집문당 1999

      2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 무속신앙 2" 국립민속박물관 2009

      3 서대석, "한국무가의 연구" 문학사상사 1980

      4 조희웅, "한국 설화의 유형" 일조각 1996

      5 현승환, "제주도의 본풀이와 민담의 교섭양상 - 삼두구미본을 중심으로 -" 탐라문화연구소 (35) : 7-40, 2009

      6 장주근, "제주도 서사무가(본풀이)전승의 현장연구" 제주도연구회 11 : 1994

      7 권태효, "제주도 무속서사시 생성원천에 대한 새로운 고찰" 한국민속학회 31 : 1999

      8 강정식, "제주도 당신본풀이의 전승과 변이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2

      9 김헌선, "제주도 <손 없는 색시>의 각편 비교와 여성심리적 해석" 제주대학교 탐라문화 연구소 25 : 2004

      10 노영근, "이야기문학에 나타난 '가족탐색'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1

      1 주종연, "한독민담비교연구" 집문당 1999

      2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 무속신앙 2" 국립민속박물관 2009

      3 서대석, "한국무가의 연구" 문학사상사 1980

      4 조희웅, "한국 설화의 유형" 일조각 1996

      5 현승환, "제주도의 본풀이와 민담의 교섭양상 - 삼두구미본을 중심으로 -" 탐라문화연구소 (35) : 7-40, 2009

      6 장주근, "제주도 서사무가(본풀이)전승의 현장연구" 제주도연구회 11 : 1994

      7 권태효, "제주도 무속서사시 생성원천에 대한 새로운 고찰" 한국민속학회 31 : 1999

      8 강정식, "제주도 당신본풀이의 전승과 변이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2

      9 김헌선, "제주도 <손 없는 색시>의 각편 비교와 여성심리적 해석" 제주대학교 탐라문화 연구소 25 : 2004

      10 노영근, "이야기문학에 나타난 '가족탐색'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1

      11 손은주, "손 없는 소녀 유형의 민담" 한국독일어문학회 15 (15): 71-90, 2007

      12 김헌선, "설화 연구 방법의 통일성과 다양성" 보고사 2009

      13 이유경, "민담 <손 없는 색시>를 통한 여성 심리의 이해" 한국분석심리학회 21 (21): 2006

      14 정제호, "무속신화 <칠성풀이>의 변별적 성격과 주제의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5 박연숙, "『손 없는 색시』의 한일 비교 연구" 한국비교문학회 (44) : 29-58, 2008

      16 정제호, "<칠성풀이>와 <문전본풀이>의 여성 지위에 따른 전개 양상 고찰" 비교민속학회 (45) : 321-347, 2011

      17 박연숙, "<손 없는 색시>의 한일 연구동향과 과제" 일본어문학회 (39) : 347-374, 2007

      18 서은아, "<손 없는 색시>의 문학치료적 가능성 탐색" 한국국학진흥원 1 (1): 345-374, 2008

      19 김혜정, "<손 없는 색시>설화의 유형 체계 : 유형, 하위유형, 상위유형의 관계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20 이인경, "<손 없는 색시>설화의 신화적 성격과 심리학적 접근" 한국구비문학회 13 : 2001

      21 홍혜란, "<손 없는 색시>설화와 <연당전>계 소설의 인물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2 이윤경, "<손 없는 색시> 설화의 소설화와 그 의미" 돈암어문학회 14 : 2001

      23 신연우, "<손 없는 색시> 설화와 여성 의식의 성장" 우리어문학회 (18) : 151-171, 2002

      24 신연우, "<손 없는 색시> 설화와 여성 성의식의 성장" 2001

      25 최자운, "<손 없는 색시> 설화 유형의 비교설화학적 연구-한국설화의 통과제의와 여성의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1 : 2003

      26 김헌선, "<손 없는 색시> 설화 유형의 비교설화학적 연구-세계설화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1 : 2003

      27 이명숙, "<손 없는 색시> 설화 유형의 비교설화학적 연구-러시아 <팔 없는 처녀>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1 : 2003

      28 강은경, "<손 없는 색시> 담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0.7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