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기정진의 3대 제자로 김석구와 정재규 및 정의림을 드는데, 정의림과 정재규는 특히 비슷한 점이 많기에 스승도 두 사람의 계합을 인정하고 격려해주었다. 이 두 사람은 스승의 생전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37525
권수용 (조선대학교)
2020
Korean
Gi Jeong-jin ; Jeong Jae-gyu ; Jeong Eui-rim ; Nosa school ; theory of Xim(心說) ; 기정진 ; 정재규 ; 정의림 ; 노사학파 ; 편지 ; 심설
KCI등재
학술저널
293-323(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노사 기정진의 3대 제자로 김석구와 정재규 및 정의림을 드는데, 정의림과 정재규는 특히 비슷한 점이 많기에 스승도 두 사람의 계합을 인정하고 격려해주었다. 이 두 사람은 스승의 생전에 ...
노사 기정진의 3대 제자로 김석구와 정재규 및 정의림을 드는데, 정의림과 정재규는 특히 비슷한 점이 많기에 스승도 두 사람의 계합을 인정하고 격려해주었다. 이 두 사람은 스승의 생전에 노사학의 진수를 전수받았을 뿐만 아니라 사후에도 스승을 추숭하고 위호하는 데 힘을 합해 주도해 나갔다. 스승의 학설에 대하여 외부의 훼방이 있을 때는 호남과 영남에서 노사학파를 대표하는 사람으로서 단호하게 대응하여 문인들이 결집하게 하였다.
특히 이들이 주로 활동했던 19세기 후반은 심설논쟁이 유행하였는데, 정의림과 정재규는 스승의 학설 토대 위에서 講會와 편지 왕복을 통해서 학문을 완성해나갔다. 그러나 영남과 호남의 학문적 전통기반이 달랐던 탓에 心說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sa Gi Jeong-jin's three major disciples were Kim Seok-gu, Jeong Jae-gyu, and Jeong Eui-rim. In particular, the teacher acknowledged and encouraged the two people to fit each other well Because Jeong Eui-rim and Jeong Jae-gyu had a lot of similaritie...
Nosa Gi Jeong-jin's three major disciples were Kim Seok-gu, Jeong Jae-gyu, and Jeong Eui-rim. In particular, the teacher acknowledged and encouraged the two people to fit each other well Because Jeong Eui-rim and Jeong Jae-gyu had a lot of similarities. These two men not only received the essence of Nosa studies during the teacher's lifetime, but also took the lead together to honor and protect their teacher after death. When there was any outside interference with the theory of teacher, the two made disciples united in a firm response as a representative of the Nosa school in Honam and Yeongnam.
In particular,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they were mainly active, there was a controversy over the theory of Xim(心說), The two completed their studies on the basis of their teachers' theory through reading meetings and letters round trip. However, due to the different academic traditions of Yeongnam and Honam regions, it can be seen that the two approach the theory of Xim(心說) from different perspective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봉곤, "嶺南地域 蘆沙學派의 成長과 門人 鄭載圭의 役割" 경남문화연구원 (29) : 29-76, 2010
2 박학래, "蘆沙 奇正鎭 學派의 心說에 대한 考察" 한국유교학회 (43) : 77-114, 2011
3 김근호, "화서학파 심설논쟁의 전개과정과 철학적 문제의식" (사)율곡학회 27 : 149-177, 2013
4 유지웅, "한말 기호학계와 심설논쟁 - 기호학계의 상황과 심설논쟁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59) : 39-63, 2018
5 조우진, "일신재 정의림의 역할과 위상 : 한말 기호학파의 논쟁을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 (67) : 225-252, 2020
6 최영성, "사상사의 맥락에서 본 19세기 심설논쟁(心說論爭) - 사칠논쟁(四七論爭)에서 심설논쟁(心說論爭)까지 -" 한국철학사연구회 (59) : 9-38, 2018
7 권수용, "붕우유신" 심미안 2017
8 박학래, "기정진 철학사상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4
9 奇正鎭, "蘆沙集"
10 鄭載圭, "老柏軒集"
1 김봉곤, "嶺南地域 蘆沙學派의 成長과 門人 鄭載圭의 役割" 경남문화연구원 (29) : 29-76, 2010
2 박학래, "蘆沙 奇正鎭 學派의 心說에 대한 考察" 한국유교학회 (43) : 77-114, 2011
3 김근호, "화서학파 심설논쟁의 전개과정과 철학적 문제의식" (사)율곡학회 27 : 149-177, 2013
4 유지웅, "한말 기호학계와 심설논쟁 - 기호학계의 상황과 심설논쟁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59) : 39-63, 2018
5 조우진, "일신재 정의림의 역할과 위상 : 한말 기호학파의 논쟁을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 (67) : 225-252, 2020
6 최영성, "사상사의 맥락에서 본 19세기 심설논쟁(心說論爭) - 사칠논쟁(四七論爭)에서 심설논쟁(心說論爭)까지 -" 한국철학사연구회 (59) : 9-38, 2018
7 권수용, "붕우유신" 심미안 2017
8 박학래, "기정진 철학사상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4
9 奇正鎭, "蘆沙集"
10 鄭載圭, "老柏軒集"
11 김기주, "溪南 崔琡民의 性理思想 - 理氣論과 心性論을 통해서 본 哲學史的 좌표" 경남문화연구원 (30) : 129-160, 2010
12 鄭義林, "日新齋集"
13 박학래, "日新齋 鄭義林의 性理說 硏究" 범한철학회 41 (41): 77-105, 2006
14 권수용, "奇宇萬의 受信簡札과 교유의 성격" 영남문화연구원 (24) : 319-355, 2013
15 金錫龜, "大谷遺稿"
16 권수용, "1900년 전후 화순 유학의 흥성과 정의림의 역할" 역사문화학회 17 (17): 127-162, 2014
17 "(국역)答問類編1" 한국학호남진흥원 201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5-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98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