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체장애 학생을 위해 특수교사에게 요구되는 보조공학 능력의 분석적 고찰 = An Analytical Study on Assistive Technology Competencies for Special Educator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0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standards of assistive technology competencies for special educators who teach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analyze the questions about assistive technologie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in the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standards of assistive technology competencies for special educators who teach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o analyze the questions about assistive technologie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in the National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for special educators according to the standards. To achieve the purpose, we excerpted the knowledge and skill sets that are relevant to assistive technology for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rom the standards of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and obtained 14 competency items. And in order to analyze the examination question trends of assistive technologie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in the National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for special educators, we investigated the examination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for ten times through the year 2001 to 2010. This result is compared with the obtained 14 items in order to check out that what questions for assistive technology competencies will be required for special educators of the physically disabled in the following National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ssistive technology competencie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which were appeared in the National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were focused mainly on the knowledge of assistive device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ased on this result, we suggested that the 14 competency items should be utilized to serve as guidelines in the process of making questions in the following National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for special educa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체장애 학생을 위해 초임 특수교사에게 요구되는 보조공학 지식과 기술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향후 시행되어야 할 특수교사 임용시험에서의 지체장애영역 보조공학출제 방...

      본 연구는 지체장애 학생을 위해 초임 특수교사에게 요구되는 보조공학 지식과 기술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향후 시행되어야 할 특수교사 임용시험에서의 지체장애영역 보조공학출제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논의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따라 미국특수교육학회 표준을 분석하여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사의 보조공학 지식과기술에 대해 6가지 표준영역의 능력 항목 14가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2001년부터 2010까지의 유치원, 초등, 중등학교 특수교사 임용시험에서 지체장애 보조공학 출제경향을 분석하였고 제시한 능력 항목에 따라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 지체장애영역 보조공학 출제는 교수전략, 학습 환경과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의 3가지 영역에서 각각 보조공학 기기 지식에 편중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향후 임용시험에서는 14가지 항목에 부합하는 출제 방향 설정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걸, "특수학습교사들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와 요구 조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185-204, 2009

      2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탁상수,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견해" 8 (8): 36-37, 2001

      4 이해균, "특수교육 교사의 수행능력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427-443, 2003

      5 김호연, "특수교육 교사 양성에 대한 제고" 국립특수교육원 17 (17): 51-77, 2010

      6 정정진, "초등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분석과 개선방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307-328, 2006

      7 김호연,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193-208, 2009

      8 곽승철, "중등 특수교사 임용시험 출제 경향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3-46, 2009

      9 육주혜, "우리나라 특수교육에서의 보조공학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65-283, 2008

      10 김병하, "우리나라 특수교사 양성과 수급(需給)의 쟁점"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21, 2009

      1 김영걸, "특수학습교사들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와 요구 조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185-204, 2009

      2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연차보고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탁상수, "특수교육대학원에 대한 견해" 8 (8): 36-37, 2001

      4 이해균, "특수교육 교사의 수행능력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4 (4): 427-443, 2003

      5 김호연, "특수교육 교사 양성에 대한 제고" 국립특수교육원 17 (17): 51-77, 2010

      6 정정진, "초등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분석과 개선방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307-328, 2006

      7 김호연,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193-208, 2009

      8 곽승철, "중등 특수교사 임용시험 출제 경향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3-46, 2009

      9 육주혜, "우리나라 특수교육에서의 보조공학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65-283, 2008

      10 김병하, "우리나라 특수교사 양성과 수급(需給)의 쟁점"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1-21, 2009

      11 육주혜, "우리나라 보조공학 서비스 발전을 위한 보조공학 법률 제정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7

      12 황복선, "미국내 특수교육과 개설대학 교육과정 내용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49-268, 2005

      13 박현옥, "국내 유아특수교육과 전공 교육과정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5 (5): 5-25, 2005

      14 조동섭, "교원양성대학의 기능과 역량강화 방안"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399-420, 2005

      15 박원희, "걸림돌이 아니라 디딤돌로서의 특수교육대학원" 8 (8): 37-38, 2001

      16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What every special educator must know: The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preparation and cert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ton, VA: Author 2009

      17 Best, S. J., "Teaching individuals with physical or multiple disabilities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Prentice Hall 2005

      18 Wetzel, K, "Teacher educators' use of computers in teaching" 1 : 335-352, 1993

      19 Sheingold, K, "Restructuring for learning with technology: The potential synergy" 73 (73): 17-21, 1991

      20 Edyburn, D. L., "Integrating technology into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Creating shared visions" 14 (14): 3-20, 1999

      21 Hasselbring, T. S, "Improving education through technology: Barriers and recommendations" 35 (35): 33-37, 1989

      22 Michaels C. A., "Assistive technology integration in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 coordinators' perceptions of current attainment and importance" 18 (18): 29-44, 2003

      23 Bryant, D. P., "Assistive technolog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oston: Allyn and Bacon 2003

      24 Parette, H. P, "Assistive technology effective practic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Best and promising practices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ustin, TX: PRO-ED 205-224, 1998

      25 Langone, J., "A comparison of traditional classroom instruction and anchored instruction" 13 : 99-109, 1998

      26 고전, "2005년 교원 양성 정책 분석" 22 (22): 163-194,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