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키토산 및 녹차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소화율 및 혈액과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Feeding Green Tea and Chitosan on Production, Nutrient Utilization and Cholesterol Level in Serum or Egg Yolk of Laying He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584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시험은 키토산 및 녹차의 급여가 산란계의 사양성적 및 혈액과 난황의 콜레스테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은 옥수수-밀기울 위주 사료로 처리당 3반복 ...

      본 시험은 키토산 및 녹차의 급여가 산란계의 사양성적 및 혈액과 난황의 콜레스테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은 옥수수-밀기울 위주 사료로 처리당 3반복 반복당 30수씩 60주령 갈색 산란계를 총 360수 공시하여 8주간에 걸쳐 키토산을 0.15%를 첨가(T1), 녹차잎을 0.15% 첨가 (T2) 및 키토산과 녹차잎을 각각 0.15% 첨가 (T3)하여 수행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가 약 830g으로 가장 낮았고, 처리구에서는 T2구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산란율은 대조구의 52.6%에 비하여 T1구가 55.7%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T2(59.3%) 및 T3구 (58.4%)는 유의적 (P<0.05)으로 높았다. 난중은 대조구가 63.8g으로 T1구의 62.3g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으나, T2및 T3구의 65g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험 개시 시에 비하여 8주후에 처리구 (T1, T2 및 T3)에서 114∼123mg/dl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0.05), 처리간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T2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난황 콜레스테롤 농도에는 키토산과 녹차의 첨가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tosan and green tea supplementation on laying performanc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serum and egg yolk in laying hens. Total 360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for fe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tosan and green tea supplementation on laying performanc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serum and egg yolk in laying hens. Total 360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for feeding trials with three replication : control, T1 (0.15% chitosan), T2(0.15% green tea) and T3 (0.15% chitosan + 0.15% green tea) group. Feed intake was lower in control group (830g/week) than other treatment groups, but T2 of treatment group shows a tendency to decrease. The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2 and T3 group than control.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serum with chitosan or green tea supplement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 week than starting trial, and especially those of T2 was lower than other treatment groups.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egg yolk were no effect of supplement with chitosan and green t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