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아 척수종말부의 척추 높이는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척수종말부의 개념이 학자에 따라 몇 가지로 상야하게 정의되고 있으며 , 인종에 따른 척수종말부 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036538
1999
Korean
511
KCI등재
학술저널
197-209(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태아 척수종말부의 척추 높이는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척수종말부의 개념이 학자에 따라 몇 가지로 상야하게 정의되고 있으며 , 인종에 따른 척수종말부 척...
태아 척수종말부의 척추 높이는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척수종말부의 개념이 학자에 따라 몇 가지로 상야하게 정의되고 있으며 , 인종에 따른 척수종말부 척추 높이의 차이를 각 기 준에 의거하여 정밀하게 비교, 분석한 보고가 없었기 때문에 이에 관한 정확한 연구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척수의 길이와 더불어 마지막 척수신경의 맨 아래쪽 잔뿌리가 나오는 지점( 이하 척수종말부 I 로 칭함 ) 과 척수원뿔이 급격히 가늘어지다 그 지름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시작하는 지정 ( 이하 척수종말부 Ⅱ 호 칭함 ) 의 척추 높이를 조사하여 한국인 태아에서 척수 발생시 일어나는 척수 상승에 대한 기본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 였다. 그리고 이를 각 기준별로 다른 인종의 그것들과 비교함으로써 척수 발생의 측면에서 한국인의 척수종말 부가 체질인류학적으로 어떠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로는 최종 정상 월경주기 개시일을 기준으로 대령 13 주에서 37 주 사이의 정상적인 태아 115예를 사용하였으며 태령 및 머리 둔부 길이에 따라 각각 7 문으로 분류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령이 증가함에 따라 척주 길이, 척수 길이 I,Ⅱ 및 척수경질악의 길이는 대체로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증가 양상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특히, 척수 길이는 태령 6 개월 (III 균 ) 에서 그 증가 폭이 약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두 척수종말부의 상송 길이 역시 III 문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상승하였고, 척주 길이에 대한 두 척수 길이의 비도 III 군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발생 4-8 개월 사아에서는 척수가 태영 6개월 (III 군 ) 에 척주의 성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느리게 성장 하고, 그 결과 이 시기에 가장 빠른 속도로 척수가 상승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태령 8 개월 이후의 변 화는 조사 예 수가 적어 판단하기 곤란하였다.
2 척수종말부와 척수경질막종말부의 평균 척추 높이와 분포 범위는 태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다른 인종과 비교해 보았을 때 영국인, 북인도인 및 남인도인 보다는 높은 반면, 사우디아라비아인과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3 길이와 척추 높이에 관한 모든 계측치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연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허혈 및 재관류후 흰쥐 앞정강근과 가자미근에서 나타나는 미세구조와 SOD 활성의 변화
옛 한국인과 현대 한국인의 얼굴편평도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