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 받고 수술을 시행한 직장암 환자에서 조직학적 반응도와 혈청 암종배아항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2005년 8월부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6946449
2010
Korean
513
KCI등재
학술저널
47-5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 받고 수술을 시행한 직장암 환자에서 조직학적 반응도와 혈청 암종배아항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2005년 8월부터...
목적 : 본 연구는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 받고 수술을 시행한 직장암 환자에서 조직학적 반응도와 혈청 암종배아항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2005년 8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에서 직장암으로 진단 받고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받은 후 전직장간막 절제술을 시행한 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화학요법은 5-Fluorouracil에 기초하였고 방사선주사는 총 5,040 cGy 를 조사하였다. 암종배아항원은 화학 방사선요법전(pre-CRT)과 직후(post-CRT), 수술 후 7일째(post-TME)에 각각 측정을 하였다. 조직학적 반응도는 TNM 병기에 따라 반응군(Favorable response : pCR 과ypStage1, 28명)과 비반응군(Unfavorable response : ypStage2와 ypStage3, 57명)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 환자의 나이, 성별, 암의 위치, 림프혈관의 침범, 신경주위침범 등에서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차이는 없었다. 반응군에서 low grade 의 조직학적 분화를 보이는 비율이 높았고(92% vs.70.2%, p=0.018) 항문보존술식을 시행한 비율이 더 높았다(92.9% vs. 71.9%, p=0.026). pre-CRT CEA수치는 반응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나(p<0.001) post-CRT, post-TME CEA값은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낮은 pre-CRT CEA(<5ng/ml) 값과 항문보존술식의 시행여부가 조직학적 반응군과 관련된 독립적인 인자로 확인되었다. 결론 : 직장암 환자에서 화학방사선치료 전 CEA 수치는 수술 후 조직학적 반응정도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화학방사선치료 후나 수술 후의 CEA값은 조직학적 반응정도와 상관 관계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CEA가 조직학적 반응정도를 예측하는 인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향후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whether serum CEA is associated with pathological tumor response in rectal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preoperative chemoradiation therapy (CRT) with total mesorectal excision (TME). Methods: Eighty-five pa...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whether serum CEA is associated with pathological tumor response in rectal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preoperative chemoradiation therapy (CRT) with total mesorectal excision (TME). Methods: Eighty-five patients with rectal cancer who were treated by preoperative CRT followed by TME were enrolled between August 2005 and December 2007. 5-FU based chemotherapy and 5040 cGy of radiation were delivered. Serum CEA was measured pre-CRT, post-CRT, and post-TME period. Among 85 patients, 29 patients did not have post-CRT CEA level. Pathological tumor response (ypTNM stage) was categorized into two groups as follows; favorable response group (group A: n=28, pathological complete response and ypTNM I) vs unfavorable response group (group B: n=57, ypTNM II and III). Median follow-up period was 29.2 months (range 1.1-50.2 month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favorable and unfavorable response group with respect to age, gender, tumor location, lymphovascular invasion, and perineural invasion (Table 1). Anal sphincter preservation surgery was more commonly performed in the group A when compared with group B (26 (92.9%) vs. 41 (71.9%)) (p=0.026). Well and moderately differentiated histology were more commonly found in the group A (26(92.9%) vs. 40(70.2%) (p=0.018). Low level of pre-CRT CEA (<5ng/ml) was more commonly found in the group A (26(92.9%) vs. 30 (52.6%) (p=0.000).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 A and B with regard to post-CRT CEA and post-TME CEA.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pre-CRT CEA (<5ng/ml) and sphincter preservation surgery were associated with favorable pathological tumor response. Conclusions: Low level of pre-CRT CEA (<5ng/ml) is predictive of favorable pathological tumor response but serum level of post-CRT and post-TME CEA did not hav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umor response. This result should be validated in larger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near future.
위식도접합부 선암에서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