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studied reception and creation attitude of Il-yeon for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Sam-guk-yu-sa( 三國遺事)≫. It is stereotyped in three ways - descriptive attitude, analytical attitude and creative attitude. And I discussed the c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29054
2012
Korean
reception and creation attitude ; 수용과 창작 방식 ;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 고전시가 ; ≪Sam-guk-yu-sa ; 三國遺事≫ ; 삼국유사 ; descriptive attitude ; 설명적 방식 ; analytical attitude ; 해석적 방식 ; creative attitude ; 창작적 방식 ; knowledge ; 지식 ; experience ; 경험 ; performance ; 수행 ; attitud
810.4
KCI등재
학술저널
223-257(35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studied reception and creation attitude of Il-yeon for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Sam-guk-yu-sa( 三國遺事)≫. It is stereotyped in three ways - descriptive attitude, analytical attitude and creative attitude. And I discussed the co...
I studied reception and creation attitude of Il-yeon for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Sam-guk-yu-sa( 三國遺事)≫. It is stereotyped in three ways - descriptive attitude, analytical attitude and creative attitude. And I discussed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it and educational effect. We looked the knowledge, experience, performance and attitude were well fulfilled in this book. The meaning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we studied how the ancients receive classical songs and poetry. We could find ancient people had active interest in classical songs and poetry and the story surrounding them, attitude which takes advantage of context-related knowledge, Second, we could find the implications and wisdom for teaching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the classic documentary, ≪Sam-guk-yu-sa ( 三國遺事)≫. It shows that classic documentary could be repository of wisdom to find ways of classical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al contents. Third, we could find that the aim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ere implicated in the classic documentary of the classical period, and seek educational measure of ``Critical Reception and Creative Production of Literature`` 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1.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철, "향가의 문학적 연구" 새문사 1983
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 Wilson, E. O., "통섭" 사이언스북스 1998
4 서명희, "시조 수용 태도 교육 연구를 위한 <오우가> 읽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1) : 5-40, 2006
5 정소연, "서거정의 문학사 인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6 일연, "삼국유사" 명륜당 1993
7 김정우, "문학사교육에서의 지식의 문제-국어 지식 교육의 영역 및 활동과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6 : 299-320, 1999
8 염은열, "문학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지식론의 방향 탐색" 한국문학교육학회 (28) : 193-222, 2009
9 황혜진, "문학능력" 역락 2010
10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 최철, "향가의 문학적 연구" 새문사 1983
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3 Wilson, E. O., "통섭" 사이언스북스 1998
4 서명희, "시조 수용 태도 교육 연구를 위한 <오우가> 읽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1) : 5-40, 2006
5 정소연, "서거정의 문학사 인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6 일연, "삼국유사" 명륜당 1993
7 김정우, "문학사교육에서의 지식의 문제-국어 지식 교육의 영역 및 활동과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6 : 299-320, 1999
8 염은열, "문학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지식론의 방향 탐색" 한국문학교육학회 (28) : 193-222, 2009
9 황혜진, "문학능력" 역락 2010
10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1 김창원, "문학교육론 - 제도화와 탈제도화" 한국문화사 2011
12 류수열, "문학 지식의 교육적 구도" 국어교육학회 (25) : 75-104, 2006
13 조하연, "담론 구조를 통해 본 <서경별곡>의 성격과 그 교육적 의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2) : 217-247, 2011
14 원진숙,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12
15 임주탁, "국어교과의 고전시가 작품 수용에 대한 비판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회 (53) : 5-35, 2009
16 김석회, "고전시가 연구와 교육의 전망"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8) : 69-85, 2009
17 염은열, "고전시가 연구 및 고전시가 교육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고전문학과 교육』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8) : 5-40, 2009
18 조희정, "고전시가 쓰기 교육 연구 -배경 설화를 지닌 실전(失傳) 고전시가의 재구(再構)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8) : 109-150, 2009
19 최홍원, "고전시가 모호성의 교육적 이해"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4) : 249-280, 2009
20 염은열, "고전문학의 교육적 대상화에 대한 연구: 문화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 : 19-40, 2001
21 신은경,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삽입시가(揷入詩歌)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13 : 31-68, 1998
22 황혜진, "‘그림 보고 글쓰기’의 전통과 교육적 창신-<마상청앵도(馬上聽鶯圖)>의 그림과 제화시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3) : 125-150, 2012
23 Gossman, L.,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24 황혜진, "<구운몽>의 정서 형성 방식에 대한 교육적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 : 101-133, 2010
25 조동일, "(제4판)한국문학통사 권2" 지식산업사 2005
26 일연, "(제2판)삼국유사" 동서문화사 2007
27 일연, "(신편)삼국유사" 신서원 2004
배경지식을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 연구 -<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문학교육의 고려 속요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문학교과서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2-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1 | 1.01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2 | 0.96 | 1.335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