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중요한 분석결과는 두 가지로 간추려 볼 수 있다. 광주지역 여성운동의 정체성 변화가 전국적 수준의 변화 시기인 1992-1993년 보다 훨씬 뒤늦은 1999년 -2000년의 시기에 나타난 것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중요한 분석결과는 두 가지로 간추려 볼 수 있다. 광주지역 여성운동의 정체성 변화가 전국적 수준의 변화 시기인 1992-1993년 보다 훨씬 뒤늦은 1999년 -2000년의 시기에 나타난 것은 ...
이 연구의 중요한 분석결과는 두 가지로 간추려 볼 수 있다. 광주지역 여성운동의 정체성 변화가 전국적 수준의 변화 시기인 1992-1993년 보다 훨씬 뒤늦은 1999년 -2000년의 시기에 나타난 것은 이 지역사회의 특수성 때문이다. 사회운동의 측면에서 광주지역은 광주항쟁과 강한 민주화운동의 전통으로 다른 기층계급운동의 발전과 분화가 더딘 지역이다. 이러한 지역적 특수성이 여성운동에도 작용하여 학생운동출신들과 다른 사회운동진영의 여성들이 주축이 된 광주여성회는 독자적 여성운동단체로서 운동의정체성을 모색하기 힘들었다. 그 결과 이 지역여성운동의 구심체였던 광주여성회는 해체되고 기층민중여성의 이해를 가장 밀접하게 담아내는 여성민우회가 새로 출범하였다.
광주 지역여성운동이 독자적 여성운동으로서 정체성을 변화시키는데 작용한 다른 하나의 요인은 지역사회운동이나 지역여성운동의 요구에서 자생적으로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운동의 외부환경의 변화, 전국적 수준에서의 여성운동의 성격변화라는 외적 변인이다. 한국의 여성운동은 민간정부가 수립된 1992년을 기점으로 제도화 및 성 주류화를 주요 패러다임으로 설정하여, 제도 안에서의 여성 세력화를 추구하였다. 이때부터 한국여성운동은 여성관련 법, 제도 개선운동에서도 성과를 보이면서 ‘여성전체’라는 정체성에 입각하여 운동의 독자성 구축과 주체의 다양화를 지향해 가고 있다. 광주지역의 여성운동은 여성운동의 제도화라는 전국수준의 변화의 영향으로 운동의 방향이 국가부문의 여성관련 정책과제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으로 성격이 변화되었다.
이 연구는 광주지역 여성운동의 성격변화에 대한 경험적, 발견적 연구로 의미를 갖는다. 이론적인 논의는 차후의 연구과제로 남겨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