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제 7차 교육 과정의 10학년 물질 단원에서 원소의 주기율표를 이용한 수업을 실시한 후 이온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226명이었으며, 인문계 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297636
2008
-
370
KCI등재
학술저널
89-107(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 과정의 10학년 물질 단원에서 원소의 주기율표를 이용한 수업을 실시한 후 이온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226명이었으며, 인문계 고...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 과정의 10학년 물질 단원에서 원소의 주기율표를 이용한 수업을 실시한 후 이온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226명이었으며, 인문계 고등학교와 공업계 고등학교의 10학년에서 4개 학급씩 선정하여 2개 학급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모든 집단의 학생들은 동일한 교사가 수업을 하여 교수 변인을 통제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유형에 관계없이 실험집단 학생들의 이온개념에 대한 이해가 통제집단에 비해 효과적이었다. 특히 원소의 주기율표를 이용한 수업은 학생들이 다가이온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다원자이온의 경우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인지수준에 따른 성취도 결과는 학교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학교의 유형에 따른 다양한 변인이 있음을 의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10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fter teaching the unit of 'Matter' in science course base on 7th science curriculum using Periodic Table of Elements. The subjects were 226 students of 10th grade, selected into indiv...
This study analyzed 10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fter teaching the unit of 'Matter' in science course base on 7th science curriculum using Periodic Table of Elements. The subjects were 226 students of 10th grade, selected into individually four 10th classes from an academic and a Technical high school. The four classes were divided into two each classes for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All students of the groups were taught by the same teacher.
According to the result, the experiment group students' under- standings of ion concept were more effectiv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regardless of the school types. Specially, the lesson using Periodic Table of Elements was effective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multi- valence ion. However, the difference of score betwee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on multi-atomic ion was not significantly meaningful. The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cognitive level depended on the school types. This means that the results were affected on by diverse variables related to the school types.
목차 (Table of Contents)
매력적인 수업설계를 통한 동기유발로 학력을 신장시키는 국사교육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통합적 생물 기르기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