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신국론』에 나타난 세속국가 허물기와 국가치료의 비전 = Augustine’s Breaking Down of Foundations of the State in his De Civitate Dei I-V and His Vision of Curing the St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6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try to show how Augustine in his De Civitate Dei I-V breaks down foundations of the Roman state by explaining the three following points: the origin of the state, its expansion, and religious deceit for the purpose of social unity. According to Augustine, first of all, Rome was established on murder and evil deeds. Secondly, Rome was expanded upon vices. Augustine criticizes and concludes that Roman virtues like the love of glory (gloriae cupiditas) and the desire for domination (libido dominandi) are vices because they are only excessive self-love that is essential to the earthly city.
      Finally, Rome was established on the base of religious deceit. Knowing that the stories of gods written and played out by poets during festivals were mere fiction, the Roman leaders still maintained these religious festivals because of their usefulness for social concord. Thus, Rome was constructed on religious treachery. Nevertheless, his ultimate vision is not to eliminate the state but to reconstruct it again on the Christian faith.
      번역하기

      In this study, I try to show how Augustine in his De Civitate Dei I-V breaks down foundations of the Roman state by explaining the three following points: the origin of the state, its expansion, and religious deceit for the purpose of social unity. Ac...

      In this study, I try to show how Augustine in his De Civitate Dei I-V breaks down foundations of the Roman state by explaining the three following points: the origin of the state, its expansion, and religious deceit for the purpose of social unity. According to Augustine, first of all, Rome was established on murder and evil deeds. Secondly, Rome was expanded upon vices. Augustine criticizes and concludes that Roman virtues like the love of glory (gloriae cupiditas) and the desire for domination (libido dominandi) are vices because they are only excessive self-love that is essential to the earthly city.
      Finally, Rome was established on the base of religious deceit. Knowing that the stories of gods written and played out by poets during festivals were mere fiction, the Roman leaders still maintained these religious festivals because of their usefulness for social concord. Thus, Rome was constructed on religious treachery. Nevertheless, his ultimate vision is not to eliminate the state but to reconstruct it again on the Christian fai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국론』을 통해 설명한 세속국가 로마의 실체를 세 가지 관점으로 정리하여, 아우구스티누스가 세속국가의 기초를 어떻게 무너뜨리려고 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첫째, 로마는 살인, 납치, 강제결혼, 장인 살해 등 온갖 악행 위에 건설되었다. 둘째, 로마는 악덕 위에서 확장되어 갔다. 로마인들은 자유에 대한 갈망, 영광에 대한 사랑, 지배에 대한 욕망 등을 통해 로마 공화정을 이룩하고 대제국으로 확장되어 갔다. 그런데 아우구스티누스는 영광과 지배라는 로마적 덕성을 지상 도시의 특징인 ‘지나친 자기 사랑’으로 규정하면서 ‘악덕’으로 결론 내린다.
      셋째, 로마는 종교를 이용한 우민화 정책으로 인민을 예속시켰다. 살인경기(ludi circenses)와 연극공연(ludi scaenici) 등은 악령들이 속임수를 써서 숭배 받고자 명령하고 로마의 지도자들은 사회통합에 유익하다는 정치적 유용성을 고려하여 도입하였다. 이렇게 로마는 종교적 기만 위에 건설되었다. 하지만, 아우구스티누스의 궁극적 비전은 국가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기독교 신앙 위에서 재건하려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국론』을 통해 설명한 세속국가 로마의 실체를 세 가지 관점으로 정리하여, 아우구스티누스가 세속국가의 기초를 어떻게 무너뜨리려고 했는지 살펴보는 ...

      본 연구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국론』을 통해 설명한 세속국가 로마의 실체를 세 가지 관점으로 정리하여, 아우구스티누스가 세속국가의 기초를 어떻게 무너뜨리려고 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첫째, 로마는 살인, 납치, 강제결혼, 장인 살해 등 온갖 악행 위에 건설되었다. 둘째, 로마는 악덕 위에서 확장되어 갔다. 로마인들은 자유에 대한 갈망, 영광에 대한 사랑, 지배에 대한 욕망 등을 통해 로마 공화정을 이룩하고 대제국으로 확장되어 갔다. 그런데 아우구스티누스는 영광과 지배라는 로마적 덕성을 지상 도시의 특징인 ‘지나친 자기 사랑’으로 규정하면서 ‘악덕’으로 결론 내린다.
      셋째, 로마는 종교를 이용한 우민화 정책으로 인민을 예속시켰다. 살인경기(ludi circenses)와 연극공연(ludi scaenici) 등은 악령들이 속임수를 써서 숭배 받고자 명령하고 로마의 지도자들은 사회통합에 유익하다는 정치적 유용성을 고려하여 도입하였다. 이렇게 로마는 종교적 기만 위에 건설되었다. 하지만, 아우구스티누스의 궁극적 비전은 국가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기독교 신앙 위에서 재건하려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문구, "헤브라이즘 국가론 연구" 극동문제연구소 29 (29): 33-59, 2013

      2 우홍준, "한비자의 정치사상(system의 통치론)" 한국행정사학회 (27) : 197-227, 2010

      3 신주호, "한비자의 법치사상에 대한 현대적 고찰" 법학연구소 52 (52): 477-515, 2017

      4 남성현, "플라톤의 영혼의 삼분법과 에바그리오스의 영성신학"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8 (48): 67-93, 2016

      5 남성현, "콘스탄티누스 찬가(Laus Constantini)에 나타난 에우세비우스(Eusebius)의 정치신학 : 콘스탄티누스 황제를 통해 실현된 하느님 나라" 한국기독교학회 (59) : 71-100, 2008

      6 남성현, "콘스탄티누스 가문의 기독교적 입법정책(313-361)" 한국학술정보 2013

      7 P. 마라발, "제롬의 생애와 편지" 엠-에드 2006

      8 남성현, "영화 <아고라>(2009)에 관한 소고(小考): 역사 텍스트와 텍스트의 영상화 관점에서"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5) : 249-283, 2016

      9 선한용, "어거스틴의 신국론에 나타난 두 도성의 문제" 12 : 1986

      10 안인섭, "어거스틴과 칼빈의 국가관-『신국론』과 『기독교강요』를 중심으로" 72 : 2005

      1 강문구, "헤브라이즘 국가론 연구" 극동문제연구소 29 (29): 33-59, 2013

      2 우홍준, "한비자의 정치사상(system의 통치론)" 한국행정사학회 (27) : 197-227, 2010

      3 신주호, "한비자의 법치사상에 대한 현대적 고찰" 법학연구소 52 (52): 477-515, 2017

      4 남성현, "플라톤의 영혼의 삼분법과 에바그리오스의 영성신학"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8 (48): 67-93, 2016

      5 남성현, "콘스탄티누스 찬가(Laus Constantini)에 나타난 에우세비우스(Eusebius)의 정치신학 : 콘스탄티누스 황제를 통해 실현된 하느님 나라" 한국기독교학회 (59) : 71-100, 2008

      6 남성현, "콘스탄티누스 가문의 기독교적 입법정책(313-361)" 한국학술정보 2013

      7 P. 마라발, "제롬의 생애와 편지" 엠-에드 2006

      8 남성현, "영화 <아고라>(2009)에 관한 소고(小考): 역사 텍스트와 텍스트의 영상화 관점에서"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5) : 249-283, 2016

      9 선한용, "어거스틴의 신국론에 나타난 두 도성의 문제" 12 : 1986

      10 안인섭, "어거스틴과 칼빈의 국가관-『신국론』과 『기독교강요』를 중심으로" 72 : 2005

      11 남성현, "아우구스티누스의『신국론』(神國論, De Civitate Dei)" 한국서양사학회 (113) : 325-356, 2012

      12 이경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치철학" 74 : 2012

      13 W. S. 뱁코크,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학" 서광사 1998

      14 포시디우스,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 분도출판사 2008

      15 P. 브라운,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 새물결 출판사 2012

      16 서원모, "아우구스티누스의 『창세기 문자적 해설』(De Genesi ad litteram)에 나타난 성경 해석 원리"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7 (47): 69-96, 2015

      17 문시영, "아우구스티누스를 통해 본개인의 성화와 사회적 성화"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9 (49): 307-329, 2017

      18 양명수, "아우구스티누스가 본 정치의 의미와 한계 -『신국론』 19권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학회 (62) : 133-157, 2009

      19 E. R. 하디, "아우구스티누스 연구핸드북" 크리챤다이제스트 1994

      20 변종찬, "아우구스티누스 안에 나타난 주교법정" 한국서양중세사학회 (36) : 1-40, 2015

      21 E. 질송,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이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

      22 베르길리우스, "아에네이스" 숲 2004

      23 아우구스티누스, "신국론" 분도출판사 2004

      24 서원모, "성경해석과 철학 - 아우구스티누스의 창조론을 중심으로 -" 한국중세철학회 (22) : 43-115, 2016

      25 선한용, "성 어거스틴에 있어서 시간과 영원" 대한기독교서회 1998

      26 신치재, "바울과 아우구스티누스의 법·국가사상 비교" 중앙법학회 17 (17): 311-336, 2015

      27 황갑연, "맹자 왕도정치론의 虛와 實 - 王道政治論의 긍정적 가치 그리고 유감 -" 유학연구소 27 : 219-251, 2012

      28 R. 니버, "그리스도와 문화" IVP 출판사 2007

      29 아우구스티누스, "그리스도교 교양" 분도출판사 1989

      30 김혜경, "국가의 목적- 자족성, 행복, 적절한 것의 관계" 인문학연구원 (61) : 225-251, 2009

      31 키케로, "국가론" 한길사 2007

      32 플라톤, "국가(政體)" 서광사 1997

      33 서원모, "교회력의 법제화를 통한 후기 로마 제국의 사회적 시간의 재조직에 대한 연구 -『테오도시우스 법전』을 중심으로 -" 한국교회사학회 (34) : 77-114, 2013

      34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대한기독교서회 1990

      35 최혜영, "고대 로마의 성 폭력과 권력, 지배 담론-루크레티아 성폭행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104) : 5-30, 2010

      36 조원일, "儒家의 政治理想 硏究" 한국철학사연구회 (14) : 9-36, 2004

      37 Lavere, George J., "The Problem of the Common Good in Saint Augustine’s Civitas Terrena" 14 : 1983

      38 Deane, Herbert A, "The Political and Social Ideas of St. Augustin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3

      39 MacQueen, D. J., "The Origin and Dynamics of Society and the State according to St. Augustine" 4 : 1973

      40 Sallust, "The Histories, translated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by Patrick McGushin, Volume 1" Clarendon Press 1992

      41 Downey, Glanville, "The Ethical City, the Secular City, and the City of God" 56 : 1974

      42 Horatius, "The Complete Works of Horace" Frederick Ungar Publishing Co. 1983

      43 Horatius, "The Complete Works of Horac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44 Brown, Peter, "The City of God,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Peter Lang 1995

      45 Donnelly, Dorothy F., "The City of God,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Peter Lang 1995

      46 Niebuhr, Reinhold, "The City of God,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47 Weithman, Paul, "Augustine’s Politcal Philosophy, "in Eleonore Stump and Norman Kretzmann(ed. ), "The Cambridge Companion to August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8 크리스찬 라슐레, "Teaching by exemplum-Culture and Rhetoric in the Pagan and Christian Tradition in Late Antiquity-" 한국교회사학회 (34) : 7-75, 2013

      49 Markus, R. A., "Saeculum: History and Society in the Theology of St August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50 Chesnut, Glenn F., "Our Common History as Christians: Essays in Honor of Albert C. Outler" Oxford Univ. Press 1975

      51 피에르 마라발, "Le christianisme et le pouvoir politique dans les premiers siècles" 한국교회사학회 (33) : 7-54, 2012

      52 Snyder, David C., "Concept of Justice and Civil Government" 14 : 1985

      53 Dougherty, Richard J., "Collectanea Augustiniana" Peter Lang 1990

      54 O’meara, J., "Charter of Christendom: The Significance of the City of God" Macmillan 1961

      55 Donnelly, Dorothy F., "Augustine’s De Civitate Dei,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Modern Criticism, 1960-1990" Peter Lang 1991

      56 O’Donovan, Oliver, "Augustine’s City of God XIX and Western Political Thought" 11 : 1987

      57 Cranz, F. Edward, "Augustine: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Double-day 1972

      58 Doody, John, "Augustine and Politics" Lexington Books 2005

      59 Ruether, Rosemary R., "Augustine and Christian Political Theology" 29 :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12-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서양문화사학회 -> 한국세계문화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Western Civilization -> Korea Association of World History and Culture
      KCI등재
      2018-12-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양 역사와 문화 연구 ->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Western History and Culture -> World History and Cultur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양사학연구 -> 서양 역사와 문화 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Western History -> Journal of Western History and Cul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29 0.671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