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前期 開城商人의 商業活動 = The Gaesung Merchants' Commercial Activitie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28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d the Gaesung(開城) Merchants' commercial activities in the early Chosun(朝鮮) Dynasty from a viewpoint of domestic commerce and foreign trade, being based on the commercial environment in Gaesung. The Gaesung Merchants of the ear...

      This paper studied the Gaesung(開城) Merchants' commercial activities in the early Chosun(朝鮮) Dynasty from a viewpoint of domestic commerce and foreign trade, being based on the commercial environment in Gaesung.
      The Gaesung Merchants of the early Chosun Dynasty had been competing with Seoul Merchants for bo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merce rights, utilizing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the commercial culture formed out of Koryŏ(高麗) on the basis of the commercially peculiar surroundings of Gaesung which had been called ‘commercial city’ since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In this process, despite the commercial policy of ‘Restraining Commercewhich Chosun government had advocated and emphasized, overcoming it, they learned to form the commercial organization that was characterized as the credit and banding together. They, consequently, accumulated an enormous fortune to be equal to Seoul Merchants.
      In the long run, this aspect that the Gaesung Merchants showed in the commercial history of early Chosun reflected the position of the economic category which commerce couldn't help having in disrelation to Restraining Commerce’ of Chosun government and socio-function of merchants.
      Moreover, such Gaesung commerce and Gaesung Merchants' positions not only proved that the commercial tradition of Koryŏ had not been extinguished in the Chosun which looked on Neo-Confucian Metaphysics(性理學) as Nation-ideological study, but also must have been the historical assumption both the domestic commerce and foreign trade development in the late Chosu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朝貢納制の硏究" 1964

      2 "원간섭기 對元貿易 - 老乞大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역사연구소 4 : 1997

      3 "송도 4개문서 에 반영된 송상 들의 도가" 1962년6호

      4 "세종 시대의 교환 경제와 상업 정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3 : 2001

      5 "고려시기 개경의 시장과 주거" 38 : 2000

      6 "高麗時期의 開京市廛 韓國史의 構造와 展開" 혜안 2000

      7 北村秀人, "高麗時代の京市の機能について" 31 : 1993

      8 "高麗時代の京市の基礎的考察 - 位置形態を中心に" 1990

      9 "高麗後期의 開京商業" 98 : 2002

      10 須川英德, "高麗後期における商業政策の展開 - 對外關係を中心に" 東京大 4 : 1997

      1 "李朝貢納制の硏究" 1964

      2 "원간섭기 對元貿易 - 老乞大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역사연구소 4 : 1997

      3 "송도 4개문서 에 반영된 송상 들의 도가" 1962년6호

      4 "세종 시대의 교환 경제와 상업 정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3 : 2001

      5 "고려시기 개경의 시장과 주거" 38 : 2000

      6 "高麗時期의 開京市廛 韓國史의 構造와 展開" 혜안 2000

      7 北村秀人, "高麗時代の京市の機能について" 31 : 1993

      8 "高麗時代の京市の基礎的考察 - 位置形態を中心に" 1990

      9 "高麗後期의 開京商業" 98 : 2002

      10 須川英德, "高麗後期における商業政策の展開 - 對外關係を中心に" 東京大 4 : 1997

      11 "韓國近代商業都市硏究" 國學資料院 1998

      12 "開城簿記硏究の再檢討" 25 : 1988

      13 善生永助, "開城の商業と商業慣習" 46 : 1968

      14 "朝鮮後期 開城知識人의 동향과 北學思想 수용 - 崔漢綺와 金澤榮을 중심으로" 16 : 1993

      15 "朝鮮後期 開城府 財政의 危機와 行政區域 改編" 서울大 國史學科 4142合輯 : 1999

      16 "朝鮮後期 商業資本의 發達" 高麗大學校 出版部 1973

      17 "朝鮮前期의 主人層과 流通體系" 82 : 2002

      18 "朝鮮前期土地制度硏究(Ⅱ)" 지식산업사 1998

      19 "朝鮮前期商業史硏究" 지식산업사 1999

      20 "朝鮮前期 對日貿易 硏究" 1969

      21 "朝鮮初期의 對外貿易政策" 125 : 2004

      22 "朝鮮儒敎社會史論" 1989

      23 "朝鮮人の商業" 1925

      24 "16世紀 對中國 私貿易의 展開 - 銀貿易을 중심으로" 1983

      25 "1617세기 전반 貢物防納의 構造와 流通經濟的 性格" 한울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