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지역 기여도 측정을 위한 지표 고도화와 이를 통한 사회적경제 지원체계 구축의 논리적 기반을 제시한다. 공공기관이 지역사회에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6964
주호균 (중원대학교)
2025
Korean
SVI ; ESG ; social value ; social economy ; public institutions ; measurement indicators. ; SVI ; ESG ; 사회적가치 ; 사회적경제 ; 공공기관 ; 측정지표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38(3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지역 기여도 측정을 위한 지표 고도화와 이를 통한 사회적경제 지원체계 구축의 논리적 기반을 제시한다. 공공기관이 지역사회에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지역 기여도 측정을 위한 지표 고도화와 이를 통한 사회적경제 지원체계 구축의 논리적 기반을 제시한다.
공공기관이 지역사회에 창출하는 사회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고자, ESG-S 지표와 SVI 지표의 정합성을 분석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두 지표의 키워드 빈도 및 연관성을 비교한 결과, 사회적 가치 평가 항목 간 상당한 유사성이 확인되었으며, 통합적 활용 가능성도 도출되었다. 또한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 실적과 ESG 평가 등급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경제 활성화 수준과 ESG 평가 간 긍정적인 연관성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공공기관의 지역사회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한 측정 지표 항목을 제안함으로써 사회적경제 기반의 지역 균형발전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사회적가치 측정기준의 기반을 제공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regional contribution of public institutions and to present a logical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the social economy. To develop a systematic indicator for assessing the ...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regional contribution of public institutions and to present a logical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the social economy.
To develop a systematic indicator for assessing the social value created by public institutions within local communities, the study analyzes the alignment between the ESG-S indicators and the Social Value Index (SVI).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o compare keyword frequencies and associations between the two indices, the analysis reveals a high level of similarity among the evaluation items for social value, indicating the potential for integrated application.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of metropolitan governments in purchasing social enterprise products and their ESG evaluation ratings, suggesting a link between the level of social economy activation and ESG performance.
The findings propose a set of indicators to measure public institutions’ contributions to local communities, thereby providing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policy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of social value measurement to support regionally balanced development based on the social economy.
몽골의 디지털 미디어 확산에 따른 방송 이용 변화와 정부 정책 고찰
지역 사립대학에서의 융합교육 전략과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조사
반복 속의 차이, 그 생성의 공간으로서의 지역문화와 사회적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