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천덕 성령론의 특징과 공헌 = The Pnematology of R. A. Torrey III: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49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salient characteristics of R. A. Torrey III’s pneumatology, and to find out its possible contribution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In short, his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is characterized by fellowship (κοινωνία) as the core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John Zizioulas, an eastern orthodox scholar, is in agreement with him. The fellowship includes not only vertical, but also horizontal relationship; it includes physical (economical) as well as spiritual fellowship. He is unique in arguing that there are two kinds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n the New Testament and Luke in particular. One is the inner work of the Holy Spirit, i.e. rebirth, sanctification, and the fruits by the Holy Spirit. The other i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upon the body of the believers, that is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Torrey finds that Luke uses different words to designate each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The root πλη-as in ἐπλήσθησαν is used with regard to the outward work of the Holy Spirit; the root πληρ-as in πληρόω is used with regard to the inner work of the Holy Spirit. If Torrey is right-I believe he is, the debate whether fullness of the Holy Spirit designates inner or outer work of the Holy Spirit is meaningless. Luke recognizes both and each is distinguished by the other by the distinct vocabulary. This study may have some contributions in tha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orrey’s pneumatology and its significa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salient characteristics of R. A. Torrey III’s pneumatology, and to find out its possible contribution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In short, his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salient characteristics of R. A. Torrey III’s pneumatology, and to find out its possible contribution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In short, his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is characterized by fellowship (κοινωνία) as the core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John Zizioulas, an eastern orthodox scholar, is in agreement with him. The fellowship includes not only vertical, but also horizontal relationship; it includes physical (economical) as well as spiritual fellowship. He is unique in arguing that there are two kinds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n the New Testament and Luke in particular. One is the inner work of the Holy Spirit, i.e. rebirth, sanctification, and the fruits by the Holy Spirit. The other i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upon the body of the believers, that is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Torrey finds that Luke uses different words to designate each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The root πλη-as in ἐπλήσθησαν is used with regard to the outward work of the Holy Spirit; the root πληρ-as in πληρόω is used with regard to the inner work of the Holy Spirit. If Torrey is right-I believe he is, the debate whether fullness of the Holy Spirit designates inner or outer work of the Holy Spirit is meaningless. Luke recognizes both and each is distinguished by the other by the distinct vocabulary. This study may have some contributions in tha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orrey’s pneumatology and its signific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대천덕 신부의 성령론의 특징과 공헌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의 성령론의 공헌과 특징은 두 가지다. 첫째, 그가 성령 사역의 핵심을 ‘코이노니아’로 본 것이다. 이러한 성령론은 신학자 지지울라스(John Zizioulas)의 성령론과 맥을 같이한다. 대 신부는 성령의 사역의 특징을 교제로 보았는데, 이것은 신자와 하나님과의 수직적 교제와 신자 간의 수평적 교제를 다 포함하고 있고, 영적인 교제와 물질의 나눔과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됨도 포함하고 있다. 둘째, 대천덕 신부가 처음으로 주장한 것은 신약성서의 성령 사역은 내적 사역과 외적 사역으로 나뉜다는 것이다. 그는 누가-행전에 나타난 헬라어 용례를 분석해서 이러한 주장을 했다. 이러한 주장이 맞다면, 이것은 성령 사역에 대해서 이 중 한 가지 중심을 택하고 다른 것은 부수적인 것으로 보려는 해석이 잘못된 것이 된다. 이러한 대 신부의 성령론은 한국의 목회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고, 조용기 목사의 성령론과도 많은 유사점과 관련성을 갖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에 큰 영향을 끼친 대천덕 신부의 삶과 성령론의 특징을 제시해 그의 신학적 의의를 밝힌 데 공헌이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대천덕 신부의 성령론의 특징과 공헌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의 성령론의 공헌과 특징은 두 가지다. 첫째, 그가 성령 사역의 핵심을 ‘코이노니아’로 본 것이다. 이러한 성령론은 ...

      본 논문은 대천덕 신부의 성령론의 특징과 공헌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의 성령론의 공헌과 특징은 두 가지다. 첫째, 그가 성령 사역의 핵심을 ‘코이노니아’로 본 것이다. 이러한 성령론은 신학자 지지울라스(John Zizioulas)의 성령론과 맥을 같이한다. 대 신부는 성령의 사역의 특징을 교제로 보았는데, 이것은 신자와 하나님과의 수직적 교제와 신자 간의 수평적 교제를 다 포함하고 있고, 영적인 교제와 물질의 나눔과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됨도 포함하고 있다. 둘째, 대천덕 신부가 처음으로 주장한 것은 신약성서의 성령 사역은 내적 사역과 외적 사역으로 나뉜다는 것이다. 그는 누가-행전에 나타난 헬라어 용례를 분석해서 이러한 주장을 했다. 이러한 주장이 맞다면, 이것은 성령 사역에 대해서 이 중 한 가지 중심을 택하고 다른 것은 부수적인 것으로 보려는 해석이 잘못된 것이 된다. 이러한 대 신부의 성령론은 한국의 목회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고, 조용기 목사의 성령론과도 많은 유사점과 관련성을 갖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회에 큰 영향을 끼친 대천덕 신부의 삶과 성령론의 특징을 제시해 그의 신학적 의의를 밝힌 데 공헌이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근주, "희년, 한국사회, 하나님나라" 홍성사 2012

      2 조신영, "하나님 나라의 개척자, 대천덕 신부님" (508) : 134-135, 2009

      3 존 지지울러스, "친교로서의 존재" 삼원서원 2012

      4 박찬호, "주의 성령을 거두지 마옵소서" 킹덤북스 2011

      5 윌리엄 W. 멘지즈, "조용기 목사의 성령충만 신학: 오순절 관점" 1 : 11-31, 2004

      6 민경배, "조용기 목사의 성령신학과 한국교회: 한 역사적 접근" 1 : 32-60, 2004

      7 이영훈, "조용기 목사의 성령론이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 2 : 125-149, 2004

      8 임형근, "조용기 목사의 성령 이해: 성령과의 교제를 중심으로" 2 : 150-186, 2004

      9 최문홍, "조용기 목사와 성령" 2 : 187-230, 2004

      10 대천덕, "우리와 하나님" 예수원 1988

      1 김근주, "희년, 한국사회, 하나님나라" 홍성사 2012

      2 조신영, "하나님 나라의 개척자, 대천덕 신부님" (508) : 134-135, 2009

      3 존 지지울러스, "친교로서의 존재" 삼원서원 2012

      4 박찬호, "주의 성령을 거두지 마옵소서" 킹덤북스 2011

      5 윌리엄 W. 멘지즈, "조용기 목사의 성령충만 신학: 오순절 관점" 1 : 11-31, 2004

      6 민경배, "조용기 목사의 성령신학과 한국교회: 한 역사적 접근" 1 : 32-60, 2004

      7 이영훈, "조용기 목사의 성령론이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 2 : 125-149, 2004

      8 임형근, "조용기 목사의 성령 이해: 성령과의 교제를 중심으로" 2 : 150-186, 2004

      9 최문홍, "조용기 목사와 성령" 2 : 187-230, 2004

      10 대천덕, "우리와 하나님" 예수원 1988

      11 잽 브래드포드 롱, "영적전쟁과 내적 치유" 이레닷컴 2008

      12 윤철원, "영산의 성령신학 분석: 사도행전 8장 해석을 중심으로" 1 : 112-138, 2004

      13 류장현, "영산의 성령론에 관한 신학적 고찰" 1 : 139-171, 2004

      14 임승안, "영산 조용기 목사의 성령론" 1 : 61-111, 2004

      15 신문철, "영산 조용기 목사의 삼위일체적 성령론" 2 : 41-78, 2004

      16 배본철, "영산 조용기 목사 60년 사역에 걸친 성령론에 나타난 핵심 논제 분석" 영산신학연구소 (33) : 7-36, 2015

      17 김동수, "약함으로 심고 강함으로 살아나리라: 박영선의 설교와 성서학의 대화" 도서출판 기혼 105-130, 2015

      18 김동수, "성서 신학, 더 이상 조직 신학의 토대가 아닌가? -볼프의 성서의 신학적 해석-" 한국신학정보연구원 7 (7): 37-62, 2013

      19 조용기, "성령충만" 한세대학교출판부 2012

      20 잽 브래드포드 롱, "성령의 능력으로 사역하라" 홍성사 1999

      21 김동수, "성령운동의 제3물결" 예찬사 1991

      22 R. A. 토레이, "성령론" 대한기독교서회 1989

      23 조용기, "성령론" 서울말씀사 1998

      24 박영선, "성령론" 크리스챤서적 2009

      25 막스 터너, "성령과 은사" 새물결플러스 2011

      26 김옥주, "성령 안에서의 교제: 대바질(Basil the Great)과 영산을 중심으로" 영산신학연구소 (33) : 167-194, 2015

      27 미로슬라브 볼프, "삼위일체와 교회" 새물결플러스 2012

      28 대천덕, "산골짜기에서 외치는 소리" 기독양서 2002

      29 대천덕, "산골짜기에서 온 편지" 신앙계 1982

      30 현재인, "산골짜기 가족 스케치" 신앙계 2006

      31 고왕인, "사랑합니다 대천덕 신부님-대천덕 신부 소천 5주기에 부쳐: ‘신부님은 우리 민족의 큰 선생이셨습니다" (478) : 20-22, 2007

      32 김동수, "방언은 고귀한 하늘의 언어" 이레서원 2012

      33 이기성, "루터와 영산의 성령론 비교: 개인과 관련된 성령의 사역을 중심으로" 2 : 79-124, 2004

      34 대천덕, "대천덕 자서전: 개척자의 길" 홍성사 1998

      35 대천덕, "대천덕 신부의 통일을 위한 코이노니아" 홍성사 2012

      36 김준곤, "대천덕 신부에게 배우는 영성: 제자도의 영적 리더쉽에 관한 실천적 교훈들" 요단 2005

      37 이성찬, "누가의 성령론적 윤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38 R. A. 토레이, "너희가 믿을 때에 성령을 받았느냐" 서울양서 1990

      39 클레어 토레이 존슨, "내 사랑 황하를 흘러" 좋은씨앗 1990

      40 대천덕, "나와 하나님" 홍성사 2004

      41 김현진, "공동체적 교회회복을 위한 공동체 신학"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42 Delling, G, "πίμπλημι" Wm. B. Eerdmans 128-134, 1969

      43 Delling, G, "πληρόω" Wm. B. Eerdmans 283-311, 1969

      44 Turner, Max, "Spirit Endowment in Luke/Acts: Some Linguistic Considerations" 12 : 45-63, 1981

      45 Käkkäinen, Veli-Matti, "Penumatology: The Holy Spirit in Ecumenical, International, and Contextual Perspective" Eerdmans 2002

      46 Menzies, R. P., "Empowered for Witness : The Spirit in Luke-Acts" Sheffield Academic Press 1994

      47 Balz, Horst, "EDNT 2" Wm. B. Eerdmans 1992

      48 Dunn. James D. G., "Baptism in the Holy Spirit: A Reexamination of the New Testament Teaching on the Gift of the Spirit in Relation to Pentecostalim Today" SCM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7-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Young San Theological Institute of Hansei Unversity -> Youngsan Theological Institute of Hansei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12-07-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Young San Theology -> Journal of Youngsan Theology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오순절신학연구소 -> 영산신학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for Pentacostal Studies -> Young San Theological Institute of Hansei Un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49 0.4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