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三國時代 抱川지역의 역사 전개와 위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0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抱川은 자연 지리적으로 사람이 거주하기 적당한 조건을 갖추어 오랜 전통의先史文化를 갖고 있다. 또한 포천은 한반도의 동북과 서북, 동남과 서남을 각각연결하는 교차점에 해당하기 때문에, 신석기시대 이래로 문화적 교류가 활발하였으며, 한강유역 선사문화의 전초지 역할을 하였다. 초기철기시대의 永松里․自作里 유적 등은 대규모 聚落의 존재를 전하며, 이들은 邑落의 형성과 관계 깊어 포천 일대에서 청동기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토착적인 정치집단의 계기적 발전과 관련하여 주목된다. 곧 포천지역은 북방의 철기문화 등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는 통로에 자리하여 우리나라 초기국가의 성장과정과 맥을 같이하였다.
      기원을 전후한 시기에 포천은 漢灘江과 永平川 일대의 집단을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결집하여 馬韓 小國의 하나로 성장해갔다. 『三國志』 韓傳의 牟水國과 桑外國은 포천과 관계가 있는 소국들로, 마한북부의 백제국과 그 주변 소국들로 상정되는 ‘近郡諸國’에 포함되었을 것이다.
      2세기 중반이후 마한북부의 여러 소국 가운데 두각을 나타낸 伯濟國은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연맹체를 이끌어 갔다. 포천지역의 소국도 3세기를 전후한 시기에는 백제국의 영향권에 편입되었을 것이다. 특히 포천은 百濟 古尒王대 중국군현과의 岐離營 전투에 참여하면서 백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당시 포천은 중국 군현지역에서 수도 漢城으로 통하는 군사적 통로에 위치하여전략적 요충지로 주목되었다.
      4세기 들어 본격화된 고구려의 남진으로 백제의 북방에 위치한 抱川·漣川지역은 고구려와 대치하는 접전지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포천은 철원방면에서 광나루를 거쳐 河南慰禮城으로 통하는 길목에 있어, 고구려의 남하를 막아내는 군사적요충지로 부각되었으며, 古毛里山城과 半月山城 등 지역 내에 산재한 山城의 존재를 통해서 유추할 수 있다. 그러다가 광개토왕의 南征 이후 포천은 6세기 중반 백제와 신라가 공동작전으로 한강유역을 빼앗을 때까지 고구려에 복속되었으며, 이지역의 ‘馬忽’이라는 지명은 이 시기에 대두하였다.
      신라는 7세기 초반부터 漢山州를 두어 이 지역에 대한 효과적인 통치를 도모하였다. 당시 州가 군사거점의 성격이었음을 감안한다면, 한산주에 편제되었던 포천은 철원이나 연천방면에서 남하하는 고구려를 최북단에서 방어하는 군사적 거점이 되었다. 7세기 후반에 신라는 고구려의 옛 땅에서 남하하는 唐軍을 買肖城에서크게 이겨 對唐전쟁의 결정적 승기를 잡았는데, 大田里山城은 그 위치와 입지로보아 매초성과 긴밀한 관계에 있었다. 그 뒤에 9세기 초반까지 지속된 신라의 예성강 이북지역에 대한 영토개발에서 포천은 북방의 전초기지로 이용되었으므로,그 전략적 기능은 신라통일 이후에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번역하기

      抱川은 자연 지리적으로 사람이 거주하기 적당한 조건을 갖추어 오랜 전통의先史文化를 갖고 있다. 또한 포천은 한반도의 동북과 서북, 동남과 서남을 각각연결하는 교차점에 해당하기 때...

      抱川은 자연 지리적으로 사람이 거주하기 적당한 조건을 갖추어 오랜 전통의先史文化를 갖고 있다. 또한 포천은 한반도의 동북과 서북, 동남과 서남을 각각연결하는 교차점에 해당하기 때문에, 신석기시대 이래로 문화적 교류가 활발하였으며, 한강유역 선사문화의 전초지 역할을 하였다. 초기철기시대의 永松里․自作里 유적 등은 대규모 聚落의 존재를 전하며, 이들은 邑落의 형성과 관계 깊어 포천 일대에서 청동기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토착적인 정치집단의 계기적 발전과 관련하여 주목된다. 곧 포천지역은 북방의 철기문화 등 새로운 문화가 유입되는 통로에 자리하여 우리나라 초기국가의 성장과정과 맥을 같이하였다.
      기원을 전후한 시기에 포천은 漢灘江과 永平川 일대의 집단을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결집하여 馬韓 小國의 하나로 성장해갔다. 『三國志』 韓傳의 牟水國과 桑外國은 포천과 관계가 있는 소국들로, 마한북부의 백제국과 그 주변 소국들로 상정되는 ‘近郡諸國’에 포함되었을 것이다.
      2세기 중반이후 마한북부의 여러 소국 가운데 두각을 나타낸 伯濟國은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연맹체를 이끌어 갔다. 포천지역의 소국도 3세기를 전후한 시기에는 백제국의 영향권에 편입되었을 것이다. 특히 포천은 百濟 古尒王대 중국군현과의 岐離營 전투에 참여하면서 백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당시 포천은 중국 군현지역에서 수도 漢城으로 통하는 군사적 통로에 위치하여전략적 요충지로 주목되었다.
      4세기 들어 본격화된 고구려의 남진으로 백제의 북방에 위치한 抱川·漣川지역은 고구려와 대치하는 접전지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포천은 철원방면에서 광나루를 거쳐 河南慰禮城으로 통하는 길목에 있어, 고구려의 남하를 막아내는 군사적요충지로 부각되었으며, 古毛里山城과 半月山城 등 지역 내에 산재한 山城의 존재를 통해서 유추할 수 있다. 그러다가 광개토왕의 南征 이후 포천은 6세기 중반 백제와 신라가 공동작전으로 한강유역을 빼앗을 때까지 고구려에 복속되었으며, 이지역의 ‘馬忽’이라는 지명은 이 시기에 대두하였다.
      신라는 7세기 초반부터 漢山州를 두어 이 지역에 대한 효과적인 통치를 도모하였다. 당시 州가 군사거점의 성격이었음을 감안한다면, 한산주에 편제되었던 포천은 철원이나 연천방면에서 남하하는 고구려를 최북단에서 방어하는 군사적 거점이 되었다. 7세기 후반에 신라는 고구려의 옛 땅에서 남하하는 唐軍을 買肖城에서크게 이겨 對唐전쟁의 결정적 승기를 잡았는데, 大田里山城은 그 위치와 입지로보아 매초성과 긴밀한 관계에 있었다. 그 뒤에 9세기 초반까지 지속된 신라의 예성강 이북지역에 대한 영토개발에서 포천은 북방의 전초기지로 이용되었으므로,그 전략적 기능은 신라통일 이후에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겸, "한산주의설치와변천, In 경기도사 제2권 (고대편)" 경기도사편찬위원회 2003

      2 신형식, "한강유역의역사적의미, In 경기도사 제2권 (고대편)" 경기도사편찬위원회 2003

      3 백종오, "포천자작리유적출토백제한성기기와검토" 37 : 2005

      4 하문식, "포천영송리선사유적" 1993

      5 방유리, "포천반월산성출토 신라유물연구" 41 : 2009

      6 강남대학교한국학연구소, "포천반월산성지표조사보고서" 1995

      7 단국대학교사학과, "포천반월산성2차발굴조사보고서" 1997

      8 단국대학교사학과, "포천반월산성1차발굴조사보고서" 1996

      9 포천군, "포천군지"

      10 박경식, "포천군의역사유적"

      1 김창겸, "한산주의설치와변천, In 경기도사 제2권 (고대편)" 경기도사편찬위원회 2003

      2 신형식, "한강유역의역사적의미, In 경기도사 제2권 (고대편)" 경기도사편찬위원회 2003

      3 백종오, "포천자작리유적출토백제한성기기와검토" 37 : 2005

      4 하문식, "포천영송리선사유적" 1993

      5 방유리, "포천반월산성출토 신라유물연구" 41 : 2009

      6 강남대학교한국학연구소, "포천반월산성지표조사보고서" 1995

      7 단국대학교사학과, "포천반월산성2차발굴조사보고서" 1997

      8 단국대학교사학과, "포천반월산성1차발굴조사보고서" 1996

      9 포천군, "포천군지"

      10 박경식, "포천군의역사유적"

      11 한창균, "포천군의선사유적"

      12 김호준, "포川 半月山城 연구(I) -三國~統一新羅時代 活用地域을 中心으로" 한국문화사학회 20 (20): 51-86, 2003

      13 심광주, "통일신라시대의경기유적, In 경기도사 제2권(고대편)" 경기도사편찬위원회 2003

      14 이강승, "중서부지방의문화기반, In 百濟의起源과建國 (百濟文化史大系 硏究叢書2)"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15 박경자, "조선중기포천사족의존재양상" 29 : 2000

      16 배기동, "선사시대, In 抱川郡誌 (上)"

      17 박남수, "삼국시대, In 抱川郡誌 (上)"

      18 盧重國, "백제의정치, In 百濟의歷史와文化" 學硏文化社 1996

      19 文安植, "백제의영역확장과지방통치" 신서원 2002

      20 徐榮一, "고대의포천, In 포천군의역사와문화유, In 포천군의역사와문화유적"

      21 박종서, "고구려 낭비성娘臂城 위치에 대한 검토" 한국국학진흥원 17 (17): 109-152, 2010

      22 金杜珍, "경기북부지역의지리·역사적성격"

      23 盧重國, "高句麗․百濟․新羅 사이의力關係變化에대한一考察, In 韓國軍事史論文選集"

      24 徐榮一, "高句麗 娘臂城考" 檀國史學會 28 : 1995

      25 千寬宇, "馬韓諸國의 位置試論" 9 : 1979

      26 成周鐸, "馬韓․初期百濟史에對한歷史地理的 管見" 10 : 1987

      27 李弘稙, "韓國古代史의硏究" 新丘文化社 1970

      28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29 權五榮, "百濟의成立과發展, In 한국사 6" 국사편찬위원회 1995

      30 盧重國, "百濟의成立과發展" 60 : 1985

      31 盧重國, "百濟政治史硏究" 一潮閣 1988

      32 徐榮一, "抱川地域 山城의配置와營屬關係" 한국문화사학회 6 (6): 1997

      33 백종오, "抱川 城東里山城의變遷過程 檢討" 한국고대학회 20 : 2004

      34 방유리, "抱川 古毛里山城 出土 百濟土器 小考" 한국문화사학회 (17) : 81-111, 2002

      35 李道學, "抱川 半月山城 出土 ‘고구려’기와銘文의再檢討" 고구려연구회 3 : 1997

      36 徐榮一, "抱川 半月山城 出土 <馬忽受解空口單>銘 기와의考察" 29 : 1996

      37 千寬宇, "古朝鮮史·三韓史硏究"

      38 서봉수, "京畿地域 山城出土 新羅기와硏究-抱川 半月山城 기와의屬性分析 결과를중심으로" 경기사학회 6 : 2002

      39 서영일, "京畿北部地域 高句麗 堡壘 考察" 한국문화사학회 17 (17): 63-80, 2002

      40 李賢惠, "三韓의政治와社會, In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97

      41 윤용구, "三韓과 樂浪의 교섭" 한국고대사학회 34 : 125-144, 2004

      42 李賢惠, "三韓社會形成過程硏究" 一潮閣 1984

      43 李基東, "三國의發展과貴族國家의形成, In 韓國史講座1 (古代篇)"

      44 文昌魯, "三國志韓傳의馬韓과伯濟國" 27 : 2005

      45 박장식, "Bronze Artifacts from Pocheon Banwol Fortress and the Korean High-tin Bronze Technology" 한국문화사학회 (26) : 281-291,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