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판결이나 중재판정이 국내에서 승인되기 위해서는 그 내용 및 절차가 대한민국의 선량한 풍속이나 그 밖의 사회질서에 어긋나지 않아야 한다. 즉 외국판결이나 중재의 내용이 국내에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90638
2014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37-473(37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외국판결이나 중재판정이 국내에서 승인되기 위해서는 그 내용 및 절차가 대한민국의 선량한 풍속이나 그 밖의 사회질서에 어긋나지 않아야 한다. 즉 외국판결이나 중재의 내용이 국내에서...
외국판결이나 중재판정이 국내에서 승인되기 위해서는 그 내용 및 절차가 대한민국의 선량한 풍속이나 그 밖의 사회질서에 어긋나지 않아야 한다. 즉 외국판결이나 중재의 내용이 국내에서 승인 집행되는 경우 대한민국의 기본적인 도덕적 신념이나 사회질서에 어긋나거나, 그러한 판결이나 중재에 이른 절차에 있어서 우리법상 준수가 기대되는 기본원칙이 침해된 경우에는 승인이 거부되는 것이다.
이것은 외국판결이나 중재판정에 대한 실질적인 재심사 금지 원칙과의 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상호 긴장관계에 있다. 원칙적으로 공서의 개념에 대한 제한적 해석이 필요하며 그 판단을 위한 심리도 제한적으로만 허용되어야 한다.
민사소송법 법문 상 대한민국의 선량한 풍속이나 그 밖의 사회질서란 공서(public policy)를 의미하며, 뉴욕협약상의 공공질서와 같은 개념으로서, 국내적 공서가 아니라 국제적 공서(international public policy)라고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 그 외국판결이나 중재판정이 대한민국의 강행법규에 위반된다고 해서 곧바로 공서위반이 되지 않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국제적 강행법규에 위반되는 경우라면, 국제적 공서와 국제적 강행법규는 포섭범위를 달리하는 개념이므로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공서에는 실체적인 측면과 절차적인 측면이 있는데 외국판결의 승인요건 중 국제재판관할요건이나 송달요건이 명시되어 있고 중재판정 승인요건에 관해서는 뉴욕협약상 승인거부사유로 중요한 절차적 흠결들이 별도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절차적 공서는 이에 보충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절차적 공서는 법원 또는 중재인의 독립성 및 공정성, 기본적 방어권의 보장 등 우리법의 절차적 기본원칙이 침해된 경우이며 이런 기본원칙은 당연히 법정국기준으로 판단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국제적 공서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들이어야 한다.
끝으로 공서 위반 여부의 판단에서 사안의 내국관련성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내국관련의 정도가 낮으면 내국 공서의 개입 필요성 또한 낮으며 따라서 공서 위반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다만 보편적 공서 위반의 경우에는 내국관련성과 무관하게 집행이 거절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도급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35조"
2 오정후, "집행판결의 거부사유인 공공질서 위반에 관한 연구 - 청구이의사유가 있을 때 집행판결을 하는 것이 공공질서 위반인가?" 한국민사소송법학회 11 (11): 312-345, 2007
3 노태악, "진산 김문환선생정년기념논문집 제1권 국제관계법의 새로운 지평" 574-,
4 "중재법 제39조(외국 중재판정)"
5 곽윤직, "제8판 민법총칙" 박영사
6 "제3판 주석 민사집행법 II" 한국사법행정학회 238-,
7 "일감법학 제4권" 건국대학교법학연구소 47-,
8 김동윤, "외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요건으로서의 공서" 대한변호사협회 (353) : 146-165, 2006
9 문정일, "외국판결과 외국중재판정에 관한 승인 및 집행에 있어서 공서의 의미" (2) : 159-,
10 이규호, "외국재판의 승인 등에 관한 개정 민소법·민사집행법에 대한 평가"
1 "하도급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35조"
2 오정후, "집행판결의 거부사유인 공공질서 위반에 관한 연구 - 청구이의사유가 있을 때 집행판결을 하는 것이 공공질서 위반인가?" 한국민사소송법학회 11 (11): 312-345, 2007
3 노태악, "진산 김문환선생정년기념논문집 제1권 국제관계법의 새로운 지평" 574-,
4 "중재법 제39조(외국 중재판정)"
5 곽윤직, "제8판 민법총칙" 박영사
6 "제3판 주석 민사집행법 II" 한국사법행정학회 238-,
7 "일감법학 제4권" 건국대학교법학연구소 47-,
8 김동윤, "외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요건으로서의 공서" 대한변호사협회 (353) : 146-165, 2006
9 문정일, "외국판결과 외국중재판정에 관한 승인 및 집행에 있어서 공서의 의미" (2) : 159-,
10 이규호, "외국재판의 승인 등에 관한 개정 민소법·민사집행법에 대한 평가"
11 석광현, "외국도산절차에 따른 면책 효력의 승인"
12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1995.2.10. 선고, 93가합19069 판결" 1995
13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9.27. 선고, 2011가합82815,111416 사건"
14 "서울중앙지방법원 2009.8.13. 선고, 2008가합115906 사건"
15 "서울고등법원 2014.1.17. 선고, 2013나13506 판결(대법원 2014다14160 상고 중)"
16 "서울고등법원 2013. 2012나44947 판결"
17 "서울고등법원 2009.3.6. 선고, 2007나122966 판결"
18 목영준, "상사중재법"
19 석광현, "사기에 의하여 획득한 외국중재판정의 승인과 공서위반 여부" 서울지방변호사회 24 (24):
20 "브뤼셀규정"
21 "민사집행법 제27조(집행판결)"
22 "민사집행법 제26조 (외국판결의 강제집행)"
23 "민사소송법 제217조의2(손해배상에 관한 확정재판등의 승인)"
24 "민사소송법 제217조(외국재판의 승인)"
25 "민사소송법 제217조 제2항"
26 "민사소송법 제217조 및 제217조의2, 민사집행법 제26, 27조, 중재법 제37조"
27 "민사소송법 제203조(외국판결의 효력)"
28 "민사 및 상사사건의 국제재판관할과 외국재판에 관한 협약 예비초안 제33조 및 그에 대한 Peter Nygh 및 Fausto Pocar의 코멘트"
29 이영준, "민법총칙[한국민법론 I]" 박영사
30 "민법주해 제2권" 박영사
31 "민법 제106조(사실인 관습)"
32 "민법 제105조(임의규정)"
33 "미연방헌법 제4조 제1항"
34 "루가노협약"
35 한애라, "루가노 협약상 재판의 승인·집행의 요건과 절차, 국제규범의 현황과 전망 : 2008년 국제규범연구반 연구보고 및 국제회의 참가보고" 법원행정처 300-301,
36 "대법원 2012.5.24. 선고, 2009다22549 판결, 2009다68620 판결"
37 "대법원 2012.5.24. 선고, 2009다22549 판결"
38 "대법원 2010.4.29. 선고, 2010다3148" 2010
39 "대법원 2010.3.25.자 2009마1600 결정"
40 "대법원 2009.6.25. 선고, 2009다22952 판결"
41 "대법원 2009.6.25. 선고, 2009다22952 판결"
42 "대법원 2009.6.11. 선고, 2009다25944 판결"
43 "대법원 2004.10.28. 선고, 2002다74213 판결"
44 "대법원 2003.4.11. 선고, 2001다20134 판결" 2003
45 "대법원 2000.12.8. 선고, 2000다35795 판결"
46 "대법원 1996.9.20. 선고, 96다25302 판결"
47 "대법원 1995.2.14. 선고, 93다53054 판결"
48 "대법원 1994.5.10. 선고, 93므1051,1068 판결"
49 "대법원 1990.4.10. 선고, 89다카20252 판결"
50 "대법원 1990.4.10. 선고, 89다카20252 판결"
51 "대법원 1988.2.9. 선고, 84다카1003 판결"
52 "대법원 1962.3.22. 선고, 4294민상715 판결"
53 "뉴욕협약 제5조"
54 "국제형사사법공조법 제6조(공조의 제한)"
55 "국제사법 제32조 제4항"
56 "국제사법 제10조(사회질서에 반하는 외국법의 규정)"
57 석광현, "국제민사소송법" 박영사
58 경익수, "국제거래에 있어서의 외국판결의 승인·집행/이십일세기 민사소송법의 전망" 1999
59 최공웅, "개정판 국제소송" 육법사 406-,
60 "개정민사소송법 제217조"
61 "개정된 브뤼셀규정"
62 "개정된 본 모델법"
63 "United Paperworkers International Union v. Misco, Inc. 484 U.S. 29(108 S.Ct. 364, 98 L.Ed.2d 286)"
64 Brandon Kain, "The Doctrine of Public Policy in Canadian Contract Law" 7-,
65 "Somportex Limited v. Philadelphia Chewing Gum Corporation, v. Brewster, Leeds & Co., Inc. and M. S. International, Inc., 453 F.2d 435, 13 A.L.R. Fed. 194"
66 "Somportex Limited v. Philadelphia Chewing Gum Corp., 318 F.Supp. 161, 169"
67 "Restatement (Second)"
68 손경한, "Recent Developments in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ments and Arbitral Awards in Korea" (창간) : 179-, 1992
69 Percy H. Winfield, "Public Policy in the English Common Law" 42 (42):
70 Rosalie Silberman Abella, "Public Policy and the Judicial Role" 1989
71 "Lloyd Hammonds v. Aetna Casualty & Surety Company, D.C.Ohio, 243 F.Supp. 793"
72 Ronald A. Brand, "Federal Judicial Center International Litigation Guide" 9-, 2012
73 James D. Fry, "Désordre Public International under the New York Convention : Wither Truly International Public Policy" 8 (8): 85-89, 2009
74 "Article 98"
75 "Article 9 Refusal of recognition or enforcementRecognition or enforcement may be refused"
76 "Article 482. Grounds for Nonrecognition of Foreign Judgments"
77 "Article 481.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ments"
78 "Article 28 Grounds for refusal of recognition or enforcement"
79 "Article 117"
80 "2010.8.12. 선고, 서울고등법원 2009나45377 판결"
중국 법원의 외국판결 승인 및 집행에 관한 실무적 고찰
동아시아 자유무역시대의 국제민상사판결의 상호승인제도의 구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64 | 0.958 | 0.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