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북한 통일을 위한 역사적 연속성과 이념적 동질성 확인:식민지 시대 한국민족주의 전개과정 = Realization of Korean Reunification: Historical Continuity and Ideological Identity in the Korean Nationa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52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eks a way to realiz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o achieving this goal, this study will attempt to confirm historical continuity and ideological homogeneityin in the Korean nationalism. These are positive motivational forces that will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predicted to be the greatest event of 21th century. A unified Korea is the best scenario while a divided Korea is the worst scenario. After achieving unification, how we will realize a national community for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Finding an answer to this question is the goal of this study.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will concretely confirm the historical continuity and ideological homogeneity. From the basis of Rousseau’ modern nationalism, this study will provide a theoretical model balanced by theoretical objectivity and historical independence that can systemize Korean Studies.
      번역하기

      This study seeks a way to realiz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o achieving this goal, this study will attempt to confirm historical continuity and ideological homogeneityin in the Korean nationalism. These are positive motivational forces that will...

      This study seeks a way to realiz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o achieving this goal, this study will attempt to confirm historical continuity and ideological homogeneityin in the Korean nationalism. These are positive motivational forces that will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s predicted to be the greatest event of 21th century. A unified Korea is the best scenario while a divided Korea is the worst scenario. After achieving unification, how we will realize a national community for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Finding an answer to this question is the goal of this study.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will concretely confirm the historical continuity and ideological homogeneity. From the basis of Rousseau’ modern nationalism, this study will provide a theoretical model balanced by theoretical objectivity and historical independence that can systemize Korean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한반도 평화의 실현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남・북한의 역사적 연속성과 이념적 동질성을 확인함으로써 통일을 위한 가능성, 그 추동력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냉전 와해 후, 21세기 자본주의에 대한 도전으로 불리는 금융위기 속에서 경제성장의 중심이 서구에서 동아시아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향후 21세기 가장 위대한 세계사적 사건으로 한반도의 재통일가능성이 예측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남ㆍ북한 통일을 가능케 할 것인가?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민족공동체 실현을 위한 가능성을, 식민지 시대 한인민족주의를 남・북한의 역사적 연속성과 이념적 동질성의 관점에서 확인해 보겠다. 20세기 최대 과제인 민족독립 과제 앞에서 남ㆍ북이 함께 한 한국민족주의를 교훈 삼아, 21세기 최대 과제인 민족통일 실현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해 보겠다. 그것은 좌우이념을 초월한, 순수성을 잃지 않은 한인민족주의의 이념적 동질성과 역사적 연속성이라고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한반도 평화의 실현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남・북한의 역사적 연속성과 이념적 동질성을 확인함으로써 통일을 위한 가능성, 그 추동력을 도...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한반도 평화의 실현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남・북한의 역사적 연속성과 이념적 동질성을 확인함으로써 통일을 위한 가능성, 그 추동력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냉전 와해 후, 21세기 자본주의에 대한 도전으로 불리는 금융위기 속에서 경제성장의 중심이 서구에서 동아시아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향후 21세기 가장 위대한 세계사적 사건으로 한반도의 재통일가능성이 예측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남ㆍ북한 통일을 가능케 할 것인가?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민족공동체 실현을 위한 가능성을, 식민지 시대 한인민족주의를 남・북한의 역사적 연속성과 이념적 동질성의 관점에서 확인해 보겠다. 20세기 최대 과제인 민족독립 과제 앞에서 남ㆍ북이 함께 한 한국민족주의를 교훈 삼아, 21세기 최대 과제인 민족통일 실현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해 보겠다. 그것은 좌우이념을 초월한, 순수성을 잃지 않은 한인민족주의의 이념적 동질성과 역사적 연속성이라고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京城地方法院檢事局, "呂運亨調書"

      2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 자료집" 시사문화사 1986

      3 임경석, "한국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4 김혜승, "한국민족주의 : 발생양식과 전개과정" 비봉출판사 2010

      5 이정식, "한국공산주의 운동의 기원" 한국연구도서관 1961

      6 김준엽,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자료 2" 고려대 출판부 1980

      7 김준엽,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1-5"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73

      8 "코민테른자료선집"

      9 권희영, "코민테른의 민족 식민지논쟁과 한국의 민족해방운동" 3 : 186-198, 1988

      10 "조선신문"

      1 京城地方法院檢事局, "呂運亨調書"

      2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 자료집" 시사문화사 1986

      3 임경석, "한국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4 김혜승, "한국민족주의 : 발생양식과 전개과정" 비봉출판사 2010

      5 이정식, "한국공산주의 운동의 기원" 한국연구도서관 1961

      6 김준엽,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자료 2" 고려대 출판부 1980

      7 김준엽,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1-5"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73

      8 "코민테른자료선집"

      9 권희영, "코민테른의 민족 식민지논쟁과 한국의 민족해방운동" 3 : 186-198, 1988

      10 "조선신문"

      11 전명혁, "조선문제에 대한 코민테른집행위원회 원동부의 결정(자료)" 19 : 23-40, 2003

      12 이창주, "조선공산당사(비록)" 명지대 북한연구센타 1996

      13 김홍일, "자유시사변 전후" 13 (13): 25-46, 1965

      14 마트베이 치모훼비치 김, "일제하 극동시베리아의 한인사회주의자들" 역사비평사 1990

      15 Kim, M. T., "일제하 극동시베리아의 한인사회주의자들" 역사비평사 1990

      16 "인민일보"

      17 이정식, "여운형" 서울대 출판부 2008

      18 민세 안재홍선생 기념사업회, "안재홍과 신간회의 민족운동" 선인 2012

      19 "신한민보"

      20 스칼라피노, "신간회연구" 동녘 1983

      21 이균영, "신간회연구" 역사비평사 1993

      22 임영태, "식민지시대 한국사회와 운동" 사계절 1985

      23 W. Kolarz, "사상계" 25-, 1958

      24 박찬승, "민족주의의 시대 : 일제하의 한국 민족주의" 경인문화사 2007

      25 채근식, "무장독립운동비사" 공보처 1978

      26 Geyer, Dietrich, "러시아혁명" 민음사 1990

      27 "동아일보"

      28 "독립신문"

      29 한국근현대사학회,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80주년기념논문집 상, 하" 국가보훈처 1999

      30 "高麗共産堂及全露共産堂"

      31 朝鮮軍參謀部, "高麗共産堂に關する調査書" (12) : 1923

      32 박은식, "韓國獨立運動之血史" 서울신문사 1946

      33 박현채, "韓國民族主義論 Ⅲ : 민중적 민족주의" 창작과 비평사 1985

      34 京城地方法院檢事局, "鄭在達李在馥調書"

      35 김세용, "西伯利亞 의 조선인 활동" 9 : 1937

      36 姜德相, "現代史資料 25-30" みすず書房 1977

      37 辛珠柏, "滿洲地域 韓人의 民族運動 硏究(1925~40) : 民族主義 및 社會主義 系列의 動向과 統一過程을 中心으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6

      38 朝鮮總督府內務局社會課, "滿洲及西比利亞地方に於ける朝鮮人事情"

      39 Grabe, V.V., "極東露領に於ける黃色人種問題"

      40 劉孝種, "極東ロシアに於ける 10 月革命と朝鮮人社會" 22 : 1987

      41 全國經濟調査機關聯合會, "朝鮮經濟年報" 改調査 1939

      42 "朝鮮統計年鑒"

      43 朴文圭, "朝鮮社會經濟史硏究" 刀江書院 1933

      44 朝鮮總督府法務局, "朝鮮獨立思想運動の變遷"

      45 在上海日本總領事館警察部 第 2 課, "朝鮮民族運動年鑒" 東文社 1946

      46 坪江汕二, "朝鮮民族獨立運動秘史" 日刊勞動通信社 1959

      47 大野謙一, "朝鮮敎育 의 菅見" 朝鮮敎育會 1984

      48 신채호, "朝鮮史論 : 丹齋申采浩先生遺稿, 第 1 輯" 광한서림 1946

      49 田川孝三, "朝鮮史編修會硏究彙纂" 近代朝鮮史硏究所 1944

      50 信夫淸三郞, "日本外交史 1853-1972 Ⅲ" 每日新聞社 1974

      51 姜東鎭, "日本の朝鮮支配政策史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79

      52 "新俄回想錄"

      53 "思想月報"

      54 在外朝鮮人事情硏究會, "北滿及露領朝鮮人事情"

      55 "三千里"

      56 マルクス・エンゲルス・レ-ニン硏究所, "レ―ニン全集 第 31 券" 6 月書店 1962

      57 ロゾフスキ, "ユミンテルン大會史"

      58 村田陽一, "コミンテルン資料集" 大月書店 1981

      59 金正明, "『朝鮮獨立運動』 2,5" 原書房 1967

      60 Vaughan, C.E., "The Political Writings of Jean Jacgues Rousseau 2" Basil Blackwell 1962

      61 Cumings, Bruce,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Princeton Univ. Press 1981

      62 Brown, Arthur Judson, "The Mastery of the far east" charles scribner’s sons 1921

      63 Suh, Dae-Sook, "The Korean Communist Movement, 1918-48" Princeton Univ. Press 1967

      64 Malozemoff, Andrew, "Russian Far Eastern Policy 1881-1904" Univ. of California Press 1958

      65 Carr, E. H., "Nationalism and After" The Macmillan company 1945

      66 Grajdanzev, Andrew J., "Modern Korea" 1944

      67 Ku, Dae-yeol, "Korea Under Colonialiosm : The March First"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by Seoul Computer Press 1985

      68 "Documents on British Foreign Policy 1919-1939"

      69 Suh, Dae-sook, "Documents of Korean Communism1919-1948" Princeton Univ. Press 1970

      70 전명혁, "1920년대 한국사회주의 운동연구" 선인 2006

      71 윤상원, "1920년대 초반 러시아의 한인사회주의자들과 코민테른- 김만겸의 활동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소 (16) : 7-30, 2006

      72 유승렬, "1920년대 조선공산당의 조직위상에 대한 비판" (9) : 58-84, 1989

      73 이태훈, "1920년대 전반기 일제의 '문화정치'와 부르조아 정치세력의 대응" 한국역사연구회 (47) : 1-35, 2003

      74 박종린, "1920년대 전반기 사회주의사상의 수용과 물산장려논쟁" 한국역사연구회 (47) : 67-88, 2003

      75 Kim Syn khav, "(소련)한족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