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녀의 문제행동, 사회적 지원, 성격강점을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03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이해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발달장애인 부모 180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 간편형 척도, 문제행동질문지, 삶의 지향성 척도, 영성평가척도를 실시하였다. 부모의 삶의 질에 대한 발달장애인 자녀의 문제행동, 사회적 지원, 성격강점의 위계적 영향력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자녀의 심각도는 삶의 질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자조모임활동 참여, 부모의 성격강점(낙관성, 영성)은 삶의질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문제행동, 사회적 지원, 부모의 성격 강점은 부모의 삶의 질의 변량의 80%의 설명량을 보였으며, 성격강점(낙관성, 영성)은 부모의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을 크게 증가시켰다. 결론: 발달장애인 부모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달장애 자녀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적 개입과 자조 모임의 활성화, 부모의 낙관성과 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상담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이해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 인천, 경기에 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이해하여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발달장애인 부모 180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 간편형 척도, 문제행동질문지, 삶의 지향성 척도, 영성평가척도를 실시하였다. 부모의 삶의 질에 대한 발달장애인 자녀의 문제행동, 사회적 지원, 성격강점의 위계적 영향력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자녀의 심각도는 삶의 질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자조모임활동 참여, 부모의 성격강점(낙관성, 영성)은 삶의질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문제행동, 사회적 지원, 부모의 성격 강점은 부모의 삶의 질의 변량의 80%의 설명량을 보였으며, 성격강점(낙관성, 영성)은 부모의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을 크게 증가시켰다. 결론: 발달장애인 부모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달장애 자녀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적 개입과 자조 모임의 활성화, 부모의 낙관성과 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상담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nderstanding th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Method: The quality of life scale(WHOQOL-BREF), problem behavior questionnaire, life orientation test(LOT-R) and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SAS) were conducted for 180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id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ierarchical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s, social support, and personality strength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ir parents' quality of life. Results: First, the sever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shown as a nega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and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self-help activities and their personality strengths (optimality and spirituality) were shown as sta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quality of life. Secon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social support, and parental personality strengths accounted for 80% of the parents' quality of life, and personality strengths (optimality and spirituality) greatly increased parents' quality of life.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profess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vitalization of self-help groups, education and counseling support to improve parents' optimism and spirituality.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nderstanding th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Method: The quality of life scale(WHOQOL-BR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nderstanding th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Method: The quality of life scale(WHOQOL-BREF), problem behavior questionnaire, life orientation test(LOT-R) and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SAS) were conducted for 180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id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ierarchical influence of problem behaviors, social support, and personality strength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ir parents' quality of life. Results: First, the sever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shown as a nega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and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self-help activities and their personality strengths (optimality and spirituality) were shown as sta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quality of life. Secon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social support, and parental personality strengths accounted for 80% of the parents' quality of life, and personality strengths (optimality and spirituality) greatly increased parents' quality of life.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profess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vitalization of self-help groups, education and counseling support to improve parents' optimism and spiritu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