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발효된 대두, 미강, 홍삼 3종을 배합을 하여시너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개별 시료보다 더욱 더 좋은혼합물을 만들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3가지 혼합비율 262,622, 442를 비교하였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발효된 대두, 미강, 홍삼 3종을 배합을 하여시너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개별 시료보다 더욱 더 좋은혼합물을 만들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3가지 혼합비율 262,622, 442를 비교하였을 ...
본 연구는 발효된 대두, 미강, 홍삼 3종을 배합을 하여시너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개별 시료보다 더욱 더 좋은혼합물을 만들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3가지 혼합비율 262,622, 442를 비교하였을 때 442 비율이 항산화활성과 항노화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42 혼합비율은개별 재료의 효과와 비교하였을 때 개별 홍삼보다 높은 시너지 효과를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홍삼을 원료로 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때는 홍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미강과 대두와 혼합된 442 혼합비율 재료가 항산화활성과주름개선에 더 높은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의 중요원료로 선호될 수 있다. 앞으로 이 물질에서 주요한 유효성분을 분리, 정제하여 항산화 검증과 항노화 검증의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aging activities of mixed rates 2:6:2(262), 6:2:2(622) and 4:4:2(442) of fermented soybean, fermented rice bran, fermented red ginseng based on the comparision with their separate resul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aging activities of mixed rates 2:6:2(262), 6:2:2(622) and 4:4:2(442) of fermented soybean, fermented rice bran, fermented red ginseng based on the comparision with their separate results of our three previous studies. The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262,622 and 442 mixed ratios were evaluated by the determination of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linoleic acid inhibition activtiy, elastin synthesis activity, and cell viability of B16F10.
The material of 442 ratio showed the higher effects than those of 262 and 622 ratios, and presented the higher effect than the separate material of red ginseng in the antioxidative and antiaging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aterial of 442 ratio in the production of red gineng- containing cosmetics could be preferred as a useful cosmetic ingredient for antioxidation and antiaging.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덕, "한방원료의 초임계 추출을 이용한 항노화 및 주름개선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23 (23): 529-534, 2008
2 김성란,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30-936, 2004
3 이승호, "추출조건에 따른 홍삼추출액의 사포닌 조성 및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56-260, 2008
4 김윤이, "저산소증 상태에서 B16F10 피부암 세포에 EGCG를 처리하였을 때의 apoptosis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1 (21): 251-256, 2011
5 송효남, "유산발효대두의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8 (38): 475-482, 2006
6 하배진, "숙성된 3종 인삼추출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 대한화장품학회 38 (38): 155-162, 2012
7 윤원종, "비쑥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염증억제 효과" 한국생약학회 37 (37): 235-240, 2006
8 하배진, "발효된 미강의 항산화 효과 및 미백 효과" 대한화장품학회 37 (37): 153-159, 2011
9 박정우, "발효 대두 식품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다양한 측정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53-358, 2007
10 현재석, "당유자 과피 발효물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변화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310-1316, 2009
1 김인덕, "한방원료의 초임계 추출을 이용한 항노화 및 주름개선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23 (23): 529-534, 2008
2 김성란, "품종 및 도정도별 백미와 미강의 특성 및 페놀산 함량" 한국식품과학회 36 (36): 930-936, 2004
3 이승호, "추출조건에 따른 홍삼추출액의 사포닌 조성 및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56-260, 2008
4 김윤이, "저산소증 상태에서 B16F10 피부암 세포에 EGCG를 처리하였을 때의 apoptosis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1 (21): 251-256, 2011
5 송효남, "유산발효대두의 품질특성 및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8 (38): 475-482, 2006
6 하배진, "숙성된 3종 인삼추출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 대한화장품학회 38 (38): 155-162, 2012
7 윤원종, "비쑥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염증억제 효과" 한국생약학회 37 (37): 235-240, 2006
8 하배진, "발효된 미강의 항산화 효과 및 미백 효과" 대한화장품학회 37 (37): 153-159, 2011
9 박정우, "발효 대두 식품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다양한 측정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2 (22): 353-358, 2007
10 현재석, "당유자 과피 발효물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변화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310-1316, 2009
11 배성문, "감마선 조사에 의한 왕겨, 미강, 맥강의 항산화능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1 (31): 246-250, 2002
12 오원교, "獨活寄生湯이 멜라닌 생성억제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동의병리학회 23 (23): 63-75, 2009
13 Bulkley, G. B., "The role of oxygen free radicals in human disease processes" 94 : 407-, 1983
14 Manian, R.,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two different solvent extracts of Camellia sinensis (L.) O. Kuntz, Ficus bengalensis L. and Ficus racemosa L" 107 : 1000-, 2008
15 Tsuji, N., "The Role of Ela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74 : 283-290, 2001
16 Ga Yeon Chae,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Fermented and Non-fermented Soybean Extract on Antioxidation and Whitening" 한국독성학회 27 (27): 205-209, 2011
17 Kim, W. S., "Studies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for Rancidity of Linoleic Acid" 13 : 360-364, 2000
18 Fujita, Y., "Studies on inhibition mechanism of autoxidation by tannins and flavonoids. II. Inhibition mechanism of caffeetannins isolated from leaves of Artemisia species on lipoxygenase dependent lipid peroxidation]" 108 : 129-, 1988
19 HyeSookKang, "Scavenging Effect of Korean Medicinal Plants on the Peroxynitrite and Total ROS" 한국생약학회 9 (9): 73-79, 2003
20 Wang, C. Z., "Potential role of ginseng in the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36 : 1019-1028, 2008
21 Yaar, M., "Photoageing: mechanism, prevention and therapy" 157 : 874-887, 2007
22 Kang, S., "Inflamm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Degradation Mediated by Activated Transcription Factors Nuclear Factor-κB and Activator Protein-1 in Inflammatory Acne Lesions in Vivo" 166 : 1691-1699, 2005
23 Halliwell, B.,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3ed." Oxford university press 267-, 1999
24 Antonicelli, F., "ElastinElastases and InflammAging" 79 : 99-155, 2007
25 S. seite, "Elastin Changes during chronogical and photoaging: the important role of lysozyme" 20 : 980-, 2006
26 Choi, K. T., "Botanical characteristics, pharmacological effects and medicinal components of Korean Panax ginseng CA Meyer" 29 : 1109-, 2008
27 Saliou, C., "Antioxidants modulate acute solar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NF-kappa-B activation in a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26 : 174-183, 1999
28 De Kok, T. M. C. M., "Analysis of oxidative DNA damage after human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linoleic acid" 41 : 351-358, 2003
29 Yaar, M., "Aging versus photoaging: postulated mechanisms and effectors" 3 : 47-51, 1998
국내 생산단계 토마토의 위생지표세균 및 유해미생물 오염도 조사
국내 유통 중인 인삼 및 인삼 제품류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훈증소독제, Fumagari OPP®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살균효과
Elution Buffers for Human Enteric Viruses in Vegetables with Applications to Norovirus Detection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ry Of Food Hygiene And Safety ->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9 | 0.726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