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사회운동의 저항의 주기와 집단 정체성의 동학: 공화주의, 민족주의, 애국주의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on dynamics and symbolic fields of critical moments of Korean social movement, in which new cultural horizons and collective self-identies are created. The research objects are the three historical events in which civic protest movements and collective actions were extraordinarily active in the long-term protest waves from 1980s to 2000s: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 the June civic uprising in 1987, and the so-called 'candlelight protest' in 2002, 2004, and 2008. The present study tried to make clear the interactional dynamics of cultural creation by protest participants and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dominant and challenging social forces. Particularly within concrete historical contexts of Korean social movement, the present study paid special attention to those collective identities and collective action frames that might be called 'republican', 'nationalist', and 'patriotic'.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at first the cultural dynamics and meanings of the Gwangju protest in 1980, with particular emphasis upon structural hermeneutic analysis of symbolic interaction between protest participants and political power-holders. The focus of analysis was the interpretive reconstruction of meaning structures that were constituted in the process of conflictive symbolic interactions. Furthermore, previous sociological studies about the cultural aspects of the June civic uprising in 1987 were re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earch results about the Gwangju protest movement in the present study.
      Concerning the protest movements of the 2000s, it must be noted that a large-scale candlelight protest arose in 2008, as the present research project was performing analyses about the candlelight protests in 2002 and 2004. As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 in 2008 was an extraordinary protest event that needs deeper scholarly research, we included analysis of the candlelight protest of 2008 in this research project. The contents of research about the candlelight protests in the 2000s are as follows; firs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bout the candlelight protests in 2002 and 2004; second, in-depth interviews with 63 protest participants in the candlelight protest in 2008; third, statistical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some selected internet communities that played a particular role in the candlelight protest in 2008; fourth, computer-aided content analysis of writings of Daum Agora forum, in particular, thematic analysis and trend analysis; and finally, statistical content analysis(using VBPro) and symbolic network analysis(using UCINET and Netdraw) of printed small pickets and hand-written posts.
      As to the research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ructural hermeneutic analyses of Gwangju protest in 1980 and June uprising in 1987 cannot be reported before the eventual completion of sequential analysis of the whole phases of symbolic interactions. Our findings about the candlelight protest in the 2000s are as follows: Candlelight demonstrations in the 2000s began with respective specific issue such as the death of two middle school girls, the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Roh, and the US-Korean agreement on the import of US-beef products. But the interpretive frames, arguments and demands, and collective self-identities of participants included not only a single-issue, but political ideas and self-consciousness such as reform of US-Korean relationship, substantial realization of people's sovereignty, civic intervention into institutionalized party politics, and imaginations of more democracy. At the center of the candlelight protests in the 2000s were an amalgam of the idea of 'public state', everyday democracy beyond delegative democracy, and republican self-identitie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on dynamics and symbolic fields of critical moments of Korean social movement, in which new cultural horizons and collective self-identies are created. The research objects are the three historical events i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on dynamics and symbolic fields of critical moments of Korean social movement, in which new cultural horizons and collective self-identies are created. The research objects are the three historical events in which civic protest movements and collective actions were extraordinarily active in the long-term protest waves from 1980s to 2000s: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 the June civic uprising in 1987, and the so-called 'candlelight protest' in 2002, 2004, and 2008. The present study tried to make clear the interactional dynamics of cultural creation by protest participants and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dominant and challenging social forces. Particularly within concrete historical contexts of Korean social movement, the present study paid special attention to those collective identities and collective action frames that might be called 'republican', 'nationalist', and 'patriotic'.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at first the cultural dynamics and meanings of the Gwangju protest in 1980, with particular emphasis upon structural hermeneutic analysis of symbolic interaction between protest participants and political power-holders. The focus of analysis was the interpretive reconstruction of meaning structures that were constituted in the process of conflictive symbolic interactions. Furthermore, previous sociological studies about the cultural aspects of the June civic uprising in 1987 were re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earch results about the Gwangju protest movement in the present study.
      Concerning the protest movements of the 2000s, it must be noted that a large-scale candlelight protest arose in 2008, as the present research project was performing analyses about the candlelight protests in 2002 and 2004. As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 in 2008 was an extraordinary protest event that needs deeper scholarly research, we included analysis of the candlelight protest of 2008 in this research project. The contents of research about the candlelight protests in the 2000s are as follows; firs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bout the candlelight protests in 2002 and 2004; second, in-depth interviews with 63 protest participants in the candlelight protest in 2008; third, statistical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some selected internet communities that played a particular role in the candlelight protest in 2008; fourth, computer-aided content analysis of writings of Daum Agora forum, in particular, thematic analysis and trend analysis; and finally, statistical content analysis(using VBPro) and symbolic network analysis(using UCINET and Netdraw) of printed small pickets and hand-written posts.
      As to the research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ructural hermeneutic analyses of Gwangju protest in 1980 and June uprising in 1987 cannot be reported before the eventual completion of sequential analysis of the whole phases of symbolic interactions. Our findings about the candlelight protest in the 2000s are as follows: Candlelight demonstrations in the 2000s began with respective specific issue such as the death of two middle school girls, the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Roh, and the US-Korean agreement on the import of US-beef products. But the interpretive frames, arguments and demands, and collective self-identities of participants included not only a single-issue, but political ideas and self-consciousness such as reform of US-Korean relationship, substantial realization of people's sovereignty, civic intervention into institutionalized party politics, and imaginations of more democracy. At the center of the candlelight protests in the 2000s were an amalgam of the idea of 'public state', everyday democracy beyond delegative democracy, and republican self-ident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대 한국 사회운동의 결정적 국면들에서 새로운 문화적 지평이 탄생하는 역동성과 그 상징적 질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1980년대~2000년대에 이르는 저항의 주기 속에서 시민사회의 집단행동이 고조되었던 세 가지 역사적 사건(광주항쟁, 6월 항쟁, 촛불시위)을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저항의 고조 국면에서 저항주체들에 의한 문화적 창조와 지배-도전 세력 간의 문화적 갈등이 전개되는 상호작용의 동학을 규명한다. 한국 사회운동의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 속에서 본 연구가 특히 주목하는 정체성의 유형은 ‘공화주의’, ‘민족주의’, ‘애국주의’로 명명할 수 있는 공동체적 연대와 충성의 관념들이다.
      우선 본 연구는 1980년 광주항쟁의 문화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특별한 비중을 할애했다. 광주항쟁 당시 항쟁 참여자들과 지배권력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구조해석학적 분석을 시도했으며, 여기서 이 분석의 초점은 시민군, 시민대책위, 미조직 시민 등을 포함하는 항쟁 참여자들과 대통령, 정부부처, 군부, 언론 등 정치사회 권력 간의 상징적 상호작용이다. 그 속에서 양자의 상징적 상호작용이 구성하는 의미구조를 해석적으로 재구성하고, 그러한 상호작용적 의미구조 안에서 두 진영의 의미틀이 어떤 형태로 대립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나아가 그 연장선상에서 광주항쟁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비추어 1987년 6월 항쟁에 관련된 기존 연구들의 사회학적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시도했다.
      2천 년대 촛불집회와 관련해서는, 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 2008년 촛불집회가 발생하여 연구대상을 애초의 2002년, 2004년 촛불집회에 국한시킬 수 없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2008년 촛불집회에 대한 광범위한 면접조사와 자료 분석을 이 연구과제에 포함시켰다. 2천 년대 촛불집회에 관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2002년과 2004년 촛불집회에 관련된 1차 자료 수집과 분석, (2) 2008년 촛불집회 당시 서울광장에서 촛불집회 참여 시민 63명에 대한 현장 인터뷰를 수행, (3) 2008년 촛불집회 당시에 중요한 인터넷 공론장 역할을 했던 인터넷 카페들을 조사대상으로 삼아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4) 아고라 토론방의 게시글에 대한 내용분석, 특히 주제분석과 추세분석, (5) 촛불집회에서 사용된 인쇄된 손팻말, 시민들이 공공게시판이나 전의경 버스 등에 글을 써서 붙인 메모지 등을 자료로 해서 VBPro 프로그램을 이용한 계량적 내용분석과 UCINET, Netdraw 등을 이용한 상징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결과에 관해 말하자면, 우선 광주항쟁과 6월 항쟁에 대한 연구는 구조해석학적 분석방법의 특성상 순차적 정밀분석 작업이 최종적으로 종결되어야만 전체 분석결과의 의미를 확정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보고서에서 보고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2천 년대 촛불집회들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천 년대의 세 번에 걸친 대규모 촛불집회는 구체적이고 특수한 이슈(미선효순, 탄핵, 쇠고기)에서 점화되었다. 또한 운동의 전략적 목표라는 측면에서도 2002년 촛불집회는 가해자 미군에 대한 처벌, 2004년에는 대통령 탄핵 반대, 2008년에는 미국 쇠고기 수입조건에 관한 재협상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러나 저항행동에서 표출된 참여자들의 목소리는 그러한 국지적 이슈의 범위를 훨씬 뛰어넘어, 한미관계의 재정립, 국민주권의 실질적 실현, 제도정치에 대한 시민적 개
      번역하기

      이 연구는 현대 한국 사회운동의 결정적 국면들에서 새로운 문화적 지평이 탄생하는 역동성과 그 상징적 질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1980년대~2000년대에 이르...

      이 연구는 현대 한국 사회운동의 결정적 국면들에서 새로운 문화적 지평이 탄생하는 역동성과 그 상징적 질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1980년대~2000년대에 이르는 저항의 주기 속에서 시민사회의 집단행동이 고조되었던 세 가지 역사적 사건(광주항쟁, 6월 항쟁, 촛불시위)을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저항의 고조 국면에서 저항주체들에 의한 문화적 창조와 지배-도전 세력 간의 문화적 갈등이 전개되는 상호작용의 동학을 규명한다. 한국 사회운동의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 속에서 본 연구가 특히 주목하는 정체성의 유형은 ‘공화주의’, ‘민족주의’, ‘애국주의’로 명명할 수 있는 공동체적 연대와 충성의 관념들이다.
      우선 본 연구는 1980년 광주항쟁의 문화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특별한 비중을 할애했다. 광주항쟁 당시 항쟁 참여자들과 지배권력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구조해석학적 분석을 시도했으며, 여기서 이 분석의 초점은 시민군, 시민대책위, 미조직 시민 등을 포함하는 항쟁 참여자들과 대통령, 정부부처, 군부, 언론 등 정치사회 권력 간의 상징적 상호작용이다. 그 속에서 양자의 상징적 상호작용이 구성하는 의미구조를 해석적으로 재구성하고, 그러한 상호작용적 의미구조 안에서 두 진영의 의미틀이 어떤 형태로 대립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나아가 그 연장선상에서 광주항쟁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비추어 1987년 6월 항쟁에 관련된 기존 연구들의 사회학적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시도했다.
      2천 년대 촛불집회와 관련해서는, 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 2008년 촛불집회가 발생하여 연구대상을 애초의 2002년, 2004년 촛불집회에 국한시킬 수 없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2008년 촛불집회에 대한 광범위한 면접조사와 자료 분석을 이 연구과제에 포함시켰다. 2천 년대 촛불집회에 관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2002년과 2004년 촛불집회에 관련된 1차 자료 수집과 분석, (2) 2008년 촛불집회 당시 서울광장에서 촛불집회 참여 시민 63명에 대한 현장 인터뷰를 수행, (3) 2008년 촛불집회 당시에 중요한 인터넷 공론장 역할을 했던 인터넷 카페들을 조사대상으로 삼아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4) 아고라 토론방의 게시글에 대한 내용분석, 특히 주제분석과 추세분석, (5) 촛불집회에서 사용된 인쇄된 손팻말, 시민들이 공공게시판이나 전의경 버스 등에 글을 써서 붙인 메모지 등을 자료로 해서 VBPro 프로그램을 이용한 계량적 내용분석과 UCINET, Netdraw 등을 이용한 상징 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결과에 관해 말하자면, 우선 광주항쟁과 6월 항쟁에 대한 연구는 구조해석학적 분석방법의 특성상 순차적 정밀분석 작업이 최종적으로 종결되어야만 전체 분석결과의 의미를 확정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보고서에서 보고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2천 년대 촛불집회들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천 년대의 세 번에 걸친 대규모 촛불집회는 구체적이고 특수한 이슈(미선효순, 탄핵, 쇠고기)에서 점화되었다. 또한 운동의 전략적 목표라는 측면에서도 2002년 촛불집회는 가해자 미군에 대한 처벌, 2004년에는 대통령 탄핵 반대, 2008년에는 미국 쇠고기 수입조건에 관한 재협상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러나 저항행동에서 표출된 참여자들의 목소리는 그러한 국지적 이슈의 범위를 훨씬 뛰어넘어, 한미관계의 재정립, 국민주권의 실질적 실현, 제도정치에 대한 시민적 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