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금연구역 가이드라인 및 실외 흡연실 해외 동향 = Overseas Trend of Non-Smoking Area Guidelines and Outdoor Smoking Ro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8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실외 금연구역 가이드라인과 실외 흡연실에 대한 해외 동향을 사례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적합한 실외 흡연실 모델을 도출 및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더 ...

      연구목적: 실외 금연구역 가이드라인과 실외 흡연실에 대한 해외 동향을 사례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적합한 실외 흡연실 모델을 도출 및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간접흡연의 감소효과와 금연정책의 효과평가를 위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금연구역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해외 주요 국가의 금연구역 가이드라인과 실외 흡연실의 사례를 분석하여 얻어진 정보를 분석하여 재구성하고 개념화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사례를 통해 반복적으로 논리를 확인해가는 다중 사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WHO FCTC 8조 가이드라인 및 해외의 금연구역 개념을 검토한 결과, 금연구역 및 담배로부터의 보호는 담배 행위 및 담배로 인한 노출로부터 흡연자 및 비흡연자를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 해석을 원칙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연구역 설정을 위한 공간적 개념은 대부분 실내를 넓은 의미로 확정하여 지붕이 있는 공간으로, 밀폐공간은 사면 중 25~75% 벽면으로 둘러싸여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또한, 공공장소는 소유권이나 소유자의 접근 권리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접근 할 수 있는 공간이거나 단체가 사용하고 있다면 공공장소로 정의 내려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해외의 금연구역 가이드라인을 분석한 결과, 금연구역 및 담배로부터의 보호는 담배 행위 및 담배로 인한 노출로부터 흡연자 및 비흡연자를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 해석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각 개념의 해석과 적용은 국가별, 또는 같은 국가에서도 지방정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금연구역 정책의 유지 및 확대를 위하여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담배연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시설이 요구되며, 모든 실내에서 완전 금연을 달성할 수 있는 정책이 제시되어야 한다. 금연 정책의 성취, 이행, 효과에 대한 철저한 감시 및 평가가 수반되어야 하며, 유해한 담배연기로부터 비흡연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정책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적인 지지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seas trend of non-smoking area guidelines and outdoor smoking room based on case study method, and to present the outdoor smoking room model suitable for South Korea. Methods: This case s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seas trend of non-smoking area guidelines and outdoor smoking room based on case study method, and to present the outdoor smoking room model suitable for South Korea.
      Methods: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conceptualize the implementation and expansion of non-smoking area policies, focusing on cases of outdoor non-smoking area guidelines and outdoor smoking roon in major foreign countries. In order to secure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ults, this study adopted a Multiple Case Study that repeatedly confirm several case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HO FCTC Article 8 guideline, non-smoking area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active interpretation to protect smokers and nonsmokers from exposure to tobacco smoke. Most of the spatial concepts for outdoor smoking room are defined as a space with a roof defined by a broad sense of the interi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on-smoking area guidelines and outdoor smoking room in foreign countries,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the outdoor smoking room differed according to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and it was found to be characteristic of each countries.
      Conclusion: In order to maintain and expand the non-smoking area policies, a scientific facility is required which can completely eliminate smoke, and a definite policy should be provided to achieve complete smoking cessation in all indoors. The policy monitoring and evaluation should be accompanied on the achievement,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smoking cessation polic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measures to protect from harmful smoke. There should be a social support system that can maintain the polic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해, "독일 비흡연자보호법의 제정과 동향" 법학연구소 (52) : 219-253, 2011

      2 이병호, "국민 권리존중을 위한 흡연공간 가이드라인 연구 - 실외 독립형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154-163, 2013

      3 厚生労働省, "職場の 受動喫煙防止対策が事業者の努力義務となりました" 2015

      4 WHO,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15" 2015

      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WHO

      6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Article 9 Paragraph 6"

      7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8 Wirral Council, "Smoking shelter guidelines. Wirral Council"

      9 Lichfield District Council, "Smoking ban enforcement"

      10 US Public Health Service, "Smoking and health: Report of the Advisory Committee to the Surgeon General" DHEW publication (PHS) 1103-, 1964

      1 이상해, "독일 비흡연자보호법의 제정과 동향" 법학연구소 (52) : 219-253, 2011

      2 이병호, "국민 권리존중을 위한 흡연공간 가이드라인 연구 - 실외 독립형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154-163, 2013

      3 厚生労働省, "職場の 受動喫煙防止対策が事業者の努力義務となりました" 2015

      4 WHO,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15" 2015

      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WHO

      6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Article 9 Paragraph 6"

      7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8 Wirral Council, "Smoking shelter guidelines. Wirral Council"

      9 Lichfield District Council, "Smoking ban enforcement"

      10 US Public Health Service, "Smoking and health: Report of the Advisory Committee to the Surgeon General" DHEW publication (PHS) 1103-, 1964

      11 Trafford Council, "Smoking Shelter Guidelines"

      12 Gateshead Council, "Smoking Shelter Guidelines"

      13 Jinot J, "Respiratory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lung cancer and other disorders" Office of Health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2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38-, 2012

      15 "Raucherunterstand-tobacco"

      16 Creswell J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E" Sage Publications 2006

      17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utdoor Smoking Areas: A guide for lincensed premises" 2006

      18 PEA, "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19 Herriott RE, "Multisite Qualitative Policy Research: Optimizing Description and Generalizability" 12 (12): 14-19, 1983

      2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9 (59): 1473-1508, 2010

      21 Yamato H, "Method for installing an effective smoking room and the effectiveness of real-time monitoring" 46 : 55-60, 2004

      22 Legislation Government United Kingdom, "Health Act 2006"

      23 The City Council of the City of Texarkana,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and Enforcement of Texarkana" 2005

      24 City of Arlington, "Guidelines for installation of approved designated smoking area" 2014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s for implementation of Article 8 of the WHO FCTC"

      26 Northern Territory Government, "Guide to Licensed Premises for Outdoor Smoking Areas" 2011

      27 Derby City Council, "Guidance on Shisha and Smoking Shelters"

      28 St Albans city, "Going Smoke-free: A planning guide to smoking shelters"

      29 Wiltshire Council, "Going Smoke-free: A planning advice note on smoking shelters and other features"

      30 Stockport Council, "Going Smoke Free - A Planning Advice Note on Smoking Shelters and Other Features"

      31 Kim KS, "Evaluation of Effects of National Smoke-Free Law by Measuring Indoor Secondhand Smoke" Seoul Metropolitan City Seoul Medical Center,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32 Alevantis L, "Designing for smoking rooms" 2003

      33 Yin R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4/E" Sage Publications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15 1.47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