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epperell, R., "포스트휴먼의 조건" 아카넷 1995
2 박유신, "포스트휴먼 교육 텍스트로서의 SF 애니메이션 읽기- 애니메이션 를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53) : 59-84, 2018
3 Herbrechter, S., "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이후의 인간에 관한 문화철학적 담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4 최민자, "포스트모던 세계와 포스트휴먼 그리고 트랜스휴머니즘" 동학학회 (44) : 129-179, 2017
5 김연순, "트랜스휴먼, 인간과 기계의 혼성적 실재에 대한 문화학적 고찰 1 -혼성적 실재의 원리적 고찰로서 혼성화의 자기조직화-" 인문학연구원 (47) : 41-56, 2011
6 신상규, "트랜스휴머니즘,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생각?" 철학연구소 29 : 189-217, 2012
7 강준수, "카니발적 특성으로 본 이청준의 『축제』 고찰"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4 (24): 21-44, 2019
8 천현득,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감정을 가진 기계는 실현가능한가?‒" 한국철학회 (131) : 217-243, 2017
9 이창익, "인간이 된 기계와 기계가 된 신: 종교, 인공지능, 포스트휴머니즘" 종교문화비평학회 31 (31): 209-254, 2017
10 양선진, "양명학을 통해 본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 한국양명학회 (45) : 497-507, 2016
1 Pepperell, R., "포스트휴먼의 조건" 아카넷 1995
2 박유신, "포스트휴먼 교육 텍스트로서의 SF 애니메이션 읽기- 애니메이션 를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53) : 59-84, 2018
3 Herbrechter, S., "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이후의 인간에 관한 문화철학적 담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4 최민자, "포스트모던 세계와 포스트휴먼 그리고 트랜스휴머니즘" 동학학회 (44) : 129-179, 2017
5 김연순, "트랜스휴먼, 인간과 기계의 혼성적 실재에 대한 문화학적 고찰 1 -혼성적 실재의 원리적 고찰로서 혼성화의 자기조직화-" 인문학연구원 (47) : 41-56, 2011
6 신상규, "트랜스휴머니즘,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생각?" 철학연구소 29 : 189-217, 2012
7 강준수, "카니발적 특성으로 본 이청준의 『축제』 고찰"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4 (24): 21-44, 2019
8 천현득,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감정을 가진 기계는 실현가능한가?‒" 한국철학회 (131) : 217-243, 2017
9 이창익, "인간이 된 기계와 기계가 된 신: 종교, 인공지능, 포스트휴머니즘" 종교문화비평학회 31 (31): 209-254, 2017
10 양선진, "양명학을 통해 본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 한국양명학회 (45) : 497-507, 2016
11 정지훈, "미학적 주체로서의 포스트휴먼?" 한국영상문화학회 (33) : 83-126, 2018
12 Barnett, Christopher, "미래가 보이는 25가지 트랜드" 더난콘텐츠그룹 2012
13 Berger, John, "다른 방식으로 보기" 열화당 2012
14 Hayles, N.Katherine,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 아카넷 2016
15 강준수, "『베오울프』를 통해 본 서양문명의 자연의 타자화 고찰"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47) : 7-43, 2019
16 Ji, Youngmin, "io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35 (35): 43-50, 2017
17 Wolf, Cary, "What is Posthumanism?"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0
18 Shin, Sangkyu, "The future of Homo sapiens" Akarnet 2014
19 Kurzweil, R., "The Singularity is Near: When Humans Transcend Biology" Viking Penguin 2005
20 이경란, "The Posthuman" 아카넷 2015
21 More, Max, "The Overhuman in the Transhuman" 21 (21): 1-4, 2010
22 Kim, Myeongju, "The Ne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nd Trends at Home and Abroad" 34 (34): 45-54, 2017
23 홍은숙, "The Ghost in the Shell에 나타난 인간지능과 인공지능" 인문과학연구소 (85) : 225-254, 2018
24 Chung, Kido, "Me, avatar, and virtual world" Chaeksesang 2000
25 Son, Whacheol, "Humans in the Post-Human Era" Akarnet 2016
26 Hayles, N.Katherine, "How We Became Posthuman: Virtual Bodies in Cybernetics, Literature, and Information, and Informatics" Chicago University Press 1999
27 Lee, Sangwook, "Desired technology" Eastasia 2009
28 Kim, Daeshik, "Daeshik’s Human vs. Machine: What is Artificial Intelligence?" Eastasia 2016
29 Thweatt-Bates, Jeanine, "Cyborg Selves: A Theological Anthropology of the Posthuman" Routledge 2016
30 Lee, Kyunmyeong, "A.I" Saengneung Publishing 2018
31 Kurzweil, R., "21세기 호모 사피엔스" 나노미디어 1999
32 박영석, "21세기 SF 영화와 포스트휴먼의 조건 -정신과 신체의 인공적 관계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14 (14): 427-458,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