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이동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of ResidentialRelocation of Newlywed Househol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89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n the decision of residential relocation of newlyweds in Seoul. Using the 2016 Korea Newlyweds’ Housing Survey data, we separated the respondents into two groups, dual-worker households and single-worker households. Then, we compared the level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n the decision to relocate. The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ransportation environment is higher for dual-worker households than single-worker households. Also,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etween dual-worker households and single-worker households. Neighborhood safety, presence of a natural environment, and transportation environment are important factors on the decision of residential relocation of the single-worker household. Neighborhood safety is important for the dual-worker househol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n the decision of residential relocation of newlyweds in Seoul. Using the 2016 Korea Newlyweds’ Housing Survey data, we separated the respondents into two groups, dual-worker househ...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n the decision of residential relocation of newlyweds in Seoul. Using the 2016 Korea Newlyweds’ Housing Survey data, we separated the respondents into two groups, dual-worker households and single-worker households. Then, we compared the level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n the decision to relocate. The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ransportation environment is higher for dual-worker households than single-worker households. Also,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etween dual-worker households and single-worker households. Neighborhood safety, presence of a natural environment, and transportation environment are important factors on the decision of residential relocation of the single-worker household. Neighborhood safety is important for the dual-worker househol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은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자리나 주거와 같은 구조적인 요인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저출산 문제에 있어서 결혼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결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면서 신혼부부 가구를 위한 주거지원 정책 개선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이동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신혼부부 가구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신혼부부 가구를 맞벌이 여부에 따라 세분화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맞벌이 가구의 경우 맞벌이 가구에 비해 교통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이동 의사를 결정하는 주거환경 요소들은 맞벌이 가구와 외벌이 가구가 다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가구의 경우 치안, 범죄 등 안전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외벌이 가구의 경우 안전환경 뿐만 아니라 녹지, 공원, 산책로 등 주변 자연환경과 버스, 지하철 등 교통환경이 주거이동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신혼부부 가구 주거환경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은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자리나 주거와 같은 구조적인 요인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점차 ...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은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자리나 주거와 같은 구조적인 요인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저출산 문제에 있어서 결혼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결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면서 신혼부부 가구를 위한 주거지원 정책 개선의 필요성 또한 증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이동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신혼부부 가구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신혼부부 가구를 맞벌이 여부에 따라 세분화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맞벌이 가구의 경우 맞벌이 가구에 비해 교통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이동 의사를 결정하는 주거환경 요소들은 맞벌이 가구와 외벌이 가구가 다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가구의 경우 치안, 범죄 등 안전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외벌이 가구의 경우 안전환경 뿐만 아니라 녹지, 공원, 산책로 등 주변 자연환경과 버스, 지하철 등 교통환경이 주거이동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신혼부부 가구 주거환경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미, "패널조사를 활용한 주거이동요인과 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7

      2 임미화,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구주 연령별 주거이동발생 요인" 한국부동산연구원 23 (23): 79-94, 2013

      3 "통계청 신혼부부통계"

      4 "통계청 보도자료"

      5 이창효, "토지이용-교통 상호작용을 고려한 주거입지 예측모델 연구 : DELTA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2

      6 오천진, "최초 주택구입자의 주거 이동과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5 (35): 183-198, 2017

      7 김준형, "지역주택가격이 임차가구의 점유형태와 주거입지 이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109-118, 2009

      8 임정빈,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 지역이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한국행정학회 2012

      9 이경환, "지역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가 주거이동 결정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12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23-33, 2008

      10 안효성, "지금 신혼부부에게는 교통복지, 시테크가 필요해"

      1 강미, "패널조사를 활용한 주거이동요인과 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7

      2 임미화,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구주 연령별 주거이동발생 요인" 한국부동산연구원 23 (23): 79-94, 2013

      3 "통계청 신혼부부통계"

      4 "통계청 보도자료"

      5 이창효, "토지이용-교통 상호작용을 고려한 주거입지 예측모델 연구 : DELTA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2

      6 오천진, "최초 주택구입자의 주거 이동과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5 (35): 183-198, 2017

      7 김준형, "지역주택가격이 임차가구의 점유형태와 주거입지 이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109-118, 2009

      8 임정빈,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 지역이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한국행정학회 2012

      9 이경환, "지역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가 주거이동 결정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12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23-33, 2008

      10 안효성, "지금 신혼부부에게는 교통복지, 시테크가 필요해"

      11 김선경, "중산층 맞벌이 가구를 위한 소형주택계획 연구 : 은행사무직 취업여성가구를 대상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4

      12 하성규, "주택정책론" 박영사 2010

      13 강은택, "주택점유형태와 주거이동 동기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부동산학회 33 (33): 215-230, 2015

      14 황광선,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환경과 주거만족 연구: 주택복지정책에 대한 함의" 서울연구원 14 (14): 57-72, 2013

      15 황태수, "주거환경이 주거선택기준, 가치, 만족,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6

      16 박영근, "주거환경이 주거선택기준, 가치, 만족,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14 (14): 145-173, 2006

      17 이상포, "주거환경이 신혼부부 출산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부동산학회 35 (35): 273-289, 2017

      18 김윤옥, "주거환경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부동산학회 (64) : 227-240, 2016

      19 김영주, "주거환경만족도와 커뮤니티 의식이 도시 거주자의 이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219-226, 2012

      20 李注澤, "주거환경 만족도 요인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4

      21 정병호, "주거특성이 주거만족도와 주거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3) : 256-267, 2015

      22 최미라, "주거이동의 동기와 유형에 관한 연구(2) : 순천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0 (10): 1994

      23 최미라, "주거이동의 동기와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0 (10): 1994

      24 고경필, "주거이동의 동기와 영향변인 분석" 한국주거학회 10 (10): 1999

      25 박미선, "주거사다리 강화를 위한 신혼부부 주거지원 정책방안" 국토정책 2018

      26 이창효, "점유형태 선택과 주거환경 및 주거의식의 관련성 분석 - 수도권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 한국지역학회 32 (32): 31-44, 2016

      27 최은선, "자가가구와 전세가구의 거주기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비교분석" 서울연구원 12 (12): 123-136, 2011

      28 곽현근, "인지된 동네무질서와 사회적 유대가 개인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7 (7): 217-239, 2003

      29 김정옥, "육아중심 협동조합형 임대주택의 주거만족도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5

      30 김선중, "울산시 거주자의 주거이동동기와 주거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002

      31 유시은, "용도지역에 따른 도시형생활주택의 거주자 특성과 주거만족도 분석 - 서울 관악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4 (14): 83-92, 2013

      32 조성희, "아파트단지 거주 맞벌이주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생활특성 및 선호주거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113-122, 2009

      33 하규수, "아파트 거주자의 변인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8 (48): 83-96, 2010

      34 이상포,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만족도와 주거환경요인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2 : 37-58, 2017

      35 전명진, "수도권 주거 이동 가구의 주거입지 선택 요인 분석" 한국지역학회 32 (32): 83-103, 2016

      36 전명진, "수도권 맞벌이 부부의 초과통근 및 통근 효율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259-275, 2014

      37 전명진, "수도권 맞벌이 가구의 통근통행 행태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193-206, 2009

      38 최희용, "수도권 거주가구의 주거이동방향 간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30 (30): 163-180, 2017

      39 홍성조, "소득계층별 주거이동과정에 관한 연구 - 수도권내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91-100, 2011

      40 김태현, "서울시내 주거이동의 시ㆍ공간적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2008

      41 오정석, "서울시 매입임대주택의 주거환경과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3 (33): 85-101, 2015

      42 강남욱, "서울시 고령자의 대중교통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13 (13): 83-106, 2018

      43 이재수, "서울 전출입 가구의 주거이동 특성과 이동 요인 연구 : 2001~2010년 간 서울 대도시권의 가구이동"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27-45, 2017

      44 최열,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30 (30): 313-321, 2010

      45 윤복자, "사회 계층에 따른 가족생활주기별 주거이동모형 연구" 대한가정학회 30 (30): 1992

      46 장욱, "부산인접도시 택지개발지의 가구이동결정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6 (36): 2001

      47 최유진, "민간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 환경 만족도가매입의향에 미치는 영향" 대한부동산학회 35 (35): 321-334, 2017

      48 김석경, "맞벌이 가족의 주생활 특성 및 주요구에 관한 연구 - 막내자녀 연령별 특성분석 -" 대한건축학회 21 (21): 3-12, 2005

      49 지우석, "맞벌이 가구의 통행특성 및 주거입지선택 분석연구" 경기연구원 2004

      50 최열, "도시내 주거이동 결정요인과 희망 주거지역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4 (34): 1999

      51 신나윤, "도시가구의 고용특성 및 변화에 따른 주거이동에 관한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6

      52 조은정, "도시 신혼기가계의 주거이동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0 (30): 1992

      53 남궁미, "노인가구의 연령별 주거만족도 차이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26 (26): 1-22, 2017

      54 임준홍, "내포신도시 주변 도심 거주민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주거이동 성향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179-200, 2014

      55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56 "국토교통부 2016년 신혼가구부부 주거실태조사"

      57 "국가통계포털"

      58 최준호, "광역도시와 인근 중소도시 지역주민간의 상호 이주영향 요인평가: 공공서비스 질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7 (37): 183-203, 2003

      59 한경원,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60 김주현, "공공 임대주택 입주의향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 신혼가구를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11 (11): 241-257, 2016

      61 이경애, "고연령 자가 거주 가구의 주거이동 및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 가구주의 성별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22 (22): 127-152, 2014

      62 박혜옥, "고령자의 주거환경 만족도가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63 지남석, "거주자의 주거이동 유형과 주거만족도의 관계 분석 - 대전광역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4 (24): 151-172, 2011

      64 김재익,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거이동의향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 사례연구" 한국주택학회 19 (19): 97-115, 2011

      65 손희주, "가구 생애 주기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30 (30): 169-196, 2018

      66 이창효, "가구 구성원 변화에 따른 주거이동의 영향 요인 분석 - 수도권 거주가구의 주택 거주기간을 고려하여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205-217, 2012

      67 "e나라지표"

      68 Parkes. A., "What makes people dissatisfied with their neighbourhoods?" 39 : 2012

      69 Morrow-Jones. H. A., "The Housing Ladder, the Housing Life-cycle and the Housing Life~course :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among Repeat Home-buyers in a US Metropolitan Housing Market" 42 : 2005

      70 Newman. S. J., "Residential problems, dissatisfaction, and mobility" 45 : 1979

      71 최열, "Poisson regression을 이용한주거정주의 결정요인 분석" 국토연구원 46 : 1-17, 2005

      72 Kasl S, V., "Perceptions of the neighborhood and the desire to move out" 38 : 1972

      73 Lee. B. A., "Neighborhood context and residential mobility" 31 : 1994

      74 Varady. D. P., "Determinants of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s the role of government services in relation to other factors" 49 : 1983

      75 황종규, "2인 가구 가구원수 증감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대한부동산학회 35 (35): 199-214, 2017

      76 손경환, "2016년 신혼부부가구 주거실태 패널조사 연구보고서" 한국토지주택공사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